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tulaca oleracea L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초

쇠비름(Portulace oleracea)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in vitro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와 그 활성성분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 and in vitro Lipid Peroxidation Inhibition by Portulaca oleracea)

  • 이희정;이범종;이동석;서영완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165-169
    • /
    • 2003
  • 쇠비름 (Portulaca oleracea)의 항산화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MeOH과 CH$_2$Cl$_2$를 이용해서 추출하여 crude extract를 조제하였다. 그리고 이 조추출물 (crude extract)에 대해 n-hexane, 15% aq. MeOH, EtOAc, n-BuOH, $H_2O$로 순차적으로 용매분획하였다. 쇠비름의 조추출물과 각 분획물들에 대해 DPPH radical 소거능과 마우스 간 균질물 (homogenate)을 이용한 과산화지질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쇠비름 조추출물이 DPPH 라디칼에 대한 강한 소거작용과 in vitro 과산화지질 억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효과에 대한 $IC_{50}$/은 53.33 $\mu\textrm{g}$/$m\ell$로 천연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 (1.25 $\mu\textrm{g}$/$m\ell$)와 a-tocopherol (6.99 $\mu\textrm{g}$/$m\ell$)보다는 약하지만, 합성 항산화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BHT(87.84 $\mu\textrm{g}$/$m\ell$)보다는 월등히 뛰어난 라디칼 소거능이 관찰되었다. 또한 각 분획물 중 EtOAc와 n-BuOH 분획물의 DPPH라디칼 소거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마우스 간 균질물(mouse liver homogenate)을 이용한 과산화지질 저해효과에 대해서도 쇠비름 조추출물의 농도의존적인 (0.1 mg/$m\ell$~5 mg/$m\ell$) 상관성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n-BuOH 분획물은 L-ascorbic acid의 효과와 거의 대등한 것을 나타났다. 이것으로 쇠비름 조추출물이 항산화효과 (in vitro)가 있음이 증명되었으며, 이 항산화활성은 극성이 비교적 큰 화합물들에 의한 것임을 추정할 수 있다. 현재 쇠비름 추출물로부터 항산화활성성분을 분리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The Involvement of AMPA Receptor in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the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in Mice

  • Park, Soo-Jin;Choi, Min-Ji;Chung, Sun-Yong;Kim, Jong-Woo;Cho, Seung-Hun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71-280
    • /
    • 2013
  • Objectives : The development of natural drugs with antidepressant effects is important and need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the distilled water extract of Portulaca oleracea L. (POL) in a mouse model and to investigate the role of ${\alpha}$-amino-3-hydroxy-5-methyl-4-isoxazole-propionic acid (AMPA) receptors in producing these antidepressant-like effects. Methods : The forced swim test (FST) and tail suspension test (TST)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anti-depressive-like effects of POL in mice. Additional behavioral experiments with 2,3-dihydroxy-6-nitro-7-sulfamoyl-benzo[f]quinoxaline-2,3-dione, an AMPA receptor antagonist, were undertaken to determine the involvement of the antidepressant-like properties of POL in AMPA receptor throughput. Results : Oral administration of the POL extract (100 mg/kg) 1 h prior to testing significantly reduced the immobility times in the FST and TST. The antidepressant-like effects of the POL extract were not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Pre-treatment with NBQX significantly attenuated the reduction in immobility time induced by the POL extract in the FST. Conclusions : The distilled water extract of POL has antidepressant-like effects, which may be related to AMPA receptor. Pre-treatment with NBQX significantly attenuates the reduction in immobility time induced by the POL extract in the FST.

쇠비름 추출물의 미백 및 항노화, 항염증 효과 (The Melanin Inhibition, Anti-aging and Anti-inflammation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Extracts on Cells)

  • 장뢰;이현진;윤영민;김수미;김현숙;리순화;안성관
    • KSBB Journal
    • /
    • 제24권4호
    • /
    • pp.397-40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생물공학 기반 기술로서 이미 한방 화장품의 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쇠비름 에탄올 추출액의 tyrosinase 저해, collagen 합성, 항염증 기대 효과, 항노화 대한 효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B16F10 mouse melanoma cell, NIH3T3 mouse embryonic fibroblast, MCF-7 human breast adenocarcinoma cell에 쇠비름 추출액을 처리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쇠비름 에탄을 추출액 (0.5mg/mL)은 tyrosinase 발현을 억제하여 멜라닌 합성을 억제하며, 농도 의존적으로 NIH3T3 mouse fibroblast 세포의 collagen 합성을 촉진시켰다. 또한 2.0 mg/mL 농도의 쇠비름 추출액은 목단피보다 더욱 효과적으로 cytokine (TNF-$\alpha$)에 의한 NF-${\kappa}B$ 활성을 억제시켰다. Doxorubicin에 의한 과노화에서도 효과적인 항노화 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yrosinase 합성을 억제하므로 미백에 대한 효과와 세포의 생장을 도와 collagen 합성을 촉진함으로서 노화방지에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되며, TNF-$\alpha$에 의한 NF-${\kappa}B$의 활성화를 저해함으로서 염증반응 억제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모돈 사료 내 Portulaca oleracea L.의 첨가가 번식성적, 혈액성상, 면역반응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rtulaca oleracea L. Supplementation on Reproductive Performance, Blood Profiles, Immune Response and Fecal Microflora in Multiparous Sows)

