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s

검색결과 444건 처리시간 0.027초

천연유래 에센셜 오일을 활용한 화장품 방부제 개발 (Development of Cosmetics Preservatives using Natural Essential Oil)

  • 김보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445-450
    • /
    • 2019
  • 최근 화장품을 사용하는 소비자들이 원료 안전성에 관심이 크다. 그 중에서도 천연방부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파라벤류 방부제를 배제한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합성 방부제를 항균성의 에센셜 오일로 대체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에센셜 오일의 항균 효과는 주요 활성 화합물 사이의 성분, 농도 및 상호작용에 따라 달라진다. 효과적인 방부제는 최소 농도에서도 광범위한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어야 한다. 모든 방부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피부 자극,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킬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 소비자들은 천연 유래 에센셜 오일은 안전하다고 인지하고 있으나, 일부는 접촉 알레르기나 광독성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처럼 천연방부제 또한 최대의 방부효과와 낮은 독성의 균형을 잡는 것이 중요하며, 본 논문은 항균 특성에 초점을 맞춘 에센셜 오일에 대한 특징, 화장품 방부제로서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해 기술한다.

Efficacy of Chemical Preservatives to Control Perilla Rust

  • Al-Reza, Sharif M.;Hwang, Cher-Won;Kang, Sun-Chul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7-420
    • /
    • 2010
  • The rust fungi are biotrophic fungal pathogens that cause serious disease on Perilla leaves in Korea. The effect of some commonly used chemical preservatives (sorbic acid, D-sorbitol, propionic acid and benzoic acid) against Perilla rust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showed that all the preservatives were effective against Perilla rust except benzoic acid. There was no growth of rust spores on the Perilla leaves treated with 0.1% of preservative even after 21 days of preservation. However, 0.01% of preservative also showed remarkable reduction of rust spores on the Perilla leaves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chemical preservatives used might be useful to control the growth of rust fungi on Perilla leaves.

현탁액중 수크랄페이트, 노이시린, 히드로탈사이트에 의한 방부제의 흡착 (Adsorption of Preservatives by Sucralfate, Neusilin and Hydrotalcite in Suspension)

  • 이기준;박은석;정병기;지상철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5권4호
    • /
    • pp.331-338
    • /
    • 1995
  • In order to screen appropriate preservatives for the suspension containing sucralfate, neusilin and hydrotalcite, the patterns and mechanism of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several preservatives on these antacids were studied. The employed preservatives were parabens(methyl, propyl, butyl), chlorhexidine diacetate and sorbic acid. While none of parabens were adsorbed on three antacids, chlorhexidine diacetate was strongly adsorbed on all the antacids employed, especially on hydrotalcite. Sorbic acid was not adsorbed on neusilin and hydrotalcite, however, 65% of sorbic acid was adsorbed on sucralfate. The adsorption of chlorhexidine diacetate on neusilin and hydrotalcite was partly physical and partly chemical, while its adsorption on sucralfate was almost chemical. Sorbic acid was completely deserted from sucralfate. In all cases, the adsorption isotherms were fitted well to both Freundlich equation and Langmuir equ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arabens and sorbic acid were the preservatives of choice for the suspension containing sucralfate, neusilin and hydrotalcite.

  • PDF

두부비지를 이용한 목재 방부제의 사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the Potential of Wood Preservatives Formulated with Okara)

  • 김호용;최인규;안세희;오세창;홍창영;민병철;양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110-123
    • /
    • 2008
  • 환경 오염 및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이 금지된 목재 방부제인 CCA를 대체하고 최근 CCA 대체방부제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구리 아졸화합물계(CUAZ)과 구리 알킬암모늄계(ACQ) 방부제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 폐기물인 두부비지를 이용하여 환경친화적인 목재방부제를 제조하였다. 목재 내로 유효성분의 용이한 주입을 위하여 다양한 농도의 황산으로 두부비지를 가수분해하였으며, 가수분해된 비지를 $CuSO_4$, $CuCl_2$, Borax 등의 금속염과 반응시켜 최종적으로 목재 방부제를 조제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방부액은 감가압방법을 통해 목재내로 주입하였고 주입된 시편에 대한 용탈 실험을 실시하여 각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비교하였다. 비지의 산가수분해물의 이용과 암모니아수를 이용한 일시적인 해리를 통해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효과적으로 주입되었으나 비지를 가수분해하기 위해 사용된 산의 농도가 높을수록 용탈량이 증가되었다. Borax의 첨가는 주입능과 용탈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가수분해 온도에 따른 주입능과 용탈성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과를 종합하면 비지의 1% 산가수분해물에 금속염으로 $CuCl_2$를 사용하였을 경우 생산 비용 및 환경적인 측면에서 목재방부제로 사용하기에 최적의 제조조건으로 생각되며 두부비지로 조제된 방부제의 주입능과 용탈성을 CuAz에 비교한 결과 차이가 없거나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친화적인 목재 방부제로서 사용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었다.

