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Efficacy

검색결과 223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체계적 고찰 (Intervention of Virtual Reality of Adult Nursing Practicum for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 김현경;고은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373-38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인간호실습 가상현실 교육 중재 연구를 체계적 고찰 방법으로 탐색하여, 추출된 문헌들로부터 중재 방법, 연구 주제, 결과 변수, 효과성의 근거합성을 하였다. CINAHL,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RISS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7편의 연구가 추출되었고, 무작위 실험연구가 3편, 비무작위 실험연구가 4편이었다. 고찰 결과 간호대학생의 지식, 수행, 태도, 비판적 사고, 자기효능감, 정보수집능력, 문제해결능력, 자신감, 효율성에서 효과를 보였으므로, 성인간호실습에서 가상현실 교육 중재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고혈당 대상자 간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hyperglycemia patient car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for nursing students)

  • 이진;오복자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7-439
    • /
    • 2023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hyperglycemia patient car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non-synchronized design. A total of 50 senior university nursing students who had completed an adult nursing cours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group, n=24; control group, n=26). This nurs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χ2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F=277.41, p<.001), communication skills (F=47.18, p<.001), self-efficacy (F=3.81, p=.031), and learning satisfaction (t=2.25, p=.033). Problem-solving abi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e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hyperglycemia patient care using standardized patients was effective in improving nursing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proposed that the education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be used as part of an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nursing students' abilities in caring for hyperglycemia patients.

디자인사고 기반 의료인문학 수업 개발과 의과대학생의 인식 (Development of a Medical Humanities Course Based on Design Thinking and Medical Students' Perceptions)

  • 노재희;이애화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1호
    • /
    • pp.55-69
    • /
    • 2024
  • Amid the increasing interest in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this study developed a medical humanities course that utilized design thinking to foster creative thinking, problem-solving, and collaboration skills that pre-medical students should possess. The course's efficacy was assessed by evaluating improvements in core design thinking skill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mong 83 first-year medical students after planning and implementing a design thinking course. The reflection journals written by students along the course of the class were examined using the template analysis techniqu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study's primary findings showed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step-by-step medical humanities education content utilizing design thinking and its practical implementation in a class. Moreover, the course improved students' core design thinking skills effectively, and in a balanced way. These results illustrate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design thinking in medical school through a medical humanities course.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medical humanities course can help medical students showcase their abilities to collaborate and solve problems in the real world.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ntegrates design thinking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cal students' core competencies and design thinking-based courses.

협동학습이 치위생학생의 학습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박인숙;송귀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3-101
    • /
    • 2012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ducational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which enables learners to make portfolio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knowledge and skills acquired through practice, on an oral prophylaxis practice course in an attempt to stir up the spontaneous learning of learners, their learning interest and problem-solving skills. Methods : The selected dental hygiene students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 in oral prophylaxis practice III clas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ir sophomore year by utilizing portfolio that was prepared by altering an inclusive dental hygiene practice model. They completed all the 15-week practice course, and then their portfolio was evaluated. They were divided into eight nonequivalent groups whose members were all different in academic standing, and their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checked before and after the instruction was provided. And thei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investigated after the instruction was provided. Results : 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to $0.36{\pm}0.07$ in the charge of learning strategies after they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p<0.01). There were the broadest differences in cognitive strategies to 3.61, followed by metacognitive strategies to 3.19,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subfactors(p<0.01). 2.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 charge of self-efficancy to $0.13{\pm}0.06$ after they engaged in cooperative learning(p<0.01). There were the widest differences in self-regulating efficancy to 3.49, followed by confidence to 3.03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o 2.97,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the subfactors(p<0.01). 3. When their satisfaction level was analyzed after engaging in cooperative learning, there were significant gaps to 3.94 i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all of the lectures(p<0.01). There were significant gaps in the satisfaction level with lecture to 4.20, with ensuring academic achievement to 4.13 and with cooperative learning to 3.48 (p<0.01). Conclusions :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ndicated that cooperative learn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and this study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aching methods for dental hygiene.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 관계 연구 (Study of Relation Between Beauty Curriculum Awareness, Career Education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Efficacy)

  • 조명애;리순화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10-222
    • /
    • 2021
  • 본 연구는 미용 고등학교 학생 289명을 대상으로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진로교육 만족도, 진로결정 효능감의 관계를 설문 및 분석하였다. 미용교육과정이 헤어 전공, 자격증 취득 기능교육으로 편중되어 있었고 진로계획은 취업과 대학진학이 높았으며 미용교육과정 인식과 미용교육과정 만족도에서 네일과 개인창업은 낮게 인식하였고(p<0.05, p<0.001) 진로결정 효능감에서 네일은 낮게, 진로교육 만족도에서 메이크업은 낮게, 개인창업은 낮게 인식하였다(p<0.01, p<0.05). 미용교육과정 인식이 높아질수록 진로교육 만족도가 높았고 교사는 진로교육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운영 및 시설영역은 직업정보에, 교과과정 영역은 미래계획과 문제해결에, 교사영역은 자기평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p<0.05, p<0.001, p<0.001). 따라서 메이크업, 피부, 네일 전공의 교육과정의 개선이 필요하고 효과적인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고령 소비자의 인터넷 뱅킹 사용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60대와 70대의 비교 (A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Elderly Consumers' Self-Efficacy in Internet Banking Usage: Exploring Moderating Effect of 60s and 70s)

