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lem Solving Efficacy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4초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효과 (Psych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Effect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문원희;김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41-550
    • /
    • 2022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의 교육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광역시 소재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자료 수집하여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대한 시뮬레이션수업 전·후 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t=-3.199, p=.004)과 학습만족도(t=-3.342, p=.003)는 유의하게 상승 되었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t=-1.875, p=.072)과 학습자기효능감(t=-1.432, p=.164)은 전·후 결과값에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만족도 증진을 위해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Effects of Simulation Based Learning in Psychiatry on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Knowledge of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Young-Ran Yeun;Hye-Young Ki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63-176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과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이 간호학생의 자기 효능감, 문제 해결 능력 및 지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2023년 7월까지 PubMed, Cochrane Library, Embase, CINAHL, KISS, RISS, ScienceOn을 검색하였다. 총 1,414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22개 연구(20개 보고서)에 대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정신분야에서 시뮬레이션 기반 학습은 자기 효능감(ES = 0.65, p < 0.001, I2=71%), 문제 해결 능력(ES = 0.15, p < 0.001, I2=27%), 지식(ES = 0.45, p = 0.003, I2=84%)에 유익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시뮬레이션 교육 접근법이 적절히 통합될 경우 정신간호학 교육 환경에서 능동적인 학습 방법론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월드프렌즈 IT봉사단의 성과평가 연구: 개별 봉사단원의 특성과 역량, 인성, 인적 네트워크부문 성과지표를 중심으로 (Measuring the Performance of World Friends IT Volunteers)

  • 이수연;이희진;윤정원;권구순
    • 정보화정책
    • /
    • 제24권2호
    • /
    • pp.68-86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월드프렌즈 IT봉사단의 성과지표로서 단원들의 '역량(문제해결능력, 셀프리더쉽), 인성(자아효능감), 인적네트워크(문화 간 감수성)'의 변화와 개인별 특성에 따른 성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2016년에 모집되어 개도국에 파견된 IT봉사단 364명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 봉사 활동 수행,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는 사전검사의 결과를 공변수로 하여 공분산분석(ANCOVA)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단원들은 문제해결력, 셀프 리더쉽, 문화 간 감수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적 특성별로 보면,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문화 간 감수성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자아효능감이, 영어의사소통능력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문화 간 감수성과 셀프 리더쉽이 향상되었다. 또한 단기체류 유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문제해결력과 문화 간 감수성이, 장기체류 유경험자가 무경험자보다 문화 간 감수성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리더 역할을 담당한 단원이 팀원들보다 자아효능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the Brain-Based Learning Model on the Self-Efficacy,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cience Classes)

  • 김수정;배진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4호
    • /
    • pp.616-62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B광역시 J초등학교 1개의 학급 22명을 실험집단, 다른 1개의 학급 22명을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따른 일반적인 설명식 과학 수업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하여 뇌 기반 수업 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효과적인 수업 모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강보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 : 학년과 성별의 다중집단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Health Department Undergraduates' Self-efficacy on Stress-coping Strategies : Focusing on multiple group analysis by grade and sex)

  • 백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273-5281
    • /
    • 2015
  • 본 연구는 건강보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학년과 성별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이들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S대학 대학생 1,442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SPSS,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과제난이도 선호가 회피중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신감이 회피중심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추구와 문제해결중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회피중심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와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지지추구, 문제해결중심, 회피중심들 간의 영향관계에서 학년별로 모델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간에는 모델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Motives for Major Selection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 Mi-Sook Yoon;Bo-Young Par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6-263
    • /
    • 2022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major motivation for and self-efficacy of career decisions among dental hygiene students and to analyze differences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major motivat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94 dental hygiene students. To investigat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18 questions were posed, including 5 questions on future planning, 4 questions on self-evaluation, 4 questions on job information collection, 3 questions on goal setting, and 2 questions on problem solving.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5-point scale. Results: The motives for choosing a major were a high employment rate (68.6%), a desire to become a professional (36.1%), according to aptitude (27.8%), recommendations by others (26.3%), and according to grades (12.9%).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in the order of self-evaluation factors (3.75 points), problem solving factors a (3.62 points), job information collection factors (3.59 points), future planning factors (3.46 points), goal setting factors (3.44 points) score was high.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ores were higher when the major motivation was "because I want to become a professional" and "because I think I have an aptitude for i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give students who wish to major in dental hygiene an opportunity to consider whether they have an aptitude for it by providing information on not only major subjects but also the duties and roles of dental hygienis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areer education program to help dental hygiene students set their career goal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on a Learning Community Model: A Case Study