Changes in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n Food Preservatives by a Risk Communication Booklet

  • Kim, Suna;Kim, Ji-Sun;Kang, Hee-Jin;Lee, Gunyoung;Lim, Ho Soo;Yun, Sang Soon;Kim, Jeong-Weon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17-426
    • /
    • 2018
  • 본 연구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식품첨가물 및 보존료에 대한 인식 수준과 정보요구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부모의 식품첨가물 및 보존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안전한 식생활을 위한 교육자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2014년 서울 경기지역 초등학생을 둔 학부모 381명을 대상으로 식품첨가물 및 보존료에 대한 인식 및 정보요구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한 결과 응답자 중 가공식품 구입 시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하였으며, 41.5%가 식품 첨가물을 가장 식품안전을 위협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식품 첨가물 중에서는 보존료가 가장 위험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응답자의 90.6%가 식품첨가물 및 보존료에 대한 교육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설문결과와 학부모들의 정보요구도에 따라 교육홍보책자인 '보존료 바르게 알기'를 개발하였다. '보존료 바르게 알기'는 '보존료란 어떤 물질인가요?', '보존료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보존료는 안전한가요?', '가공식품, 어떻게 섭취해야 하나요?', '식품첨가물은 식약처가 철저히 관리하고 있어요' 등의 5장으로 구성하여 소비자인 학부모들이 알고 싶어하는 내용들을 알기 쉽고 재미있게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육홍보책자를 초등학교 학부모에게 시범 적용한 결과, 사전 18.9%만이 보존료가 무엇인지 알고 있다고 응답한 수준에서 사후 90.9%가 그 역할을 이해하고 72.7%가 안전하다고 응답하여 개발된 책자가 보존료에 대한 이해도를 크게 높이고 보존료에 대한 오해를 바로잡을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홍보책자는 학부모를 비롯한 일반소비자들에게 보존료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정보전달매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두부비지 방부제의 방부효능 및 현미경적 분석 (Efficacy of Wood Preservatives Formulated with Okara and Its Microscopic Analysis)

  • 김호용;최인규;안세희;오세창;윤영호;양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7권3호
    • /
    • pp.245-254
    • /
    • 2009
  • 최근 환경오염 및 인체 유해성으로 사용이 제한 받고 있는 목재방부제인 chromated copper arsenate (CCA) 그리고 CCA의 대체방부제로 사용되고 있는 고가의 Copper Azole (CuAz)과 alkaline Copper quaternary (ACQ)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폐기물인 두부비지, $CuSO_4$ 그리고/또는 Borax를 이용하여 조제하였다. 이렇게 조제된 두부비지 목재방부제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갈색부후균에 대한 방부효능을 조사하고, 그 방부제가 처리된 목재시편을 FE-SEM과 EDS를 이용하여 현미경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두부비지 방부제로 처리한 목재시편은 Postia placenta와 Gloeophyllum trabeum에 대해 우수한 방부효능을 보였으며, 비지의 가수분해를 위해 사용된 산농도 및 온도의 증가, 그리고 Borax의 첨가는 방부효능을 향상시켰다. 두부비지 방부제로 처리된 시편의 현미경적 관찰을 통하여 비지 가수분해물과 구리의 반응을 통해 용탈과정 중에 용출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토대로 두부비지 방부제가 경제성과 환경적 측면에서 목재방부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품종과 보존제의 처리가 춘계수확 연맥의 특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 and Preservative on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Spring Harvested Oat Hay)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7-314
    • /
    • 1996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 of cultivar and preservative on the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baled oat(Avena sativa L.) hay after 60 days of storage. Ihe main plots consisted of the cultivars such as 'Foothill' and 'Swan', and the subplots consisted of preservatives such as commercial propionic acid(CA), lactic bacteria inoculant(LB) and control(C0). Bale temperature of 'Foothill' oat hay maintained higher than that of 'Swan' oat hay during storage. Bale temperature of oat hay treated with CA remained lowest during the earlier storage perio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preservatives during the latter storage period. Visual assessment of bale of 'Swan' oat hay was better in the evaluation of mold, odor and color than that of 'Foothill' oat hay after storage. DM content of Foothill oat hay increased markedly than that of 'Swan' oat hay through the storage period. CFU(Colony fodng unit) of total viable micmrganism of oat hay bales was not quite different between preservatives, but that of lactic bacteria of 'Swan' oat hay and 'Foothill' was different by over 16 and lo4, respectively. Total nitrogen content of 'Swan' and 'Foothill' oat hay was 1.45 and 2.22%, respectively(P<0.05) and effect of preservatives on total N content was higher in the order of LB, CA, and CO. ADIN content of 'Swan' was lower than that of 'Foothill'(P

