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sitive Parenting Behavior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초

청소년의 개인, 부모, 학교 요인과 비행 경험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Parent, School Factors and Delinquency Experience of Adolescents)

  • 김영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264-275
    • /
    • 2022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인지하고 있는 개인적 요인으로서 사회적 위축, 우울, 공격성,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 요인으로서 친구 관계, 학업 무기력과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 비행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PYS 2018) 1차년도 데이터 중에서 중학교 1학년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청소년의 개인 요인으로서 우울, 공격성, 사회적 위축, 부모 요인으로서 부정적 양육태도, 학교요인으로서 학업 무기력, 부정적 친구관계, 스마트폰 과의존, 끈기 등이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요인, 부모 요인, 학교 요인이 청소년의 비행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스마트폰 과의존과 끈기는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먼저, 청소년에 대한 고정 관념을 깨고 청소년의 비행 행동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청소년들의 기대감이 무엇인지 파악해야 한다. 둘째, 부모의 일관성 있는 양육 태도와 효과적인 양육을 위해 부모 및 조부모 대상으로 실질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청소년의 친구 관계 향상을 위해 긍정적인 자기 인식, 올바른 인간관계 형성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올바른 스마트폰 사용법과 충동성을 완화시키는 상담적 개입과 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신증후군 환아의 극복력과 우울의 관계분석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 김동희;유일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4-540
    • /
    • 2004
  •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resilience and to identify variable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Method: Data was collected from 45 children who were registered at one hospital in Seoul. The criteria for sample selection were 10 to 15 year-old children who were diagnosed at least 6 month prior. The instruments includ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resilience by Kim, CDI by Beck, and MBRI by Kwak. Descriptiv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Result: The mean score of depression was 11.44 (range:0-54) and resilience was 97.47 (range:32-128).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age (r=0.302, p<.005) and academic achievement (r=-0.318, p<.005). In addition,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depression and maternal attitude (r=-0.412, p<.001) and resilience (r=-0.649, p<.001) occurr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maternal behavior (${\beta}$=-0.421, p<.005) and resilience (${\beta}$=-0.639, p<.001) were related to depression. Conclusion: Children with higher resilience and with an affectionate mother were less depressed. Thu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strengths of children and help them to increase resilience and implement parenting and counseling programs for parents' of these children. Similar studies with children with other chronic illnesses are needed.

남녀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Effects of Individual Psychology and Family Variables on Adolescents' Peer Relationships)

  • 안수영;이형실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3-176
    • /
    • 2009
  •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또래관계의 양상과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개인심리 및 가족요인이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친구관계의 질, 또래괴롭힘, 자아존중감, 우울,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부부갈등의 척도를 구성하여, 서울시내 11개의 지역교육청에서 각각 한 개의 남녀공학 중학교를 선정하고, 2, 3학년 학생 1,4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분석에 1,397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관계 즉, 친구관계의 질과 또래괴롭힙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친구관계의 질은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또래괴롭힘에는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더 많이 노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개인심리요인과 가족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면, 먼저 남자 청소년의 친구관계의 질에는 부모의 감독, 자아존중감, 부모의 양육태도, 부부갈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의 친구관계의 질에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존중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 청소년의 또래괴롭힘에는 우울, 자아존중감, 부부갈등,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여자 청소년의 또래괴롭힘에는 우울,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존중감, 부모의 감독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영아의 사회·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 among Infants' Temperament,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Infa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Development)

  • 유지은;신애선;김경후;송미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79-2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 아버지의 양육 참여와 영아의 사회 정서 행동발달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J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55개 어린이집의 만 1~2세 영아의 부모 3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 중 여가지도, 생활지도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고, 사회 정서행동의 외현적 문제행동인 활동성/충동성과 정적인 상관이 나타났다.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사회 정서행동의 주의집중, 모방/놀이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 정서행동은 영아기질 접근회피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최종모형의 변인 간 경로계수를 통한 적합도 검증결과, 영아기질은 아버지 양육참여와 사회 정서행동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경로임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영아의 사회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아기질과 아버지 양육참여의 역할을 확인하고, 영아기 자녀의 사회 정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양육참여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gender role Stereotypes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e use of Latent Growth Model-