  • 오승민;최요한;정현정;전세민;김진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277-284
    • /
    • 2020
  • 본 실험은 모돈 사료 내 Portulaca oleracea L.(POL)의 첨가가 번식성적, 혈액성상, 면역반응 및 분 중 미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총 20두의 모돈(Landrace×Yorkshire; 229.2±1.15 kg)을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에 기반하여, 2처리 10반복, 반복당 1두씩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실험 처리구는 옥수수-대두박 기초사료를 대조구로 하여 기초사료 내 POL을 0.05% 첨가한 처리구가 포함되었으며, 분만 직후부터 포유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사료 내 POL을 첨가하였을 때, 모돈의 체중, 등지방두께 및 번식성적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혈액성상에서 사료 내 POL의 첨가하였을 때, 모돈의 림프구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면역반응에서 사료 내 POL을 첨가하였을 때 포유모돈의 혈 중 IL-1β의 수치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IgG는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p=0.051). 분 중 미생물에서는 POL 처리구에서 포유모돈의 coliforms이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p=0.063). 본 실험의 결과들을 종합해보면, 사료 내 POL의 첨가는 번식성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모돈의 혈액성상, 면역반응 및 분 중 미생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을 시사한다.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에 있어서 잎과 줄기의 돌나물 과형 유기산대사(CAM)의 비교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rassulacean Acid Metablism in Leaves and Stems of Portulaca oleracea L.)

  • Chang, Nam Kee;Ki Hwan Lee;Heui Baik Kim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4권3_4호
    • /
    • pp.114-123
    • /
    • 1981
  • 본 연구는 쇠비름(Portulaca oleracea L.)의 잎과 줄기에서 광합성양식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산도의 변화, 형태와 구조 및 기공저항 등을 조사비교하였다. 광주기가 12시간인 자연상태에서 자생하고 있는 어린 쇠비름에 대한 산도의 일변화는 잎보다 줄기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잎을 제거한 줄기의 산도의 일변화량은 잎을 제거하지 않은 정상적인 것보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잎과 줄기를 잘라서 4일간 계속 암처리하였을 때 산도의 일변화가 줄기에서는 3일간 유지되었으나 잎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암처리중인 일부의 시료에 15 Klux의 광처리를 하였을 때 암처리중인 시료보다 더 뚜렷한 산도의 감소(light deacidification)를 나타내었다. 잎은 Kranz형의 구조를 보였으나 줄기에서는 큰 액포를 가지는 육질성 세포에 엽록체가 드물게 분포하는 구조를 나타내었다. Mesophyli succulence(Sm)는 잎이 1.38, 줄기는 6.51의 값을 나타내었다. 잎은 평균 5,275$cm^{-2}$의 기공수를 나타내었으나 줄기에서는 기공이 발견되지 않았다. 자연상태에서 자라고 있는 어린 쇠비름의 잎의 기공저항은 주간에 40sec$cm^{-1}$로 높고 야간에 5sec$cm^{-1}$ 정도로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쇠비름의 잎이 $C_{4}$형으로 알려졌으나 줄기에서는 CAM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는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ucumovirus에 의한 약용식물(藥用植物) 바이러스병(病)의 발생(發生)에 대하여(I) (Virus Diseases of Medicinal Plants infected by Cucumovirus(I))

  • 이준탁;박인철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9권
    • /
    • pp.115-125
    • /
    • 1991
  • 우리나라와 일본(日本)에서 야생 또는 재배되고 있는 약용식물(藥用植物)의 바이러스병을 조사한 결과 33종의 식물이 자연상태에서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에 감염되어 있음을 알았다. 이들 중에서 개맨드라미(Celosia argenteia)와 쇠비름(Portulaca oleracea)의 모자이크병(가칭(假稱)), 쥐방울덩굴(Aristolochia debilis)과 번행초(Tetragonia expansa)의 괴저(壞疽)모자이크병(가칭(假稱)), basella(Basella rubra)윤문병(輪紋病)(가칭(假稱)), 석결명(Cassia torosa)과 시호(Bupleurum falcatum), 당귀(Angelica acutiloba), 구릿대(A. keiskei), 회향(Foeniculum vulgare), peucedanum(Peucedanum japanicum)의 반문병(斑紋病)(가칭(假稱))등 11종의 바이러스병명(病名)을 새로히 명명(命名)하였다.

