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Needs Analysis of Converged Education on Engineer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Focused on Students' Project Experience for Graduation in H University  

Lim, Se-Yu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Park, Yoon-Hee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Bae, Gwang-Min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19, no.3, 2016 , pp. 54-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eeds of convergence education on engineer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for students in H university for increa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needs analysis was conducted to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 about students' project experience for graduation in H university. The research finding shows that the converged areas between engineering and HRD are: connecting technologies to social context, problem solving skills, leadership, communication skills, and teamwork skills. Based on the derived five converged areas, objectives and method of the engineering-HRD convergence education are discuss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 problem-based learning and a project method are suggested. Finally, considerations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engineering-HRD convergence education are discussed.
Keywords
convergence; convergence education; engineeri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convergence education of engineering and HRD; needs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명희.고진경(2002). 개인 지식창출 과정의 개념적 틀. 기업교육연구, 4(1) : 5-34.
2 고채영.오찬숙.김현식.이선영.송보라.오기미.김혜자.권희정 (2011).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감성기반 교과융합 수업 연구,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3 권성호.강경희(2008),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교양교육연구, 2(2)
4 김대현.왕경순.이경화.이은화(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서울: 학지사.
5 김수자(2013), 교육전문직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왕동(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97-119.
7 김용근 (2013). 창조경제를 이끌 융합인재 양성이 필요한 시대. 공학교육, 20(1):6-7.
8 김정례(2008). 교과통합의 관점에서 본 '통섭'의 의미와 한계. 교과교육학연구, 12(3):1023-1040.
9 김진수(2012), STEAM교육론, 양서원
10 나장함(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연구. 교육평가연구 19(1):265-283
11 박상욱(2012), 제2장 융합은 얼마나: 이론상의 가능성과 실천상의 장벽에 관하여. 홍성욱 편(2012), 융합이란 무엇인가 융합의 과거에서 미래를 성찰한다, pp.21-40, 서울: 사이언스 북스.
12 신동주.김학진(2012). 고등교육에서 정부의 융합교육 정책 방향: 공학계열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443-460.
13 신미영(2010).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한 개념.기능 영어 교수요목 설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박사학위논문.
14 윤린.김인선.최병욱(2011).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한밭대학교 사례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3):55-60.
15 이상선.김미희.김상훈.김수찬.박재희.이경석(2014). 디자인 학과 공학 간의 PBL기반 융합교육 사례-준비과정, 수업운영, 결과물 그리고 성과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 13(2):211-230.
16 이희용(2011).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5(2):11-37
17 임성준.추승엽(2011). 공학도를 위한 경영학 교과목 개발 연구-C대학교 강좌 개발 사례.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3(1):84-91.
18 임세영.윤관식.유중학.강승찬.최현숙.배광민(2013). 실천공학기술자 양성을 위한 공학과 HRD 융합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19 정명화.신경숙(2004).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3):287-301.
20 정선희(2012). 디자인과 공학의 융합교육. 한국공학교육학회, 19(1):23-27.
21 조미숙(2014), 인문학 융복합 교과 개발-'고전의 이해와 적용'. 동남어문논집, 37:449-477.
22 Jacobs, R. L. (2006). Perspectives on adult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workforce development. New Horizons in Adul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21-31.   DOI
23 Creswell, J. W. (2005).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Upper Saddler River NJ: Prentice Hall.
24 Gardner, Howard(2009). 5 Minds for the Futur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25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NY: Pergamon Press Inc.
26 Rossett, A. (1987). Traning needs assesment. NJ: Education Technology Publications
27 Swanson, R. A., & Holton, E. F., III(2001). Found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an Francisco, CA:Berrett-Koehler.
28 Yamzon, A. (1999).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choice in project-based learning and achievement. ED 430 940.
29 Anderson, R. E. (1993), HRD's Role in Concurrent Engineering. Training & Development, 49-54.
30 조은선(2010), 태권도학과 교육과정 요구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진성희.신수봉(2013). 공과대학 융합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16(6):29-37.
32 채영희(2012), 대학생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교과목 설계,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제16회 학술대회, 2012.12:40-55
33 이경진.김경자(2012),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55-81.
34 최재식.고유흠(2012). 실무형 지식재산 인재상 정립 및 현장형 지식재산 교육프로그램 '클리닉' 실시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35 최정임(2002),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가이드, 학지사
36 최정임.장경원(2010).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37 허영주(2013),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1(1).
38 홍유석(2009). 공학과 경영의 융합: 지속가능한 공학교육으로 가는 길. 16(1):33-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