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4초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Lesson Plans

  • Hong, Jung-Lim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1-18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sson plans from third to sixth grades of science and to find out teaching strategies in respects of learning functions provid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in education university. On the whole, to control students' learning process preservice teachers used more shared-regulation strategy than strong teacher-regulation one. Teaching activities for regulative learning function were most used in strategy of strong teacher-regulation, and in strategy of shared-regulation those for cognitive learning functions were most used. But teaching activities for affective learning functions were used a little considered in both teaching strategies. In introduction step of instruction, affective and regulative learning functions were more instructed by strong teacher-regulation strategy and cognitive learning functions were more instructed by shared-regulation strategy. The affective, cognitive, and regulative learning functions were largely planned by shared-regulation teaching strategy in development. The regulative learning functions were planned by strong teacher-regulation strategy than by shared-regulation strategy and affective learning functions were considered a little bit in consolidation. There was a tendency that strong teacherregulation strategy was increased in lessons for fifth and sixth grade.

예비특수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hysical Education Teaching Anxiety Scale for Preservice Special Teacher)

  • 이용국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7권3호
    • /
    • pp.375-389
    • /
    • 2018
  • 이 연구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들의 체육교수불안 척도 개발 및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절차는 3단계에 따라 이루어졌다. 1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통한 예비문항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응답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2단계에서는 1단계에서 도출된 체육교수불안 구성 요인을 바탕으로 100명의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통해 문항들의 이론구조에 적합한지 검증을 통하여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에서는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척도의 구인타당성을 확보하였으며, t-test 차이검증을 실시하여 척도의 외적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분석된 내용을 중심으로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 특수(체육)교육 예비교사의 체육교수불안 척도는 수업지식(4문항), 학생이해(4문항), 수업환경(3문항), 수업관리(3)문항으로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ions and Teacher Efficacy of Korean Preservice Teachers

  • Kwon, Na Young;Ryang, Doh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1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amine changes in teaching and learning conceptions and sense of efficacy as well as relationships between them. Data were collected from 121 Korean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a 4-week teaching practicum.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nstructivist concep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increased over the practicum period and teacher efficacy shifted as well. In addition, correlations among the constructs were strengthened over the practicum period. Interestingly, constructivist conceptions related to differentiated education were not significant, while traditional conceptions related to teacher-guided lessons were significant after the practicum. These results imply that Korean preservice teachers still place value on the traditional perspective, even though constructivism dominates the current educational policies of Korea.

다문화사회에서의 예비교사교육 방향 탐색 (A Study on th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 안병환
    • 직업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1-21
    • /
    • 2010
  • 이 연구는 다문화사회의 예비교사교육 방향 탐색을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교직과목을 수강중인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에 관한 인식을 질문지를 통해 조사 연구하였다. 먼저 예비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등을 알아보고 다음으로 성별, 다문화교육 관련 수업경험 유무, 다문화교육 관심도 및 대학교육과정에의 다문화교육 과정 포함 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런데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에 관한 질문지가 부족한 상태이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를 토대로 질문지의 타당화 검사를 병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297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6개 요인 36개 문항 요인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신뢰도 검증 결과 Cronbach's ${\alpha}$계수는 .874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교육의 쟁점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욕구,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실 상황 예측과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 등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다문화교육을 저해하는 태도와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학생들의 요인별 평균을 보면 '교육과정에 대한 기대' 요인이 타 요인에 비해 다소 보통이하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다문화적 사고배양과 다문화교육 지식 및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다문화교육을 저해하는 태도 관련 문항에서는 대체로 긍정적인 다문화적 사고를 지닌 것으로 보여진다. 넷째, 다문화교육에 대한 관심이 많을수록 다문화교육의 쟁점을 잘 인식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욕구가 크며,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실상황을 잘 예측하고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었다. 마지막으로 교사가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을 접해 본 경험이 없이 갑자기 학교에서 지도하게 될 때 혼란이 가중될 수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교육방법 등의 변화를 통해 예비교사들에게 미리 사전준비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 교사들이 제안한 과학 교사교육 개선방안 (Exemplary Science Teachers' Suggestions for How to Improve Science Teacher Education)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7-127
    • /
    • 2003
  • 본 질적 연구에서는 사범대학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 교사 재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현장에서 좋은 수업을 실천하고 있는 사례로 선정된 10명의 과학 교사들과의 심층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진단하는 교사양성 교육과 재교육 실태 및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사범대학에서의 예비교사 교육과 관련하여 좋은 수업을 하는 현장의 과학교사들은 (1) 사범대학이 교사양성 기관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보해야 하며, (2) 이론과 실제가 조화된 교육과정을 통하여 현장과의 연계성을 고려한 교사양성 교육을 실시해야 하고, 이를 위하여 (3) 사범대학 교수진에 교과교육 전공자를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현직 교사 연수와 관련하여 (1) 현직 교사들 스스로 계속교육에 대한 인식을 전환하여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을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여야 하며, (2)교사 연수 내용과 방법의 현장성을 높여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교사연수로 바뀌어야 하며, (3)교직 사회에 진정한 의미의 수업장학 풍토의 정착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성공적인 교실개혁을 위한 교사 (재)교육의 필요성도 논의하였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의 인식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비 Perception on the Nature of Science)