  • 구윤혜;양수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7-92
    • /
    • 2022
  • 최근 금융산업에서의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며, 인터넷 활용의 취약계층인 고령 소비자의 인터넷 뱅킹 사용 수준을 제고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미디어패널조사 11차년도 자료의 60대 이상 3,101명의 응답을 분석하여, 고령 소비자의 인터넷 뱅킹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경험적, 심리적 요인을 규명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 소비자의 인터넷 뱅킹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변수로 성별, 교육수준, 직업유무, 소득수준을 확인하였다. 둘째 고령 소비자의 인터넷 뱅킹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험적 요인으로 인터넷 쇼핑 경험을, 심리적 요인으로 정보보안우려, 디지털 리터러시, 높은 문제해결의지를 확인하였다. 셋째, 경험적, 심리적 영향요인이 60대와 70대 이상의 연령 구분에 따라 다른 영향력을 갖는지에 대하여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변수에서 연령 구분에 따라 인터넷 뱅킹 사용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층으로 구분되는 소비자 집단 내에서도 금융행동의 차이를 유발하는 특성이 있음을 경험적으로 밝혀냄으로써 고령 소비자의 비대면 금융 서비스 활용과 관련한 논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Action Learning on the Environmental Literacy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tudents)

  • 전진;소금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7권2호
    • /
    • pp.139-153
    • /
    • 2023
  • 본 연구는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있는 A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향상에 효과적이었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학생들의 환경태도와 가치, 감수성이 긍정적으로 변화했고, 환경 쟁점 의식 및 생태적 지식이 향상되었으며, 환경친화적 행동과 환경 기능 면에서도 유의미한 상승이 있었다. 둘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학생들은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 자신이 해야 할 행동을 판단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액션러닝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초등학생들은 기존 수업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보였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직접 문제를 찾고, 해결 방법을 구상하며 이를 직접 실천해볼 때 환경 보호에 대한 의지가 커졌다. 성찰 후에는 해결 방법을 심화시켜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물건을 팔아보고, 수익을 환경보호 단체에 기부하는 활동으로 이어지면서 학생들의 수업 몰입도와 만족도가 높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ffect of Coenzyme Q10 Supplementation in Statin-Treated Obese Rats

  • Choi, Hye-Kyung;Won, Eun-Kyung;Choung, Se-Young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4권2호
    • /
    • pp.171-177
    • /
    • 2016
  • Statins, HMG-CoA reductase inhibitors, are known to cause serious muscle injuries (e.g. myopathy, myositis and rhabdomyolysis), and these adverse effects can be rescued by co-administration of coenzyme $Q_{10}$ ($CoQ_{10}$) with statins. The goal of the current research is to assess the efficacy of combined treatment of $CoQ_{10}$ with Atorvastatin for hyperlipidemia induced by high-fat diet in SD rats. 4-week-old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normal diet or high-fat diet for 6 weeks. Then, rats were treated with either Statin or Statin with various dosages of $CoQ_{10}$ (30, 90 or 270 mg/kg/day, p.o.) for another 6 weeks. Compared to Statin only treatment, $CoQ_{10}$ supplementation significantly reduced creatine kin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levels in serum which are markers for myopathy. Moreover, $CoQ_{10}$ supplementation with Statin further reduced total fat, triglycerides, total cholesterol,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In contrast, the levels of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CoQ_{10}$ were increased in the $CoQ_{10}$ co-treate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Q_{10}$ treatment not only reduces the side effects of Statin, but also has an anti-obesity effect. Therefore an intake of supplementary $CoQ_{10}$ is helpful for solving problem of obese metabolism, so the multiple prescription of $CoQ_{10}$ makes us think a possibility that can be solved in being contiguous to the obesity problem, a sort of disease of the obese metabolism.

CARE 모델 기반 수학학습 코칭 모델 개발 연구 (CARE Model-based Math Learning Coaching Model Development Study)

  • 김정현;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511-533
    • /
    • 2022
  • 본 연구는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지지하는 CARE 학습 코칭 모델에 수학 교과의 특징 및 수학 교수·학습 과정을 반영함으로써 수학 교과에 적합한 학습 코칭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학 학습 코칭 모델은 코칭을 적용해 나가는 '단계'와 '요소' 그리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략'이다. 수학 학습 코칭 모델은 '편안한 분위기 조성' 단계의 요소로써 라포, 신뢰, 상태관리, 수학 사전검사를, '인식의 개선' 단계의 요소로써 문제점 인식, 초인지, 재구조화, 주도성, 수학 학습역량을, '학습 몰입의 재각성' 단계의 요소로써 자기효능감, 학습 준비성, 확인(피드백)을, '임파워먼트' 단계의 요소로써 자발적 동기와 성공 경험을 배치하고 각각의 요소를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수학학습 전략을 제시하였다. 수학학습 코칭 모델은 수학 교사들이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고 학생들이 학생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돕는데 활용될 수 있다.

NCS업무처리능력군이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문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NCS Task Processing Capability Group on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cused on College Students-)

  • 성행남;조동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8권3호
    • /
    • pp.137-15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전문대학 학생의 NCS 업무처리능력군(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과 진로효능감 간의 영향 관계를 실증분석하기 위함에 있다. 그리고 이 진로효능감과 진로결과기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영향관계에 대해 실증분석하기 위함이다. 사회인지진로이론 및 자기효능감 관련 기존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영향요인으로 진로효능감 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업무처리능력군 중 문제해결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조직이해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업무처리능력군 중 기술능력은 진로효능감에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학생의 진로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학과 차원의 행정지원과 교수자의 상담 및 멘토링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비교과과목의 개설과 교수평가 지표 항목의 개발 등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는 조직이해능력, 정보능력, 자원관리능력, 그리고 문제해결능력이 진로효능감에 미치고 이는 다시 진로결과기대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기에 해당 능력과 관련된 비교과목의 개설 및 특화 및 특강 프로그램을 위한 준비와 진행의 정책적 제안이 가능함을 확인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