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Form Design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5초

How Effective Is Toothbrush Education through Environmental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 Pratamawari, Dyah Nawang Palupi;Balgies, Grandyna Ansya;Buunk-Werkhoven, Yvonne A.B.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0-36
    • /
    • 2022
  • Background: Nowadays, dental health problems in Indonesia are still quite high. It is one of which influenced by low public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the health of teeth and mouth that can be measured by toothbrushing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RISKESDAS 2018, only 2.8 percent of the population has a proper toothbrushing behavior. Behavior tends to form at age 6 to 12 years. At this age, children begin to develop habits that tend to settle until adulthood, including toothbrushing behavior. Social cognitive theory is a theory of behavioral change that explains that behavioral changes a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personal, behavior where these three factors influence each other.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dental behavior of second grades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joint toothbrushing at school for 21 days. Methods: A pre-experimental study-design was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by pre-post treatment method where there are 2 classes that get intervention and 2 other classes as control. A joint toothbrush is performed every morning before the school activities begin. Before and after the joint toothbrushing, all classes are given questionnaires to see if there are any changes in behavior seen through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 Results: Respondent group showed increasement on their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towards toothbrushing.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3 factor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education of toothbrushing through environmental changes is quite effectiv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sights into the benefits of this program and refinements of optimally targeted intervention, including longitudinal studies are needed to improve the results.

서베이조사실험을 통한 폐쇄형과 개방형 설문 응답 차이: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 (Survey Experiment on Close-Ended and Open-Ended Questions: 2016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KGSS))

  • 김지범;김솔이;강정한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8권4호
    • /
    • pp.127-147
    • /
    • 2017
  • 한국에서는 조사의 가장 근본적인 도구인 설문지 설계에 관한 조사방법론 연구가 거의 없다. 본 연구는 2016년 한국종합사회조사의 표본분할을 통한 조사실험을 통하여 한국의 가장 중요한 문제에 대한 폐쇄형 질문과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모두 경제(35% 대 33.2%)가 가장 많이 언급되었고, 폐쇄형 설문에서는 범죄(24.4%), 교육(15.4%), 빈곤(6.3%)순으로, 개방형에서는 정치(10.8%), 범죄(9.5%), 교육(7.6%)순이었다. 즉, 정치가 포함되지 않은 폐쇄형 질문 응답과 개방형에서 응답순위가 일관성이 있었다. 최대 응답범주였던 경제를 답한 응답자의 특성이 폐쇄형과 개방형에서 인구학적 변수 중 연령과 가구소득 그리고 경제상태만족도 측면에서 제한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타국의 설문문항을 수용할 때 한국적 맥락에서 설문의 질문 부분뿐만 아니라 응답범주의 적정성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고, 사전조사에 조사실험이 더 많이 시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제시한다.

360도 파노라마 영상 기반 대화형 가상현실 서비스 구축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Virtual Reality Service based on 360 degree VR Image)

  • 강병길;유석호;이완복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1호
    • /
    • pp.463-470
    • /
    • 2017
  • VR 영상을 활용한 가상현실 콘텐츠는 제작의 용이성과 사용자 편의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으나 상호작용이 결여된 상태이기 때문에 응용 분야와 활용성에 있어서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360도 파노라마 영상과 게임엔진을 활용하여 상호작용이 가능한 고해상도 VR 서비스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특히 복잡한 연산이 소요되는 배경 영상은 파노라마 영상으로 미리 렌더링하여 생성한 것이므로 낮은 사양의 단말기에서도 높은 프레임 수를 유지하면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사용자의 시점과 움직임에 반응하여 고해상도의 배경영상을 발췌하여 보여주기 때문에 상당한 몰입감을 구현할 수 있다. 본 제안 방법의 효과성을 보이기 위해 가상 동물원 환경을 VR로 구성하여 보았으며 사용자의 상호작용과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해 상호작용 게임을 사례로 보인다.

Strack의 단일 포텐셜 해석해를 이용한 해안지하수 개발가능량 평가 (Assessment of Available Coastal Groundwater Resources Using Strack's Single-potential Analytical Solution)

  • 최뢰;이창해;박남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호
    • /
    • pp.27-34
    • /
    • 2008
  • 해안 지역의 관정에서 지하수를 개발하면 해수가 침투하며 많은 경우 대상 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은 허용될 수 있는 추가 해수침투 거리로 제한된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허용 추가 해수침투 거리를 위배하지 않는 해안 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평가할 수 있는 수식을 개발하였다. 개발가능량 산정을 위한 수식의 유도에는 Strack의 단일 포텐셜 해석해가 이용되었다. 개발가능량은 추가 허용 해수침투 거리를 늘림에 따라 증가하지만 critical point로 인하여 최대값이 제한된다. 개발가능량 산정식은 설계곡선의 형태로도 제시되었다. 유도된 식 또는 설계곡선을 이용하면 기본계획 단계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을 쉽게 평가할 수 있다.

