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drinking

검색결과 376건 처리시간 0.027초

외국인 근로자의 음주동기,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Factors Influencing on Problem Drinking in Foreign Workers for Drinking Motives, Acculturative Stress)

  • 하영미;박기수;조정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25-23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근로자의 음주동기, 문화적응 스트레스, 문제음주의 관계를 파악하고,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G 시에 소재한 2곳의 조선소에 근무하는 외국인 근로자 12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12월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외국인 근로자의 위험음주는 39.2%로 나타났다. 외국인 근로자의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 결과, 음주동기의 하위영역인 사교동기(${\beta}=.368$ p=.003)와 동조동기(${\beta}=.337$ p=.005)였고, 문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영역인 향수병(${\beta}=-.197$, p=.009)으로 문제음주에 대하여 약 39.5%의 설명력을 보였다(F=26.849, p=.000).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의 문제음주를 예방하기 위해서 음주동기와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활용한 알코올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기초생활수급자의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Problem Drinking of Public Aid Recipients)

  • 도은영;홍연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371-380
    • /
    • 2014
  • 본 연구는 기초생활수급자의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D와 G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 1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초생활수급자의 1/3정도가 문제음주, 알코올남용 및 의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음주문제가 상당히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친 변인을 위계적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실시한 결과 19세 미만 첫음주, 자아존중감, 종교, 우울, 성별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향후 이들 변인들을 고려해서 음주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학과 남학생의 문제음주 실태와 관련 요인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ale Nursing Students)

  • 지은주;이은경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40-44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male nursing stud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cross-sectional survey. A total 126male nursing students complet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to assess alcohol consumption, motives for drinking, and self-efficacy in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moderate and problem drinkers. Multivariate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roblem drinking in these nursing students. Results: Problem drinkers was found to be related to young age (adjusted OR=0.83, 95% CI [0.71, 0.96], coping motives (adjusted OR=1.19, 95%CI [1.00, 1.42],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OR=0.96, 95% CI [0.93, 0.99]). Conclusion: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that coping motives and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play in the problems in the drinking behavior of male nursing students.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과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Sensory Processing Feature in College Students)

  • 박영주;송강식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3-31
    • /
    • 2015
  • 목적 : 대학생의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학생 162명을 대상으로 2015년 4월부터 2015년 6월까지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 검사를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형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와 청소년/성인 감각프로파일을 사용하였다. 문제음주와 감각처리특성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과 : 감각처리특성에서 문제음주의 유무에 따른 대상자 집단 간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문제음주군에서 한국형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점수와 감각예민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문제음주는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예민과 낮은 상관성이 있었다. 대학생의 문제음주를 치료하기 위해 그들의 감각처리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평가방법과 치료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남성 근로자의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Male Workers according to Occupational Classes)

  • 이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375-382
    • /
    • 2015
  • 본 연구는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사무직 391명, 생산직 707명, 서비스직 309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Rao-Scott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8점 이상을 문제음주군, 8점 미만은 정상음주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문제음주율은 사무직이 45.1%, 생산직 39.1%, 서비스직 42.3%로 나타났으나 직종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제음주 관련 요인은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사무직은 흡연만이 관련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흡연자의 문제음주 위험이 4.44배 높았다. 생산직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 문제음주 위험이 0.46배 낮고 흡연자는 4.07배 높았다. 서비스직은 20대에 비해 60대 이상의 문제음주 위험이 0.02배 낮은 반면 흡연자는 11.17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본 결과가 음주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간호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정상음주군과 문제음주군 비교 (A Comparison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etween Two Groups of Korean Nursing Students)

  • 박형숙;조묘헌;조규영;김동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0-119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sumption of alcohol as well as to compar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etween an average drinking group and a problem drinking group of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estionnaire using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measuring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was given to 938 students of two universities in Gyeongsangnam-do. Results: Among the respondents 381 (40.6%) were problem drinkers. The score of alcohol consumption in the AUDIT were 3.38 for the average group and 12.50 for the problem drinking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group and problem drinking group in age, living place, smoking, parent's drinking, age of the first drink and reasons for first drink. Participants of the average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than the problem drinking group. Regarding mental health,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ttempted suicide. The risk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blem drinking were living place, smoking and reasons for the initial drink.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guidance for developing strategies, such as an educational program, to promote safe alcohol consumption in nursing students.

대학생의 일주기리듬 유형과 자기효능감이 문제음주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hronotype and Self-Efficacy on Problem Drinking in Undergraduate Students)

  • 김정훈;송영숙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21권1호
    • /
    • pp.70-76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hronotype and self-efficacy on drinking problem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adopted for the 177 undergraduate students in D, G, and K city in 2017. The data was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Chronotype (${\beta}=-.31$, p< .001), self-efficacy (${\beta}=27$, p< .001) and religion (${\beta}=-.19$, p= .005) were identified as the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problem in the subjects. The model explained 19% of variance in drinking problem (F= 11.36, p< .001).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hat would consider chronotype and self-efficacy factors to reduce the drinking problem in undergraduate students.

문제음주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족갈등과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roblem drinking on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 엄순옥;문재우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7-71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blem drinking on life satisfaction an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between two variables. Methods: The data of this study were selected in the 9th Korea Welfare Panel Survey(KYPS, 2014). The SPSS Ver. 18.0 statistical package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 drinking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family conflic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Second,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were identified to cause decreasing life satisfaction. Third, family conflict and depression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through overcoming problem drinking, drinking prevention programs and recreational programs based on economic and social context are required.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The Actural Condition and the Impact of Psychosocial Factors on Problem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 정원철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347-372
    • /
    • 2006
  •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에 비해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는 선진국에 비해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의 실태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을 규명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샘플의 크기는 414명이며, 문제성음주의 측정은 AUDIT(알코올사용장애검사)이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으로는 카이검증, t-검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이 활용되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음주문제는 일반성인들에 비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이 실증되었으며, 성인들에 비해 폭음의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요인과, 개인특성요인, 가족환경요인 학교환경요인으로 회귀식을 구성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 신앙생활, 최초음주연령, 감각추구경향, 음주동기, 부모음주문제, 가족지지, 학업성적, 친구의 영향은 대학생의 문제성음주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영향력이 있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음주문제 해결에 대안 대응방안을 제언하고 추후의 과제를 부언하였다.

  • PDF

여대생 음주동기와 문제음주 측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Tool for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위성욱;정문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25-236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a tool that can identify drinking motives and measure the degree of problem drinking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thods: From June 25th, 2012 to September 21st, 2012, a methodological study was carried out on this subject. A basic questionnaire was made based on research literature and interviews with 8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or factor analysis were 397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2 universities in G Metropolitan City. Result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PASW and AMOS 18.0. The developed tool was found to be acceptable in terms of construct validity and modeling suitability. The questionnaire comprised 16 questions on drinking motives in 4 sub-categories including 'relief' (4 questions), 'friendship' (3 questions), 'consolation' (4 questions), and 'escape' (5 questions). Problem drinking consisted of 11 questions in 3 different sub-categories including 'loss of control,' 'health hazards,' and 'sexual hazards.' Conclusion: The questionnaire was proved to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Finally,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this questionnaire is adequate for assessing drinking motives and problem drinking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