  • Ju, Sun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6호
    • /
    • pp.189-19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bout the effects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on self-esteem and gender role stereotype during adolescence and to reveal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adolescents' gender role strerotyp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and condition variables. For this purpose, used the Second Grade longitudianl Panel data of Middle School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ay(KYPS). And the latent growth model was analyzed 3,449 men and women adolescents' cases of the first, the fourth and the sixth wave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administered by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nvestigate whether self-esteem mediates parental rearing behavior and male and female gender role Strero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rect effect between variable factors showed that the more positive the parenting behavior of the second grader of middle school is, the more positive the self-esteem of male adolescents and the initial value of stereotypes of male gender role. It also affects the self-esteem of female adolescents and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ale gender role stereotypes were decreased in influence by the rate of chang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of self-esteem were statistically influenced to the male gender role stereotypes and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higher the self-esteem.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between the initial valu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 and initial stereotype of male gender role, but there was no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between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stereotypes of female gender roles and there was no longitudinal mediation effect. The effect of condition variable gender was found that female adolescents are more affected by paretal rearing behavior than male adolescents and also affected by the growth process. The monthly income of households influenced the initial value of parental rearing behaviors and showed a difference in parental rearing behavior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the higher the mother 's educational level, the more the self-esteem of male adolescents was affected.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과 청소년기 자녀 진로 지원 (Acculturation Strategies of Immigrated Women and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 강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259-269
    • /
    • 2019
  •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자녀 진로지원 특성과 청소년 의 진로 관련 행동의 차이를 보고하기 위하여 실행되었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 중 총 1,248사례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은 동화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다음으로는 통합, 분리, 주변화의 순서로 나타났다. 둘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자녀의 진로지원 특성에서는 부모의 효능감, 진로 관련 행동과 부모의 지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이주 여성의 문화적응 유형에 따른 청소년기 자녀의 진로태도와 진로 장벽 인식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어머니의 문화적응 유형이 동화인 경우 부모 효능감, 진로 관련 행동, 부모의 지지, 청소년 자녀의 진로태도와 진로장벽 인식에서 긍정적인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자녀를 둔 이주 여성 가족 지원을 위한 자료로 의미를 갖는다.

Early childhood eat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risk of overweight and its socio-ecological determinants in Korean preschool children

  • Yeri Kim ;Jiye Kim ;Bomi Lee ;Seungyoun Jung;Seo-Jin Chung ;Hyekyeong Kim ;Nana Shin ;Yuri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4호
    • /
    • pp.717-734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preschool children's eating behaviors associated with early childhood obesity and its multi-level, socio-ecological determinants. SUBJECTS/METHODS: In a cross-sectional study of 364 mothers of preschool children aged 3-5 years, these children's healthy eating behaviors were assessed using a validated preschool nutrition quotient (NQ-P) questionnaire. The children's overweight or obesity statuses were determined based on body mass index percentiles from the 2017 Korean National Growth Chart.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NQ-P score and risk of overweight or obesity were examined using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The associations of individual, maternal, physical, and media environmental factors with the NQ-P score were also examined using multivariable linear regression. RESULTS: Preschool children with greater NQ-P scores were at a significantly lower risk of overweight or obesity (P < 0.01). The NQ-P scor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with maternal body mass index and an inverse association with household income (all P < 0.05). Maternal parenting and feeding practices exhibited associations with the NQ-P score. Positive associations were observed with "warm," "structured," and "autonomy-supportive" parenting as well as monitoring feeding practices (all P < 0.05). In addition, the NQ-P scor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childcare center's anti-obesogenic environment, such as the provision of nutritional and physical-activity support and vicinity of the built food environment to the home, including access to good-quality food, fruits and vegetables, and low-fat foods (all P < 0.05). Regarding media environments, the NQ-P score demonstrated more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viewing and eating and/or cooking content displayed on online video platforms (all P < 0.05) than with that on television. CONCLUSIONS: Our findings confirm the significance of healthy eating behaviors in early-childhood-obesity prevention and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multilevel maternal, physical, and media environmental interventions that effectively guide eating behaviors in preschool children.

