•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solving Skills

검색결과 801건 처리시간 0.033초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통한 사회과 비판적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신장에 관한 연구 (Study on Social Studies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y Improvement through Utilizing Digital Textbooks)

  • 유제일;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97-206
    • /
    • 2015
  • 최신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스마트기기의 보급은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교육현장에서도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교육과 같은 스마트교육 환경의 확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기 위해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수업에서 적용하고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이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적인 사회과 수업보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4L-ACC 활동을 실시한 사회과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의 모든 하위 영역이 신장되었다. 이는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이 학생들의 문제이해, 비판적사고, 해결방안적용, 반성적 사고 등의 역량을 키우며, 이를 종합하여 비판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켜 준다고 볼 수 있다.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의 타당성 분석 (The Validity of Teacher Nominations for the Selec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윤초희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4호
    • /
    • pp.679-701
    • /
    • 2014
  • 영재선발을 위한 교사 관찰 추천의 타당성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이 연구는 과학영재 선발을 위한 교사 추천(지명)의 타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타당성의 준거변인으로 과학적 문제해결력, 과학적 태도와 같은 영역 특수적 변인과 확산적 사고, 창의적 인성, 내재적 동기, 리더십과 같은 영역 일반적 변인이 사용되었다. 현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과학영재 학생, 영재교육을 받은 적은 없지만 교사에 의해 영재로 판단되어 추천된 잠재영재 학생, 그리고 일반학급의 학생들이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분산분석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하위 변인인 독창성과 확산적 사고의 하위 변인인 유창성과 독창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영재학생/추천학생과 일반학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영재학생/추천학생은 이들 변인에서 일반학생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 결과, 영재학생/추천학생을 일반학생과 유의하게 판별해주는 함수가 도출되었으며, 판별함수에 부하된 변인은 독창성을 제외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효능감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가 과학영재 학생을 추천할 때 논리적 사고나 문제해결력, 과학수행, 그리고 이로 인해 강화되는 과학효능감과 같이 보다 '적응' 지향적인 학문적 탁월성을 고려하는 반면, 다양한 새로운 반응들을 신속하게 생성해내는 '혁신' 지향적인 속성(유창성이나 독창성으로 나타나는)은 덜 고려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한 교사추천의 기준은 학문적 탁월성을 지향하는 과학영재교육기관의 선발기준과도 부합하며, 이러한 기준으로 영재를 판별할 때는 교사추천만으로도 영재판별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공학과 HRD 융합교육에 대한 요구분석: H대학교 재학생의 졸업작품 수행 경험을 중심으로 (Needs Analysis of Converged Education on Engineer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cused on Students' Project Experience for Graduation in H University)

  • 임세영;박윤희;배광민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3호
    • /
    • pp.54-64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eds of convergence education on engineer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for students in H university for increa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o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 about students' project experience for graduation in H university. The research finding shows that the converged areas between engineering and HRD are: connecting technologies to social context, problem solving skills,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s, and teamwork skills. Based on the derived five converged areas, objectives and method of the engineering-HRD convergence education are discuss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 problem-based learning and a project method are suggested. Finally, considera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engineering-HRD convergence education are discussed.

문제중심 학습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중심으로 (Effectiveness of Developing and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Communicative Ability, and Problem Solv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박현주;변상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627-636
    • /
    • 2023
  •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이론수업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문제중심학습이 다양한 교육과정 적용에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22년 3월 1일부터 6월 7일까지였고,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 소재의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 165명이었다.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이론수업은 총 14주, 1회 100분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Cronbach's α, 평균과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간에 따른 인성교육 수업의 효과검증은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문제중심학습 방법을 적용한 이론 수업에 대한 효과를 확인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t=-2.08, p=.039), 비판적 사고(t=-2.49, p=.014), 의사소통능력(t=-4.90, p<.001), 문제해결능력(t=-4.84, 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학년 간호대학생에게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이 갖추어야 역량 향상과 전공만족 및 대학생활 적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 탐구에서 과학 탐구 노트를 활용한 ASI 모듈 개발 및 적용 효과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The Effec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I Module using Science Notebooks in Open Inquiry Activity : Focused on Earth and Space)

  • 이상균;김순식;최성봉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40-5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eaching effects after conducting ASI module in the open inquiry activities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SI(Authentic Scientific Inquiry) module application using science research notes in open inquiry activities to students' science research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after test results were covariance-analyzed to be the effects to science process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0.5 significance level. Second, in the covariance analysis of the after test of the study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the effects to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0.5 significance level. Third, the covariance analysis of the after test in the effects of ASI module application using science notebooks to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revealed that the two groups' averag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0.5 significance level. In conclusion, application of the ASI module using science notebook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s of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scienc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Therefore, the ASI module using science notebooks is hopefully to be provided as an effective instructive strategy in the open inquiry activities courses in school in the future.