  • Ryang, Doh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109-122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nge in two theoretical construc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involved in a learning community model. The case of this study was a developmental mathematics class offered at a historically black college located in the southeastern United States. Subjects included 31 students enrolled in an introductory mathematics course, some of whom participated in a learning community (treatment group). The participants completed mathematics attitudes and mathematics efficacy instruments twice: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again at the end.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non-parametric statistic.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and mathematics self-efficacy are strongly correlated; the mathematical problem-solving efficacy changed significantly over time and it i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treatment group produced better outcome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learning community model can increase students'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It is recommended that mathematics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be measured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when a learning community is implemented.

  • PDF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가입자 망 설계 시스템 연구 (A New Optimization System for Designing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 Access Networks)

  • 이영호;정진모;김영진;이순석;박노익;강국창
    • 경영과학
    • /
    • 제23권2호
    • /
    • pp.161-174
    • /
    • 2006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network optimization problem arising from the deployment of BcN access network. BcN convergence services requires that access networks satisfy QoS meausres. BcN services have two types of traffics : stream traffic and elastic traffic. Stream traffic uses blocking probability as a QoS measure, while elastic traffic uses delay factor as a QoS measure. Incorporating the QoS requirements, we formulate the problem as a nonlinear mixed-integer Programming model. The Proposed model seeks to find a minimum cost dimensioning solution, while satisfying the QoS requirement. We propose two local search heuristic algorithm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develop a network design system that implements the developed heuristic algorithms. We demonstrate the computational effic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solving a realistic network design problem.

패션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패션에 관심 있는 학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s of Fashion career educational program for improving the career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case of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Fashion)

  • 위은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3
    • /
    • 2018
  • 본 연구는 자유학년용 패션관련 진로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패션관련 프로그램 실시를 통해 중학생들의 진로자아효능감이 향상되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세 곳의 중학교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을 실시하면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패션관련 활동과 탐색활동으로 구성된 10차시분량의 패션진로교육프로그램의 교수 학습 과정안과 활동보조자료가 개발되었다. 중학교 자율학년 운영자료로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패션진로교육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제해결을 통한 성취경험과 롤모델의 수행성공을 통한 대리경험, 성공한 자신의 경험의 되돌아봄, 앞으로도 잘 할 수 있다는 지도교사와 친구들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진로자기 효능감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셋째, 본 프로그램은 진로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진로탐색효능감, 진로결정효능감, 진로수행효능감 향상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패션과 관련된 실습활동과 탐색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이해와 탐색, 직업의 정보의 수집활동, 문제해결, 계획수립 등을 통해 자신의 진로에 대해 계획하고 준비하는 자신감이 생겼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함수 영역 문제해결 협력학습 과정에서 문제 유형에 따른 중학생의 인지부하 분석 (The cognitive load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problem types in collaborative learning for solving the function problems)

  • 김성경;김지연;이선지;이봉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2호
    • /
    • pp.137-155
    • /
    • 2018
  • From the assumption that an individual's working memory capacity is limited, the cognitive load theory is concerned with providing adequate instructional design so as to avoid overloading the learner's working memory. Based on the cognitive load theory,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ective problem-based collaborative teaching and learning design by analyzing the level of middle school students' cognitive load which is perceived according to the problem types(short answer type, narrative type, project)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in middle school function part.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re is a relev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gnitive load for the problem type according to the math achievement level and gender in the process of cooperative problem solving. As a result, there was a relevant difference in the task burden and task difficulty perceived according to the types of problems in both first and second graders in middle schools student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effort. In addition, the efficacy of task performance differed between first and second grade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learning, which is most frequently used in school classrooms, it examined students' cognitive load according to problem types in various aspects of grade, achievement level, and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