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rk loin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19초

Effects of Crude Proteases Extracted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on Tenderizing Pork Meat

  • Kim, Jin-Man;Choi, Yun-Sang;Choi, Ji-Hun;Choi, Gooi-Hun;Lee, Jang-Hyun;Paik, Hyun-Dong;Kim, Cheon-Je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1-4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 crude protease from Bacillus polyfermenticus on tenderizing pork meat. A B. polyfermenticus protease was characterized, and pork loin samples were treated in solutions containing different enzymes (papain and proteases from Aspergillus oryzae and B. polyfermenticus) and stored for 24, 72, or 168 h at $4^{\circ}C$. Each treated sample was subjected to a quality assessment. B. polyfermenticus protease activity was lower than that for other enzymes tested, although it easily hydrolyzed the meat protein.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activity of this protease were $50^{\circ}C$ and pH 7.0. The meat tenderizing activity of the protease from A. oryzae was higher than that of papain and the B. polyfermenticus protease. The fragmentation index of the enzyme-treated with the B. polyfermenticus protea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 sensory evalu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meat treated with proteases, but the overall tenderness of enzyme-treated mea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s. Therefore, the B. polyfermenticus protease, papain, and the A. oryzae protease appear to be suitable for use as meat tenderizers.

전자선 조사에 의한 국내산 신선 돈육의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 변화 (Effects of Electron Beam Radiation on the Microflora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 민중석;김일석;이무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746-750
    • /
    • 1999
  • 본 실험은 전자선조사가 돈육등심의 미생물학적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로써 돈육등심부위를 사용하여 호기적 조건하에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포장하여 전자선 가속기를 이용(1 MeV) 총 흡수선량이 0.5, 1, 2 kGy가 되도록 하여 $4{\pm}1^{\circ}C$에서 저장하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자선 조사선량의 증가가 총균수, 내냉성균수 그리고 젖산균수의 억제 효과를 보였다. 관능검사에 있어 삼점검사의 경우 전자선량의 증가하여도 처리구간의 식별강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척도 묘사의 경우 신선육의 향기, 불쾌취, 육색 그리고 기호성에 별 영향이 없었으며, 조리육에 있어도 약간의 연도와 다즙성의 저하를 가져왔으나 향기, 풍미, 불쾌취, 기호성에 별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전자선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을 새롭게만 한다면 1 kGy 이하로 조사할 경우 위생적으로 저장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신선 돈육의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ffects of Addition of Tomato Powder on Colour,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Traits of Pork Jerky during Storage

  • Kim, Il-Suk;Jin, Sang-Keun;Jo, Cheorun;Lee, Mooha;Yang, Mi-Ra;Kim, Ji-Hye;Kang, Suk-Na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8-724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tomato powder [1.0% (T1), 1.5% (T2) and 2.0% (T3)] on pork loin jerky with aerobic package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T3 sample showed lower (p<0.05) pH value and higher (p<0.05) water activity than the control during storage. Total plate counts of treated samples (${\geq}1.20$ Log CFU/g) were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the control (1.46 Log CFU/g) during storage. With the increase of the tomato powder concentration the lightness ($L^*$) of the jerky decreased, except at day 30 of storage, but the redness ($a^*$) and yellowness ($b^*$)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during storage. T3 had higher values for hardness and cohesiveness but lower for springiness, gumminess and chewiness than others at day 40 of storag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BARS values among the samples during storage. In sensory properties, the color scores of T3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of control at day 40 of storag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2.0% tomato powder could be used to improve the redness and extend the shelf-life of jerky with increasing water activity, providing the consumer with food containing natural colorant.

Effect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uscle Fibers on Porcine Growth Performance and Pork Quality

  • Lee, Sang Hoon;Kim, Jun-Mo;Ryu, Youn Chul;Ko, Kwang Suk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83-593
    • /
    • 2016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rcine muscle fibers on growth performance,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and pork quality taken from the longissimus dorsi muscle. A total of 239 crossbred pigs (164 castrated males and 75 females) were used in this study. Experimental pigs were categorized by the total number of muscle fiber (TNF: High and Low) and cross sectional area of muscle fiber (CSAF: Large, Middle, and Small). Their combination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High-Large, HL; High-Middle, HM; High-Small, HS; Low-Large, LL; Low-Middle, LM; Low-Small, LS). The TNF and CSAF were significantly (p<0.05) correlated with growth rate and carcass productivity, while the only of the type I number had no meaningful relationships excluding the correlation with loin area (p<0.001). The proportion of type I are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45 min while the proportion of type IIB are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H45 min and pH24 h (p<0.05). Drip loss and protein denaturation had strong relationships with the proportion of type IIB number or area. The HL group exhibited the greatest growth performance. In addition, the HL group had significantly greater values in protein solubility than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 that high TNF combined to large CSAF improve the ultimate lean meat productivity and assure normal meat quality simultaneously with increased both proportion of number and area of type I, type IIA muscle fibers and lowered proportion of number and area of type IIB.