초등 정보 영재의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퍼즐의 교육적 활용 (Educational Application of Puzzles for Algorithm Learning of Informatics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최정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151-159
    • /
    • 2015
  • 알고리즘은 문제를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문제 해결 과정을 설계하는 기법을 다루기 때문에 컴퓨터 과학을 배우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학습해야 하는 영역이다. 알고리즘 교육은 학습자들이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기법을 익히는 것 뿐 아니라 학습한 알고리즘 기법을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께 익힐 때 효과적이다. 특히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가진 정보 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활성화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기 시작하면서 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보 영재 학습자들이 알고리즘 설계 기법을 보다 쉽게 학습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활용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퍼즐을 도입하였다. 연구 결과 퍼즐 기반의 알고리즘 학습이 전통적인 알고리즘 학습 방법에 비해 학습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들이 퍼즐 기반 알고리즘 학습을 통해 알고리즘 설계 기법을 적용하는 다양한 문제 해결 경험을 함으로써 흥미와 학습의 전이가 향상된 것이라 해석할 수 있다.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 문제해결과정이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ption of Importanc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Self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Nursing Skills of Nursing Students)

  • 김요나;김정이;배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79-38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성 인식, 문제해결과정이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U 지역 소재 간호학과 4학년으로 임상현장실습경험이 있는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중요성 인식은 평균점수 4.73점, 문제해결과정 3.57점,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은 3.90점으로 나타났다. 핵심기본간호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임상실습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문제해결과정은 대학생활 만족도, 임상실습 만족도, 전공만족 및 대인관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제해결과정(β=.33, p=.001), 전공만족(β=.27, p=.019)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15%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향상을 위하여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간호학과에서는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실습환경의 변화와 다양한 간호상황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할 수 있는 교육과정 운영과 전공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학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활용의 역사와 그 적용의 분석 (A study on the history of project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for improving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skill)

  • 한선영;이장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33-348
    • /
    • 2015
  • Problem sovling skill is one of the core skills in mathematics education. To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 the project approach or project based learning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A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utilizing 'project' encourag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blem embedded in the project, find and reflect the solution, which might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 The present study systematically reviews literature regarding project based learning and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roject. The findings from the systematic review illuminate an appropriate approach to apply project based learning in mathematics classrooms.

고등학교 문제해결 능력 신장을 위한 교수 학습 방법 연구 (A study on teaching methodology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skills in high school mathematics)

  • 김용규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권1호
    • /
    • pp.165-174
    • /
    • 1998
  • This is the study on a teaching method for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in mathematics. If this method is performed step by step in solving problems, learners can approach problems in a variety of ways. This step-by-step teaching method will create some changes among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what effects resulted from this method, especially which effects arose in the affective areas of learning math. For the experiment, learning materials were divided into 73 parts. And the subjects, who are low-leveled and hav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athematic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exposed to this method for four months (treatment group), and the other group(control group) was not. According to the result, though there were few changes, the treatment group came to be more interested in math than before and also negative attitudes towards math were reduced gradually,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In this study, three factors were investigated: interest in math, attitudes toward math, and learning -achievement in math.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wo factors: interest in math and learning-achievement in math.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e area of attitudes towards math. In conclusion, if this method is adopted and performed regularly, it is likely that the problem-solving skills will be improved and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s math will be reduced.

  • PDF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Problem-Solving Abilit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 김선옥;심문숙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24-43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to conducted to search for factors influencing the confidence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 performance (CC)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P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L) and CC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questionnaires (208) given to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y the t-test, ANNOVA and Scheffe's test. Moreover,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tems. Results: Proving Solving ability differed significantly in SC. In addition, satisfaction with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SL) differed significantly by gender, academic performance of last semester, support for nursing, and SC. Moreover, PS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SL and CC, and SL was found to have a normal relationship with CC. Conclusion: Education strategy should include methods of increasing the PS of student to improve CC in nursing education. Moreover, SL education should be used to increase nursing tasks and effective adaptation to their circumstances as a clinical nurse after grad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