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

검색결과 229건 처리시간 0.02초

예비교사의 시각적 표현에서의 수학적 이해와 문제 만들기 능력의 관련성 분석: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Understanding in Visual Expressions and Problem-Posing Ability: Focusing o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of Fractions)

  • 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6권4호
    • /
    • pp.219-236
    • /
    • 2023
  • 본 연구는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서 예비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문제 만들기 사이의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여 41명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에 대한 시각적 표현과 문제 만들기 과제를 수행하고 수학적 이해 정도와 문제 만들기 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수학적 이해 정도와 문제 만들기 능력 사이의 관련성을 교차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의 대부분은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개념적 이해를 나타냈으며, 다섯 가지 유형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문제 만들기에서는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풀 수 있는 수학 문제를 만들지 못했으며 이 과정에서 네 가지 유형의 어려움이 나타났다. 또한 교차분석 결과, 수학적 이해 정도는 문제 만들기 능력과 연관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의 수학적 이해와 문제 만들기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예비 초등 교사들의 분수 연산에 관한 내용적 지식과 교수학적 지식 수준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적 관점 (A Study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Fraction-related Operations: A Teacher Education Perspective)

  • 서관석;전경순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03-113
    • /
    • 2000
  •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nderstandings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held by 63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dealing with the division by a frac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in terms of the subject matter knowledge, the preservice teachers did not have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division by a fraction and, in terms of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y depended heavily on algorithms without a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division by a fraction.

  • PDF

예비 수학교사의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 신장을 위한 팀 프로젝트 효과 연구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eam Project to Improve TPACK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임해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545-564
    • /
    • 2009
  •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은 1986년 Shulman이 제시한 내용교수지식(PCK)에 테크놀로지 지식이 통합된 새로운 지식 즉, 교사의 내용지식(CK), 교수학적 지식(PK), 테크놀로지 지식(TK)의 교집합에 해당하는 지식을 뜻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9년 1학기 서울시 소재 사범대학에서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를 개설하고 설계, 분석하여 예비 수학교사의 TPACK 신장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강의 초 예비 수학교사들은 테크놀로지에 대해 낮은 자신감을 나타냈지만, 강의가 끝날 무렵의 테크놀로지 관련 수학교수효능감은 3.88부터 4.50사이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예비 수학교사들은 팀 프로젝트가 TPACK에 긍정적 또는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응답했는데, 이는 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가 예비 수학교사가 앞으로 교사가 되어 테크놀로지를 활용하는 수업을 설계할 때 필요한 지식과 자신감을 갖도록 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교사의 TPACK이 정보화 시대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교육목표 달성을 위해 필수적인 지식이라 볼 때, 앞으로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테크놀로지 강의가 테크놀로지의 사용 방법과 단편적인 적용 사례를 전달하는 방식보다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방식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 PDF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프로젝트 접근법 (Learning Experiences of the Project Approach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양정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57-4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가 학습자중심 교사교육을 통해 배워가는 학습경험과정과 그 학습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를 통해 그 가치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유아교육 접근법 중 하나인 프로젝트 접근법 이론을 학습하고 직접 실행해 보는 학습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완전한 참여자로서 참여관찰, 개인면담 및 개인성찰일지, 활동 보고서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프로젝트 학습경험과정의 의미는 본인 관심으로 시작된 문제를 해결해 가는 중 유목적적인 실행을 통해 학습에 몰입하였으며, 자신이 경험한 학습의 기쁨을 타인과 공유하고 싶어 했다. 그리고 행위와 사고의 주체자로서 자신을 인식하며 이러한 학습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학습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젝트 이론과 실행이 동시적으로 진행되어 프로젝트를 내면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실제 상황의 경험을 통해 프로젝트의 변형 가능성을 체득하게 되었다. 종합해보면, 프로젝트 접근법은 예비교사에게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의 주체로서의 경험을 통해 반성적 사고를 하고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교육하는 한 방안으로써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온라인 환경에서 초등 수학 방법론 수업의 교수법 변화 (Beyond adaptation: Transforming pedagogies of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methods course in the online environment)

  • 권민성;여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4호
    • /
    • pp.521-537
    • /
    • 2022
  • 전례없는 COVID-19 대유행은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일상적으로 예비교사들을 교육하는 방법을 방해함과 동시에 변화를 일으켜 왔다. 본 논문에서는, 두 명의 수학교사교육자들이 COVID-19 대유행동안 대면 수업을 온라인 수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있어 초등수학방법론 교수법을 전용, 변환, 재구성, 수정한 경험을 반성하고자 한다. 협동적인 자기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우리는 온라인 환경에서 초등수학방법론 수업을 가르치는데 있어 이슈, 도전, 변화, 기회와 혁신에 대해 논의하였다. 지속적 비교 방법을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 세 가지 주제에 대해 탐구하였다: (1) 가상 교구 사용하기; (2) 예비 교사를 위해 협동적, 상호적, 공유된 학습 경험 만들기; (3) 예비교사들이 학생의 사고에 참여하도록 하기. 본 논문의 결과는 수학교사교육자들의 공학적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분석하고, 예비교사들을 위한 협력적인 학습 기회를 만들며, 전문적 학습 공동체에 참여하는 수학교사교육자간의 협력적 자기연구를 설계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Mathematics Teaching)

