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ice teachers Teacher

검색결과 791건 처리시간 0.022초

과학 실험의 목적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 정용재;장명덕;김한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255-270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For the study, the views about the purposes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surveyed from 227 pre-service teachers.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gender, intensive majors and school science test scor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the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internal values of doing experiments were more worthy than the external values of it. In particular, the pre-servic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the science experiments is 'to get the evidences for the theories and arguments'. On the other hand, the views from the women and social studies major pre-service teachers were more diverse than those of the man and science major pre-service teachers. Second, in relation to the purpose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the pre-service teachers excessively considered that the internal value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more worthy than the external values. In particular, only few pre-service teachers were aware of social and personal aspects of the experiments, though they considered well that the experiments are useful tools for the school science study. Third, there were quite different aspects of pre-service teachers' views between the purposes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For example, the views about the scientist's experiments were relatively broad concerning the nature of scientific experiments, but the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just regarded as an educational tool for the science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ome science educational implication were discussed.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인식, 경험의 질적 탐구 (Qualitative research of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bout SW education)

  • 이정민;김소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9-53
    • /
    • 2019
  •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소프트웨어를 원활히 운용 활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하는 컴퓨팅 사고력(computational thinking)을 갖추는 것은 필수적이라 볼 수 있다. 이에 정부는 컴퓨팅 사고력 함양을 목표로 개정 2015 교육과정으로 공교육에 체계적인 SW교육을 도입하여 필수화하였고, 초등학교에서는 실과 교과에서 SW교육이 내년 본격적으로 실시된다. SW교육이 학교현장에 체계적으로 안정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사의 지도역량이 뒷받침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서 정부는 '2018년 교원양성대학 소프트웨어 교육 강화 지원 사업(SWEET)'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정책이 추진되더라도 현장에서 교수 학습방법 개선 등의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뒤늦게 이루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교육의 변화의 주체는 교사이기에 교사가 변화에 대해 갖고 있는 인식, 경험, 관심도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원의 SW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여 다양한 학습사례제시 등을 제안하였다.

과학 체험 프로그램 운영이 예비교사의 과학문화소양 및 핵심역량 성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y Program Operation on Science Culture Literacy and Core Competence Growth for Pre-Service Teacher)

  • 김현정;김성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9-3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체험 프로그램의 운영이 예비교사의 과학적 소양에 미치는 영향을 과학문화소양과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K대학교 255명의 예비교사가 참여하였으며, 과학문화소양은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로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핵심역량 성장 인식은 사후검사만 실시하였으며, ANOVA로 역량별 성장 인식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문화소양에서 예비교사의 과학문화소양은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 평균이 더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5). 핵심역량의 성장 인식 분석 결과,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에서 70.6%의 예비교사가 성장을 보고하였으며, LSD로 사후검증 결과 다른 핵심역량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p<.05). 이를 통해 예비교사의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방안으로 과학 체험 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및 학교정책 개선방안 연구 (Research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martphones for educational use and suggestions for school policy)

  • 임걸;이동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47-57
    • /
    • 2012
  • 본 연구는 향후 스마트 환경 하에서 본격적으로 활동할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기기에 대한 교육적 활용 가능성 인식 정도를 확인하고, 휴대기기 관련 제도 정비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의견을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학생들의 휴대폰 소지와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았고, 둘째,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및 스마트폰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셋째,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정책 관련 고려사항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 지역 3개 대학의 교직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예비교사 146명으로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휴대폰 교내 반입 자체에 대해서는 중립적인 태도이나 수업시간에 휴대폰을 소지하거나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매우 부정적인 입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의 대상 중 대부분이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스마트폰 기능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 관련하여 예비교사들은 스마트폰을 스마트한 교육용 도구, 효율적인 교수학습 도구, 그리고 교수학습을 위한 보조적 매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 학습내용, 학습활동의 형태, 그리고 학교의 기술적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마트폰의 교육적 활용을 위해서 정책 변화가 필요하고, 휴대폰 및 스마트폰 학생 사용 정책에 대한 결정권은 교사에게 있으며, 스마트폰을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무엇보다도 학생자신의 인식변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의 학습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과의 연관성 분석을 통한 예비과학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 고찰 (Educational Implicatio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ducation by Analysis of Connection between Learning Content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Science' and in the Pre-Service Science Textbooks of College of Education)