어머니의 스마트폰 의존과 양육죄책감이 유아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and Maternal Guilty Feelings on Early Childhood Emotion Regulation)

  • 배선미;최영희;송승민;차승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1-31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and maternal guilty feelings on early childhood emotion regulation. The subjects were 326 mothers of 2 to 5 year olds. Mothers' smartphone dependency was assessed by the 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2006), guilty feelings by the Maternal Guilt Scale(Sung 2011), and early childhood emotion regulation assessed by the ERC(Park 2012).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dependency on smartphones was highly related with early childhood emotion regulation. Maternal guilty feelingswere weakly related with child's emotion regulation.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dependency on smartphones and maternal guilty feelingswasmoderate. Second, mother's positive expectations towardssmartphones and maternal guilty feelings from negative parenting behavior explained early childhood emotion regulation as much as 69%.

Modeling The Dynamics of Grit; Goal, Status, Effort & Stress (GSES)

  • Sangdon Lee;Jungho Par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10-29
    • /
    • 2023
  • Grit or perseverance as a factor for student success and life has gained increasing attention.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the norm in analyzing various aspects of grit, but they do not address the transient and dynamic behavior well. We, for the first time, developed two linear dynamical models that specifically address the feedback structure of a child's desire to achieve a high grade point average (GPA) and the necessary effort that will increase stress between parents and a child. We call the dynamical model as GSES (Goal, Status, Effort & Stress). The two dynamical models incorporate the positive (i.e., achieving a high GPA) and the negative sides (i.e., effort and elevated stress and thus unhappiness) for being gritty or perseverant. Different types of parenting style and a child's characteristics were simulated whether parents and a child are empathetic or stubborn to their expectations and stress (i.e., willing or unwilling to change). Simulations show that when both parents and a child are empathetic to each other's expectation and stress, the most stable situations with minimal stress and effort occur. When a stubborn parent's and a stubborn child were studied together, this resulted in the highest elevation of stress and effort. Stubborn parents and a complying or empathetic child resulted in considerably high stress to a child. Interference from parents may unexpectedly result in a situation in which a child's stress is seriously elevated. The GSES model shows the U-shaped happiness curve (i.e., reciprocal of stress) caused by the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goal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 부모의 양육효능감 및 부모-아동 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 주도 가정 기반 음악프로그램의 실행 가능성 (Feasibility of a Parent-Led Home-Based Music Program to Enhance Parental Competence and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ASD)

  • 양혜영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20권2호
    • /
    • pp.89-113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ASD 아동 부모가 자녀와 함께 가정에서 음악 프로그램을 직접 실행하는 것이 양육효능감과 부모-아동 관계 증진에 도움이 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만 3세-9세 사이의 ASD 아동의 부모 10명이 참여하였고, 각 부모는 주 1회, 30분씩 개별로 이루어진 사전 교육에 참여한 후 총 5주간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가정 기반 음악 프로그램은 부모가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음악을 적용한 활동을 구성하고, 아동과의 상호작용이나 부모가 활동에 관하여 결정하거나 조정할 수 있는 수준을 수용적인 수준에서부터 능동적, 자율적 수준까지 총 3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 결과, ASD 아동 부모가 한 주간 음악 활동을 실행한 평균 횟수는 2.5회, 평균 진행 시간 9.2분으로 나타났으며, 부모가 지각하는 '편안함'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도움이 된 정도'의 인식이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효능감, 부모-아동의 '친밀감' 영역에서도 유의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대상자들은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ASD 아동의 가족을 지원할 때, 가족의 고유한 특성과 필요를 고려하는 중요성과 다양한 음악 활용 방안을 지원하는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 및 부모의 보고 내용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추후 가정 기반 음악 활동 및 프로그램에서 실행 가능한 수준과 범위, 고려 사항을 제안하는 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