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based

검색결과 22,307건 처리시간 0.045초

Supervised Learning-Based Collaborative Filtering Using Market Basket Data for the Cold-Start Problem

  • Hwang, Wook-Yeon;Jun, Chi-Hyuck
    • Industrial Engineering and Management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421-431
    • /
    • 2014
  • The market basket data in the form of a binary user-item matrix or a binary item-user matrix can be modelled as a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pproach tackles the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where principal components are predictor variables. If users or items are sparse in the training data, the binary classification problem can be considered as a cold-start problem. Th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pproach may not function appropriately if the principal components are inefficient for the cold-start problem. Assuming that the market basket data can also be considered as a special regression problem whose response is either 0 or 1, we propose three supervised learning approaches: random forest regression, random forest classification, and elastic net to tackle the cold-start problem, comparing the performance in a variety of experimental setting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upervised learning approaches outperform the conventional approaches.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이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practical skill instruction of the heat treatment and the tensile strength test to improve the key competencies)

  • 김익수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3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을 공업계 고등학교 열처리와 인장시험 실기수업에 적용하여 직업기초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의 실기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수업 모형을 구안 적용하였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국내 외 관련 문헌을 분석 고찰하여 이를 근거로 공업계고등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직업기초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은 학생들이 실생활의 비 구조화된 문제를 중심으로 이것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업형태로 본 연구에서는 문제해결 과정, 즉 계획, 실행, 평가의 과정을 거쳐 학생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에서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수업을 실시하였다. 둘째, 문제중심학습에 의한 실기수업에서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문제해결 및 발표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문제중심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blem-Based Learning on Student's Creativity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 오희진;김상달;이용섭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8
    • /
    • 2005
  • 과제중심학습이 교사가 학습자에게 전달해야 할 지식을 미리 정한 순서에 따라 차례로 제공하는 학습이라면. 문제중심학습(PBL)은 구성주의의 상대론적 인식론에 따른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의 활용에 관심을 둔 학습양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은 학습과정을 자율적 학습과정과 구분하여 이를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창의력은 관련분야에 실재하는 복잡하고 비구조적인 문제들을 자신의 두뇌 속에 이미 존재하는 지식이나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고 유용한 결합을 이루어 내고, 그것에 기초하여 판단을 내리는 능력으로 보고, 본 연구에서는 이를 창의적 성향과 기능면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문제중심학습(PBL)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05에서 창의력 신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공부 PBL 교수학습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n Problem-Based Model for Mind Study)

  • 백현기;안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3호
    • /
    • pp.249-260
    • /
    • 2011
  • 본 연구는 마음공부 학습과 문제중심학습에 대한 다양한 고찰을 기반으로 일반적인 문제중심학습 모형에서 얻은 통찰을 가지고 마음공부 문제중심학습의 교수학습모형을 개발하였다. 기존의 관련 문헌들로부터 공통적으로 중시되는 단계들을 중심으로 하여 1) 본문 정하기, 2) 학습 목표세우기, 3) 문제 개발하기, 4) 학습자료 준비하기, 5) 평가 도구 개발하기 6) 교수-학습 계획 설계하기의 절차를 추출하였으며, 각 단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주요활동들이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과정들을 '마음'을 주제로 한 문제중심학습의 예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문제중심학습의 일련의 과정을 잘 수행하여 본래 문제중심학습의 의도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교사가 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인 활동 및 교사 발문의 예사를 통해 제시하였다.

직관적·형식적 탐구 기반의 문제해결식 접근법에 따른 수학 문제해결 지도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eaching based on the Problem solving approach according to the Intuitive and the Formal Inquiry)

  • 이대현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281-299
    • /
    • 2019
  •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has become a major concern in school mathematics, and methods to enhance children'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ies have been the main topics in many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s. In addition to previous researches about problem solving, the development of a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method that enables children to establish mathematical concepts through problem solving, to discover formalized principles associated with concepts, and to apply them to real world situations need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the necessity of problem solving education and reviewe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researches and problem solving models for giv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suggested the problem solving approach based on the intuitive and the formal inquiry which are the basis of mathematical discovery and inquiry process. And it is developed to keep the balance and complement of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procedural understanding respectively. In addition, it consisted of problem posing to apply the mathematical principles in the application stage.