  • 김남희;심규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63-37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과학 교과에서 추출한 학습 내용과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에서 추출한 교육내용을 비교하여 그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위 융합형 과학으로 불리는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7종과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등 4개 과학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11종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재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과학의 교육 내용과 예비과학교사 교재의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관련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에너지와 환경' 단원은 가장 많은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고등학교 과학 교과 내용의 86.6% 정도가 사범대학 4개 분야의 교재에 소개되고 있을 뿐 나머지는 예비교사들이 스스로 공부해야 하는 부담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일부 학습내용들은 그 내용 수준이 사범대학 예비과학교사 교육내용보다 높은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게다가 또 다른 일부 학습내용들은 공학과 기술 영역에 포함되어, 이를 대비하기 위한 별도의 교사교육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했을 때, 고등학교 과학 교과의 교육내용을 적정화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교과를 가르칠 교사와 예비교사들을 위해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과학교사들이 과학을 지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이 개편이 필요하다.

초등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의 기초적인 과학 지식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Basic Scientific Knowledge of In-service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강현숙;박재근;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1호
    • /
    • pp.67-7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basic scientific knowledge of in-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pecific areas having insufficient knowledge and the reason for the lack of understanding. For the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asking basic scientific knowledge to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in an urban communities and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rolling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year 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results shows that there is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boiling points, perihelion, substances, and elements,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have exactly known. With regard to the age, an effort is required to increase scientific knowledge of the in-service teachers in 50's, compared to those in 20s' and 30s'. In the pre-service teachers, the average in the third yea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first and second year. Regarding the major background in high school, both of in- and pre-service teachers who completed the science cours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than those who completed the liberal arts course. In addition, regarding the major in the university, the average of the group with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 was higher than that of the group with other majors.

  • PDF

초임 교사 멘토링을 통한 영어교사 심화연수 후 지속적 전문성 신장에 대한 사례연구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hrough novice teacher mentoring after in-service English teacher training)

  • 장경숙;김지영;정규태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2호
    • /
    • pp.219-245
    • /
    • 2011
  • This case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a primary English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pursued through novice teacher mentoring after the six-month intensiv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IIETTP). The teacher was involved in mentoring two novice teachers working at the same school. They observed each other's classes and exchanged their views on the classes, focusing on areas to be improved. The observation was done within a framework that consisted of pre-, during- and post-observation sessions. Data was gathered through retrospective entries kept after the post-observation meetings. The entrie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aliency, frequency and recurring patterns identified. The findings reveal that learning from the training course could be applied professionally and could serve to bridge the gap between training and teaching. It is also shown that the mente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enhanced and the mentor teacher herself benefited from the collaborative learning process involved with working with the novice teachers.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teacher development programs after the IIETTP.

  • PDF

공학 도구 친화적 거꾸로 수업에서 예비교사의 인식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cognition on a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friendly flipped classroom)

  • 김동중;김대상;최상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4호
    • /
    • pp.455-47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 도구 친화적 거꾸로 수업을 통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교사들의 공학 도구 활용에 대한 인식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45명을 대상으로 공학 도구 사용 범주 지수(Technology Adopter Category Index), 공학 도구가 추가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공학 도구별(Geometer's Sketch Pad(이하 GSP), Geogebra, Cabri 3D) 반영적 검사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학 도구 친화적 거꾸로 수업 교육과정은 예비교사들의 공학 도구 사용 범주 지수와 공학 도구가 추가된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영향을 미쳤고, 공학 도구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공학 도구 친화적 교사를 양성하는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구체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예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구조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nd Its Related Variables)

  • 신고운;김정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1-160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related t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408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child studies. The students completed questionnaires assessing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Statistical methods for the data analysis were the SPSS 19.0 and AMOS 20.0. And the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ethod was used to model fit. Goodness of fit was evaluated using the SRMR, RMSEA and its 90% confidence interval, CFI, and TLI. Results: First,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were found to affect their teaching efficacy directly. Also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social support was found to affect their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directly.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theoretically meaningful in that it shows that high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satisfaction level for childcare practicum can be the main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re-service childcare teachers' teaching efficacy.

A Comparison of Chines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In- and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 Jin, Meiyue;Guo, Yanmin;Dai, Feng;Jia, Pi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4호
    • /
    • pp.221-234
    • /
    • 2007
  • A comparison of mathematics teachers' personal beliefs between in- and pre-service teachers for Chinese secondary schools (grades 7-12) about mathematics theories, teaching and learning has been studied. In-service teachers' beliefs are close to constructivist's aspect and pre-service teachers' beliefs are close to absolutist's views. Based on the results, we give some suggestions to both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s' train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