  • PDF

국내 시판 어린이 점토제품 중 보존제 함유량 조사 (Preservatives in Domestic and Imported Children's Clay Products)

  • 정선혜;허진영;오지희;박나연;고영림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6-43
    • /
    • 2022
  • Background: Preservatives are used to prevent product deterioration in modeling clay. Parabens, a representative preservative, have been found to be endocrine disruptors and cause skin irritation and allergic reactions. Isothiazolinone preservatives can be irritating to the skin, respiratory tract, and eyes. Thorough investigation and regulation of clay are necessary because clay is marketed to children, who are more sensitive to the toxic effect of chemicals.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presence of 16 preservatives was analyzed in modeling cla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current standards. Methods: A total of 200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8 children's clay products sold in South Korea (13 from Korea and 15 imported from overseas). Twelve preservatives, such as parabens, were analyz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Isothiazolinone preservatives (chloromethylisothiazolinone; CMIT, methylisothiazolinone; MIT, octylisothiazolinone; OIT, and benzisothiazolinone; BIT) were analyzed using 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ery (UPLC-MS/MS). Results: Dehydroacetic acid (DHA) was detected the most in the clays at 51.50% (103 cases) detection; 38 cases (median 190.42 ㎍/g) in Korean products and 65 cases (median 169.62 ㎍/g) in Chinese products. CMIT, which is prohibited in Korea, was detected in 14 (median 16.28 ㎍/g) Chinese products. OIT, which has a chemical structure similar to CMIT was found in 28 (median 68.38 ㎍/g) samples in Korean products. Conclusions: The use of CMIT and MIT in children's products is prohibited in Korea and the European Union (EU). The detection of CMIT in Chinese clay products suggests that management is necessary for imported products.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afety and regulatory status for OIT because OIT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CMIT and MIT in Korean products.

옥외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연구 동향 - 구리 기반 약제를 중심으로 - (Current Research Trends in Wood Preservative for Enhanced Durability : A Literature Review on Copper Based Preservatives)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0권3호
    • /
    • pp.212-227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CCA일몰 후, 내구성 향상을 위한 목재보존제의 최근 국제적 연구 동향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가압용 약제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최근의 구리 기반 약제의 형태는 수용성으로 ACQ나 CuAz 등의 구리 정착 개선 및 유효성분의 용탈 방지 등이 이슈화 되어 있으며, 미분화(micronized copper) 또는 나노 크기 입자를 이용한 유제형 약제 출현으로 이들의 목재 내 침투 및 정착 특성 연구 등에 대한 논란이 많은 상황이다. 또한 CCA와 달리 현재의 alkyl ammonium quat. 또는 azol 약제 등의 경우에는 구리 내성균에 대해 항균성 감소가 많아 이에 대비한 co-biocide 개발이 심각하게 요구되고 있다.

천연방부제로 사용된 한약재의 항균활성에 대한 동향 분석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al Medicines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Based on the Analysis of Papers and Patents)

  • 김정훈;도의정;이금산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1-113
    • /
    • 2015
  • Application of herbal medicines as natural preservatives has been increased because of its low toxicity or side effect, compared to artificial preservatives. In this study, papers and patents researching anti-microbial activity of herbal medicin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 year of publishment, species of bacteria, fungi, or yeasts, and herbal medicines used. After early 2000's, the number of paper publishment has been decreased, while that of patent registration has been increased up to early 2010's. Most studied species were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and Pseudomonas aeruginosa, as gram-positive or gram-negative bacteria, and Candida albicans and Aspergillus niger as fungi. The bark of Cinnamomum cassia (L.) J. Presl was most frequently studies herbal medicine, followed by the roots of 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 and Sophora flavescens Ait.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herbal medicines can be used as natural preservatives against diverse species of bacteria, fungi, or yeasts with their wide-ranged anti-microbial activ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