Flow based heuristics for the multiple traveling salesman problem with time windows

  • Lee, Myung-Sub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3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및 초록집; 계명대학교, 대구; 30 Apr.-1 May 1993
    • /
    • pp.354-366
    • /
    • 1993
  • In this paper, new algorithms for solving the multiple traveling salesman problem with time windows are presented. These algorithms are based on the flow based algorithms for solving the vehicle scheduling problem. Computational results on problems up to 750 customers indicate that these algorithms produce superior results to existing heuristic algorithms for solving the vehicle routing problems when the time windows are 'tight enough' where 'tight enough' is based on a metric proposed by desrosiers et al.(1987).

  • PDF

Term-Based Approach를 기초로한 자원제한프로젝트스케줄링 문제의 해결 (Solution of the Resource 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 on the Foundation of a Term-Based Approach)

  • 김복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218-224
    • /
    • 2014
  • The logic-based scheduling language RCPSV may be used to model resource-constrained project scheduling problems with variants for minimizing the project completion time. A diagram-based, nonredundant enumeration algorithm for the RCPSV-problem is proposed and the correctness of the algorithm is proved.

Implementation of a Technology-Enhanced Problem-Based Learning Curriculum: Supporting Teachers' Efforts

  • PARK, Sung Hee;ERTMER, Peggy A.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8권1호
    • /
    • pp.91-100
    • /
    • 2007
  • This paper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three middle school teachers during the year following a two-week summer workshop in which they were introduced to a technology-enhanced problem-based learning (PBL) pedagogy. Based on their collaborative experiences during the school yea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BL unit, the three teachers increased their confidence in using technology and indicated shifts in their pedagogical beliefs regarding classroom instruction. Results suggest that administrative support, collaboration with other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a school culture that valued the sharing of teachers' experiences were keys to teachers' successful implementation.

문제틀과 아키텍처 패턴의 매칭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 방법 (A Software Architecture Design Method that Matches Problem Frames and Architectural Patterns)

  • 김정민;강성원;이지현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3호
    • /
    • pp.341-360
    • /
    • 2015
  • 패턴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얻은 경험을 구조화한 것으로 문제해결에 이용되는 반면, 문제틀은 소프트웨어 문제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문제틀은 해법이라기 보다는 문제 도메인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문제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문제틀과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연결하는 기존 연구들은 주어진 문제를 이해하는데 치중하여 문제틀을 이용할 뿐 문제틀과 품질속성 모두를 고려하면서 아키텍처 패턴을 도출하고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문제틀과 아키텍처 패턴의 매칭을 통한 소프트웨어 패턴 기반 아키텍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문제틀 방법에 따라 문제 모델을 개발한 후 기능 및 품질속성 관점에서 문제 모델을 아키텍처 패턴 후보와 매칭한다. 논문은 기능 매칭을 위해서는 문제틀 다이어그램을 이용한 아키텍처 패턴의 문제 모델을, 품질속성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분석 템플릿을 사용하여 아키텍처를 설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제안한 방법이 올바른 아키텍처 패턴을 결정하는 체계적인 프로세스이며 잘 정제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를 위한 기초가 됨을 보인다.

교수 중재 방법에 따른 수학 문장제 수행 비교 (A Comparison of Two Methods of Instruction on Mathematical Word Problem)

  • 김억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3호
    • /
    • pp.497-511
    • /
    • 2009
  •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3학년 아동 53명을 대상으로 도식기반 전략 프로그램으로 수학 문장제를 교수함에 있어 중재재료 투입방법(병렬, 순차)에 따른 수행결과를 처치집단, 문제유형(결합, 변화, 비교), 회기별(사전검사, 사후검사 3회)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전, 사후검사 문항은 곱하기와 나누기 연산을 필요로 하는 결합, 변화, 비교 문제로 각 3문제씩 9문제로 구성되었으며 각 회기가 끝난 다음날 바로 사후검사로 수행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문장제 유형별 수행이 교수재료 투입시기에 큰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문제구조가 유사한 결합형 문제와 변화형 문제인 경우 나중에 교수한 변화문제의 도식이 결합문제의 도식 생성에 혼란을 주어 결합문제의 수행이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