  • 강문봉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3
    • /
    • 201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강문봉과 김정하가 개발한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 교육대학의 수학교육과 2학년과 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은 약간 긍정적인 수준에 있으며, 남녀 또는 고등학교 때의 이수 계열이나 대학교의 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신념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Assessment of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 Choi, Sung-Youn;Kim, Sung-Wo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713-723
    • /
    • 2008
  •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are influential factors in teachers' teaching practices and behaviors. In order to encourage elementary teachers to do better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that have caused teachers' science teaching-anxiety, developed an instrument measuring science teaching-anxiety,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In addition, we attempted to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o enhance teachers' confidence in science teaching. The guiding research questions were 1) which factors affect science teaching-anxiety level of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2) how each factor of science teaching-anxiety is related to science teaching-efficacy. The subjects were 133 Korea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57.1% were female) in a large city. The data sources included teachers' responses to three paper and pencil questionnaires: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cience Teaching-Anxiety Questionnaire (STAQ),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B). To clarify the science teaching-anxiety, we specified it into six factors: trait anxiety about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state anxiety about instruction, science activities, student assessment,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ree significant aspects of science teaching anxiety and efficacy. First, their level of anxiety about professional responsibility and science teaching was relatively high among six factors. Seco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cience teaching-anxiety and science teaching-efficacy. Third, trait anxiety about science teaching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science teaching-efficacy while state anxiety about instruction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ies were followed.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통계적 소양 : 표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Understanding of Sample)

  • 탁병주;구나영;강현영;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6권1호
    • /
    • pp.19-39
    • /
    • 2017
  • Taking samples of data and using samples to make inferences about unknown populations are at the core of statistical investigations. So,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ample as statistical thinking is involved in the area of statistical literacy, since the process of a statistical investigation can turn out to be totally useless if we don't appreciate the part sampling plays. However, the conception of sampling is a scheme of interrelated ideas entailing many statistical notions such as repeatability, representativeness, randomness, variability, and distribution. This complexity makes many people,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reason about statistical inference relying on their incorrect intuitions without understanding sample comprehensively. Some research investigated how the concept of a sample is understood by not only students but also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but we want to identify preservice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ample as the statistical literacy by a qualitative analysis. We designed four items which asked preservice teachers to write their understanding for sampling tasks including representativeness and variability. Then, we categorized the similar responses and compared these categories with Watson's statistical literacy hierarchy. As a result, many preservice teachers turned out to be lie in the low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s they ignore contexts and critical thinking, expecially about sampling variability rather than sample representativeness. Moreover, the experience of taking statistics courses in university did not seem to make a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their statistical literacy. These finding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tatistics education.

초등수학에 대향 예비교사들의 이해: 분수의 곱셈을 중심으로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Elementary Mathematics: Focused on Multiplication with Fractions)

  • 오영열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6권3호
    • /
    • pp.267-281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기르는데 필수적인 요인으로써 초등수학에 대한 이들의 이해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 의미 파악, 문제 상황 제시 및 표상의 측면에서 현재 교육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대다수의 초등예비교사들은 분수의 곱셈에 대한 계산에는 거의 어려움이 없었으나, 의미파악과 문제 상황 제시에 있어서는 동수누가의 원리가 적용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분수의 곱셈을 그림을 이용하여 표현하는데 있어서도 대다수의 경우 동수누가의 원리가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경우인 승수가 자연수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절한 방식으로 표현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진정한 교직의 전문성은 수업에 대한 전문성에서 비롯되며, 이는 초등예비교사들이 초등수학에 대한 전문성을 확보할 때 비로소 수업관행의 근본적인 변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교실에서의 수학 수업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초등수학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멀티미디어교육과정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변화 연구 (Study on Process of Changes of Thinking and Experience Through Early Childhood Multimedia Education)

  • 정혜승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855-865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멀티미디어 교육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들의 경험과 사고를 이해하기 위하여 유아멀티미디어 교육과정에서 나타난 변화과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2012년 8월 27일부터 11월 26일까지 총 14주 동안 7차에 걸쳐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쓰기, 소그룹 토의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영역분석과 주제 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멀티미디어 교육을 통해 기존의 멀티미디어에 대한 안목과 인식의 변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에게 멀티미디어를 제공하는 것에 대해 유아들이 교육현장 이외의 곳에서 많은 멀티미디어를 접할 것이라는 것에 동의하며 피할 수 없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유아교사들은 멀티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수업에 관하여 멀티미디어와 유아교육을 연결시키지 못하였으며 교육적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부담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은 유아 멀티미디어 교육에 관한 수업을 받으면서 멀티미디어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들이 긍정적으로 바뀌는 것을 경험하면서 멀티미디어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을 요구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