  • PDF

A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promotes insulin secretion via a K+ATP channel dependent pathway in INS-1 pancreatic β-cells

  • Park, Jae Eun;Han, Ji So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3호
    • /
    • pp.183-190
    • /
    • 2018
  • BACKGROUND/OBJ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how a Portulaca oleracea L. extract (POE) stimulates insulin secretion in INS-1 pancreatic ${\beta}-cells$. MATERIALS/METHOD: INS-1 pancreatic ${\beta}-cells$ were incubated in the presence of various glucose concentrations: 1.1 or 5.6, 16.7 mM glucose. The cells were treated with insulin secretagogues or insulin secretion inhibitor for insulin secretion assay using an insulin ELISA kit. In order to quantify intracellular influx of $Ca^{2+}$ caused by POE treatment, the effect of POE on intracellular $Ca^{2+}$ in INS-1 pancreatic ${\beta}-cells$ was examined using Fluo-2 AM dye. RESULTS: POE at 10 to $200{\mu}g/mL$ significantly increased insulin secretion dose-dependently as compared to the control. Experiments at three glucose concentrations (1.1, 5.6, and 16.7 mM) confirmed that POE significantly stimulated insulin secretion on its own as well as in a glucose-dependent manner. POE also exerted synergistic effects on insulin secretion with secretagogues, such as L-alanine, 3-isobutyl-1-methylxanthine, and especially tolbutamide, and at a depolarizing concentration of KCl. The insulin secretion caused by POE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treatment with diazoxide, an opener of the $K{^+}_{ATP}$ channel (blocking insulin secretion) and by verapamil (a $Ca^{2+}$ channel blocker). The insulinotropic effect of POE was not observed under $Ca^{2+}$-free conditions in INS-1 pancreatic ${\beta}-cells$. When the cells were preincubated with a $Ca^{2+}$ fluorescent dye, Fluo-2 (acetoxymethyl ester), the cells treated with POE showed changes in fluorescence in red, green, and blue tones, indicating a significant increase in intracellular $Ca^{2+}$, which closely correlated with increases in the levels of insulin secretion.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OE stimulates insulin secretion via a $K{^+}_{ATP}$ channel-dependent pathway in INS-1 pancreatic ${\beta}-cells$.

쇠비름 즙액(汁液)의 항균작용(抗菌作用) (Antifungal Activity of Extract of Common Purslane (Portulaca oleracea L.))

  • 박종성;권진숙;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2호
    • /
    • pp.190-193
    • /
    • 1984
  • 쇠비름즙액(汁液)(원액(原液))은 사과 부란병균(病菌)(Valsa mali), 배 검은무늬병균(病菌)(Alternaria kikuchiana), 벼 도열병균(病菌)(Pyricularia oryzae)등 몇가지 식물병원균(植物病原菌)에 대한 항균작용(抗菌作用)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항균작용(抗菌作用)을 나타내는 물질(物質)은 메타놀에 잘 용해(溶解)되며 지질(脂質)에 속하는 물질(物質)로 추정(推定)된다. 그리고 쇠비름즙액(汁液)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항균물질(抗菌物質)은 균채신장억제(菌采伸長抑制) 뿐만 아니라 포자발아억제(胞子發芽抑制) 효과(效果)를 보여주고 있다.

  • PDF

천연에서부터 제초활성물질의 탐색 - 제2보 둥근잎가정큰나무(Rhathiolepis ovata Briat)로 부터 Pinoresinal의 단리 및 생물활성 (The Search for Naturally Occurring Herbicidal Compounds - II. Isolation of Pinoresinol from Rhathiolepis ovata Briat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안종웅;최정섭;조광연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6-79
    • /
    • 1989
  • 둥근잎가정큰나무(Rhathiolepis ovata Briat)에 함유된 발아억제물질을 정제하는 과정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는 주 활성본체의 함유량이 미량(1 ppm 이하)임을 발견하고, 이 물질의 효율적인 분리방법을 모색키 위하여 그 구조에 대한 지견을 얻을 목적으로 각종 chromatography 상에서 이 활성 본체와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물질의 존재를 확인하여 분리한 후, 구조를 분석한 결과 pinoresinol 임을 알수 있었다. 이에 따라 pinoresinol이 둥근잎가정큰나무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지게 되었으며 pinoresinol의 공시종자에 대한 발아억제활성은 논피, 바랭이, 참방동사니, 큰달맞이꽃의 종자에는 안정되지 않았으나, 쇠비름종자에 대해서는 5000 ppm에서 55% 정도 발아를 억제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