원전 안전통신망을 위한 TDMA 기반의 프로토콜 개발 (Development of TDMA-Based Protocol for Safety Networks in Nuclear Power Plants)

  • 김동훈;박성우;김정헌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시스템및제어부문D
    • /
    • 제55권7호
    • /
    • pp.303-312
    • /
    • 2006
  • This paper proposes the architecture and protocol of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for the safet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First, we establish four design criteria with respect to determinability, reliability, separation and isolation, and verification/validation. Next we construct the architecture of the safety network for the following systems: PPS (Plant Protection System), ESF-CCS (Engineered Safety Features-Component Control System) and CPCS (Core Protection Calculator System). The safety network consists of 12 sub-networks and takes the form of a hierarchical star. Among 163 communication nodes are about 1600 origin-destination (OD) pairs created on their traffic demands. The OD pairs are allowed to exchange data only during the pre-assigned time slots. Finally, the communication protocol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design factors for the safety network. The design factors include a network topology of star, fiber-optic transmission media, synchronous data transfer mode, point-to-point link configuration, and a periodic transmission schedule etc. The resulting protocol is the modification of IEEE 802.15.4 (LR-WPAN) MAC combined with IEEE 802.3 (Fast Ethernet) PHY. The MAC layer of IEEE 802.15.4 is simplified by eliminating some unnecessary (unctions. Most importantly, the optional TDMA-like scheme called the guaranteed time slot (GTS) is changed to be mandatory to guarantee the periodic data transfer. The proposed protocol is formally specified using the SDL. By performing simulations and validations using Telelogic Tau SDL Suite, we find that the proposed safety protocol fits well with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safety system in nuclear power plants.

스마트 교육 커뮤니티 정보기반 도시재생 (Information-Based Urban Regeneration for Smart Education Community)

  • 김우영;서붕교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2호
    • /
    • pp.13-20
    • /
    • 2018
  •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ublic cases of information facilities in terms of central circulations in multi level volumes such as atrium or court which provide visual intervention between different spaces and physical connections such as bridges. Hunt Library design balances the understood pre-existing needs with the University's emerging needs to create a forward-thinking learning environment. While clearly a contemporary structure within a traditional context of the NCSU campus, the Hunt Library provides a positive platform for influencing its surroundings. Both technical and programmatic innovations are celebrated as part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provide a versatile and stimulating environment for students. Public library as open spaces connecting to an interactive social domain over communities can provide variety of learning environments, or technology based labs. There are many cases of the public information spaces with dynamic networks where participants can play their roles in physical space as well as in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In the research, new public projects provide typologies of information spaces with user oriented media. The research is to address a creative transition between the reading space and the experimental links of the integration of state-of-the-art technology is highly visible in the building's design. The user-friendly browsing system that replaces the traditional browsing with the virtual shelves classified and archived by their form, is to reduce the storage space of the public library and it is to allow more spa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addition to the intelligent robot of information storages, innovative features is the large-scale visualization space that supports team experiments to carry out collaborative online works and therefore the public library's various programs is to provide visitors with more efficient participatory environment.

애니메이션 <드래곤 길들이기>의 연출 분석 (Analysis of Animation < How To Train Your Dragon >)

  • 안종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162-170
    • /
    • 2011
  • 이 논문의 목적은 <드래곤 길들이기>를 통해 성공한 할리우드 애니메이션을 연출적인 관점에서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크리스 샌더스와 딘 데블로이스의 >드래곤 길들이기>는 모험, 코미디, 판타지, 가족물의 기본적인 내러티브 원리에 충실하면서도 그 주제의 전달과 시각적 표현력에 있어 상당수준의 완성도를 보인 애니메이션이라고 할 수 있다. 연출분석은 크게 내용과 형식으로 구분한다. 내용적인 측면에서는 가족물로써 부자간의 간극을 다룬 주제를 바탕으로 서사구조와 주요 캐릭터 설정, 플롯 속의 아이러니, 캐릭터성과 대중성이 도드라진다. 형식적인 면에서 자본력을 바탕으로 한 조명과 특수효과, 디자인과 레이아웃, 3D 기술과 입체 카메라 기법 역시 뛰어나다. 이 작품이 높이 평가 받을 수 있는 가장 큰 요인은 흥행과 대중성을 지키면서도 거부감없이 철학적인 주제를 성공적으로 담아냈다는 것에 있다. 또한 기획에 많은 인력이 필요하기에 시스템적으로 운영되지만 감독의 뛰어난 연출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비디오 프로그램을 통한 정보제공이 위암조기발견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Videotape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rcinoma)

