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명희.고진경(2002). 개인 지식창출 과정의 개념적 틀. 기업교육연구, 4(1) : 5-34.
|
2 |
고채영.오찬숙.김현식.이선영.송보라.오기미.김혜자.권희정 (2011).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감성기반 교과융합 수업 연구,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
3 |
권성호.강경희(2008), 교양 교육에서의 융합적 교육과정으로의 접근. 교양교육연구, 2(2)
|
4 |
김대현.왕경순.이경화.이은화(1999). 프로젝트 학습의 운영, 서울: 학지사.
|
5 |
김수자(2013), 교육전문직의 직무역량 요구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6 |
김왕동(2012). 창의적 융합인재에 대한 개념 틀 정립: 과학기술과 예술 융합 관점. 영재와 영재교육, 11(1):97-119.
|
7 |
김용근 (2013). 창조경제를 이끌 융합인재 양성이 필요한 시대. 공학교육, 20(1):6-7.
|
8 |
김정례(2008). 교과통합의 관점에서 본 '통섭'의 의미와 한계. 교과교육학연구, 12(3):1023-1040.
|
9 |
김진수(2012), STEAM교육론, 양서원
|
10 |
나장함(2006), 질적 연구의 다양한 타당성에 대한 비교 분석연구. 교육평가연구 19(1):265-283
|
11 |
박상욱(2012), 제2장 융합은 얼마나: 이론상의 가능성과 실천상의 장벽에 관하여. 홍성욱 편(2012), 융합이란 무엇인가 융합의 과거에서 미래를 성찰한다, pp.21-40, 서울: 사이언스 북스.
|
12 |
신동주.김학진(2012). 고등교육에서 정부의 융합교육 정책 방향: 공학계열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하계학술발표논문집:443-460.
|
13 |
신미영(2010). 요구분석을 바탕으로 한 개념.기능 영어 교수요목 설계, 강원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박사학위논문.
|
14 |
윤린.김인선.최병욱(2011). 융합교육의 현황 및 향후 방향:한밭대학교 사례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4(3):55-60.
|
15 |
이상선.김미희.김상훈.김수찬.박재희.이경석(2014). 디자인 학과 공학 간의 PBL기반 융합교육 사례-준비과정, 수업운영, 결과물 그리고 성과를 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 13(2):211-230.
|
16 |
이희용(2011). 지식융합 교육을 위한 교과목 개발. 교양교육연구, 5(2):11-37
|
17 |
임성준.추승엽(2011). 공학도를 위한 경영학 교과목 개발 연구-C대학교 강좌 개발 사례.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3(1):84-91.
|
18 |
임세영.윤관식.유중학.강승찬.최현숙.배광민(2013). 실천공학기술자 양성을 위한 공학과 HRD 융합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발전방안 연구. 한국기술교육대학교 HRD연구센터.
|
19 |
정명화.신경숙(2004).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8(3):287-301.
|
20 |
정선희(2012). 디자인과 공학의 융합교육. 한국공학교육학회, 19(1):23-27.
|
21 |
조미숙(2014), 인문학 융복합 교과 개발-'고전의 이해와 적용'. 동남어문논집, 37:449-477.
|
22 |
Jacobs, R. L. (2006). Perspectives on adult educ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emergence of workforce development. New Horizons in Adult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20(1):21-31.
DOI
|
23 |
Creswell, J. W. (2005).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Upper Saddler River NJ: Prentice Hall.
|
24 |
Gardner, Howard(2009). 5 Minds for the Future. Harvard Business Review Press.
|
25 |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NY: Pergamon Press Inc.
|
26 |
Rossett, A. (1987). Traning needs assesment. NJ: Education Technology Publications
|
27 |
Swanson, R. A., & Holton, E. F., III(2001). Found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San Francisco, CA:Berrett-Koehler.
|
28 |
Yamzon, A. (1999). An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choice in project-based learning and achievement. ED 430 940.
|
29 |
Anderson, R. E. (1993), HRD's Role in Concurrent Engineering. Training & Development, 49-54.
|
30 |
조은선(2010), 태권도학과 교육과정 요구분석,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31 |
진성희.신수봉(2013). 공과대학 융합교육에 대한 사례조사 및 요구분석. 공학교육연구, 16(6):29-37.
|
32 |
채영희(2012), 대학생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교과목 설계, 한국사고와표현학회 제16회 학술대회, 2012.12:40-55
|
33 |
이경진.김경자(2012), 통합교육과정 접근으로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 탐색. 초등교육연구, 25(3):55-81.
|
34 |
최재식.고유흠(2012). 실무형 지식재산 인재상 정립 및 현장형 지식재산 교육프로그램 '클리닉' 실시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지식재산연구원.
|
35 |
최정임(2002),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가이드, 학지사
|
36 |
최정임.장경원(2010).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
37 |
허영주(2013), 대학 융합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탐색. 교육종합연구, 11(1).
|
38 |
홍유석(2009). 공학과 경영의 융합: 지속가능한 공학교육으로 가는 길. 16(1):33-3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