  • 임청환;김현정;이성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297-30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 and the change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view on the nature of science by the science education course. The subjects were 386 junior preservice teachers in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257 inservice teachers working in a metropolitan city. An instrument consisting of fifty eight items were developed on the bases of previous studies. Before entering the course, preservice teachers view was compared by gender with T-test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except the category 'role of a scientist'. Preservice teachers view was also compared by major with ANOVA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categories 'scientific method' and 'scientific law'. After the course, on comparing their view by gend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 the categories 'scientific theory', 'scientific knowledge', and 'scientific law'. The result of ANOVA by majo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except the category 'role of a scientist'. Inservice teachers view was compared by gender and major and the differences were no significa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were founded in comparing by career and ability.

  • PDF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교수목표 지향성과 과학 수업 이미지 사이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Goal Orientations for Science Teaching and Their Images of Science Class)

  • 전경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7권4호
    • /
    • pp.430-439
    • /
    • 2018
  •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goal orientations for science teaching (mastery/ability-approach/ ability-avoidance/work-avoidance goal) were measured. We also examined how the goal orientations were related to their images of science class (preferred/avoi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 teachers (75 males and 82 females) tended to have the mastery or ability-approach goals rather than the ability-avoidance or work-avoidance goals for science teaching. For avoided class, they tended to show teacher-centered components (eg., teacher: lecturing, students: watching and listening, environment: chalkboard), while rarely to show such teacher-centered components for preferred class.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oal orientations and the images of science class, the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ability-approach goal orientation and teacher-centered image of avoided class. However, the teacher-centered image for preferred clas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ability-avoidance goal orientati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were discussed.

초.중.고 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분석 (An Analysis of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Images of Scientists)

  • 임성만;임재근;최현동;양일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1-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images of scientis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711 people. The results generally was showed the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have the stereotyped image of scientists. When we group the subject of investigation as elementary-school students, middle-school students, high-school students, preservice teachers, inservice elementary-school teachers, and looked into whether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mong them by the method of ANOVA, we could see the meaningful differences (p<0.05). And also elementary-school students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from other groups when examined on the $Scheff{\acute{e}}$ test.

  • PDF

유아교육기관 실습지도교사의 역할인식과 수행에 따른 예비교사의 갈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ed by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 김선혜;김규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23-23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ed by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s in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s in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14 pairs of cooperating teachers who taught preservice teachers.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and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 instrument and analyzed by t-test and ANOVA using SPSS 14.0 software.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econ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Thir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conflict of preservice teachers affected by the role recognition and performance of cooperating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practicum.

예비 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Difficulties Experienced b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 Studying the Theory of Science Education for Teacher Selection Test)

  • 김인환;차정호;김창만;김학범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9-43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예비과학교사들이 임용시험의 과학교육학 내용 학습에서 겪는 어려움을 조사하였다. 우선 중등교사 임용시험을 준비하는 한 인터넷 카페의 게시판에 2008년 1월부터 2009년 6월 사이에 게시된 질문들의 내용 영역을 분석하였다. 또한, 임용시험을 마친 예비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 영역 분석에 사용한 평가틀은 한국교육과정 평가원과 한국과학교육학회에서 개발한 것이었다. 인터넷 카페의 질문을 분석한 결과, '과학철학과 과학사'와 '과학교수학습이론과 수업모형'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설문 조사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학철학 관련 내용이 가장 어렵다고 응답하였고, 과학 교수학습 이론이나 수업모형의 적용이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