  • 김명주;태영숙
    • 종양간호연구
    • /
    • 제2권1호
    • /
    • pp.61-71
    • /
    • 2002
  • Gastric Carcinoma is very plentiful and significant disease in Korean community. The reason is that Gastric Carcinoma is not a simply finding disease with unclear symptoms for early detection. Early detection and early medical treatment of a cancer patient is an important instrument of reducing the mortility ra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videotape infulencing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rcinoma.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te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 members of D-taxi drivers which was located in Pusan. The subjects were twenty six experimental group and twenty six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llected from January 15, 1999 to January 26, 1999. The control group was collected from the research was 28 minutes video program which was turning out the form of documentary on the based practical experience. And also the experimental tool was used measurung instrument which measured a dependent, variable throughout the consulatation of an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chi}^2-test$ and t-test using spss/pc progra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 1)"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offered the video program, should be higher in knowledge of early detection of the gastric carcinoma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 -7.754, p=.000) 2)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offered the video program, should be higher in attitude of the early detection of the gastric carcinoma than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t=-4.321, p=.000) Therefore, in conclusion, this study that the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videotape influencing on knowledge and attitude of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rcionma was very representational experience throughout the video of documentary form on the based practical experience was much effected the change of the knowledge and the attitude regarding to the early detection of the gastric carcinoma was verified.

  • PDF

AI 융합 교육이 초등학생의 AI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on Students' Perception of AI)

  • 이재호;이승규;이승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483-490
    • /
    • 2021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의 중요성은 나날이 커지고 있으며, 인공지능 교육이 미래에 큰 혁신을 가져오리라는 것에 대해 이견이 없다. 인공지능 교육을 위해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인공지능을 어렵고 두려운 대상으로만 인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융합교육을 시행한 후에 학생들의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변화를 분석하였다.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6차시 동안 진행하였으며, 인공지능에 관한 관심, 인공지능이 가지고 올 변화,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이해 등 인공지능 인식조사 설문지를 바탕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요소에서 인공지능 융합 교육을 통하여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 정도가 향상되었다는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인공지능 융합 교육이 사회적인 요구와 미래 학생을 위한 교육으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학생 중심의 교육 실행이 필요할 것이다.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델의 설계와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예비화학교사의 모델의 본성에 대한 인식 분석: 보일 법칙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Cognition of the Nature of Model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Process of Models Using Technology: Focusing on Boyle's Law)

  • 정나진;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5호
    • /
    • pp.378-3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모델의 설계와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모델의 본성에 대한 예비화학교사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중부 지역에 있는 사범대학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화학교사 19명을 대상으로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보일 법칙에 관련된 실험 현상을 관찰하고,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관찰된 실험 결과와 관련된 모델을 설계하고 개발하도록 요구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모델의 본성을 표상적 측면과 설명적 측면으로 분류하고, 표상적 측면은 표상화, 함축화, 간단화로, 설명적 측면은 분석, 해석, 추론, 설명, 정량화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분류를 기준으로 하여 예비화학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상적 측면의 표상화에서는 부피가 변하는 공간을 표현한 형태로 획일화되어 있었으며, 함축화에서는 압력을 실린더 내부의 밝기나 입자의 색 변화 빈도로 표현하였다. 간단화의 경우에는 입자 충돌을 완전탄성충돌로 표상화하였으나, 입자의 종류를 간단히 표상화하지 못하는 그룹들이 있었다. 설명적 측면에서는 분석의 경우 부피를 조작 변인으로 구분하였으며, 해석의 경우 대부분 그룹이 기체 입자의 충돌로 압력의 변화를 해석하였다. 그러나 추론에 관련된 인식은 많이 관찰되지 않았다. 설명의 경우 입자가 충돌하는 면적을 설정하지 않거나 잘못 설정하여 설명에 성공하지 못한 그룹들이 있었으며, 정량화에서는 단위시간 당 충돌 횟수를 수식화한 그룹들과 이와는 반대로 충돌 횟수를 수치화하지 못하여 정량화하지 못한 그룹들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