식이유황(硫黃)을 급여한 돈육 등심의 저온저장 중 품질특성 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of Loin from Pigs Supplemented with Dietary Methyl Sulfonyl Methane during Cold Storage)

  • 이정일;민형규;이진우;정재두;하영주;곽석준;박정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29-23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자돈(6.3 kg) 비육 출하시(110 kg)까지 식이유황의 급여가 돈육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3원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135두를 각 처리구 마다 45두씩(돈방당 15두)배치하여 158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구는 식이유황 무첨가, 처리구 1은 300ppm, 처리구 2는 500ppm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wrap으로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8일간 저장하면서 품질특성과 관련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지방산화는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유황 급여 처리구가 낮은 지방산화를 보였으며, 저장기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관능적 특성 중 근내지방 함량과 전체적인 기호성은 유황 500ppm급여 처리구가 대조구와 유황 300ppm급여 처리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는 모든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무기물 중 Na, Mg 및 Ca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황 급여 수준이 증가할수록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p<0.05). Fe, Cu 및 Zn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p<0.05). S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구와 유황 급여 처리구간에 뚜렷한 경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 중 palmitic, stearic과 oleic acid 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유황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p<0.05), 반면에 linoleic와 linolenic acid 함량은 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포화지방산 함량은 유황 급여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반면에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식이유황 급여는 돈육 등심의 품질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중 이화학적 특성변화 (Changes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Accumulated Pork during Storage Time)

  • 이정일;정재두;이진우;이제룡;정진연;양한술;주선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6-249
    • /
    • 2003
  •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비육돈에 급여하여 비육돈체조직내에 CLA를 축적시키고, CLA가 축적된 돈육의 품질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조구는 80∼110 kg 까지는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 110 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함량에 CLA를 2.5% 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돈육의 등심부위를 함기포장하여 냉장온도(4'E)에서 14일간 저장하면서 각 실험항목을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에 따른 돈육등심의 일반성분, 이화학적 특성 및 관능평가등을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돈육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pH변화를 보면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pH를 보여(p<0.05) CLA 급여가 PH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기간에 따른 pH 변화에서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pH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CLA급여 수준과 급여기간이 등심근내 조지방 함량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대조구와 CLA 급여처리구간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CLA급여 처리구가 높은 조지방 함량을 보였다(p<0.05). 보수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저장 초기에는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p<0.05) 낮은 육즙손실을 보였으며,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육즙손실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육색과 총육색소 함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평가 중 육색과 육즙참출은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근내지방 축적 정도와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p<0.05).

BCD를 섭취한 돼지의 부위별 콜레스테롤 함량 (Cholesterol Contents of Pork Fed Dietary β-Cyclodextrin)

  • 강환구;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80-185
    • /
    • 2007
  • 본 연구는 비육말기 돼지에서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beta$-cyclodextrin의 급여가 돈육의 콜레스테롤 수준을 낮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120마리의 돼지에게 0, 5, 7, 10%의 $\beta$-cyclodextrin를 함유하는 사료를 35일 간 급여하였다. 혈액 총지질, 중성지방 및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beta$-cyclodextrin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서 낮게 나타났으며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나타났다(p<0.05). 혈액 100 mL 당 지질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beta$-cyclodextrin 5.0%, $\beta$-cyclodextrin 7.0% 및 $\beta$-cyclodextrin 10.0% 첨가구에서 각각 63.22 mg, 73.98 mg, 82.12 mg의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으며, 중성지방 56.24 mg, 55.48 mg, 60.02 mg, 총콜레스테롤 25.05 mg, 27.17 mg, 30.19 mg의 유의성 있는 감소경향을 보였다(p<0.05). 총스테로이드의 배설은 $\beta$-cyclodextrin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돼지고기의 부위별, 등지방, 삼겹살, 등심 및 햄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서 $\beta$-cyclodextrin 첨가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의적인 감소경향을 나타냈다(p<0.05). 돼지고기의 콜레스테롤 함량 감소율은 $\beta$-cyclodextrin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할 때 15.31% 이상의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p<0.05). 본 연구 결과는 비육말기 돼지사료 내 $\beta$-cyclodextrin를 혼합 급여하여서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아진 새로운 기능성 돈육을 생산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화분발효물을 함유한 Gelidium corneum - 젤라틴 혼합필름의 항균활성과 돈육의 포장재 적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a Gelidium corneum - Gelatin Blend Film Containing Fermented Pollen Extract and Its Application in the Packaging of Pork Loins)

  • 홍윤희;임금옥;송경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1-395
    • /
    • 2009
  • 화분발효물(FPE)을 함유하는 Gelidium corneum - 젤라틴(GCG) 필름을 제조하여 돈육의 포장재로 사용하였다. FPE를 첨가한 GCG필름의 투습계수는 대조구 필름 보다 향상되었고 FPE 첨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Escherichia coli O157:H7와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한 항균효과는 증가하였다. 특히, 0.15% FPE 첨가는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에 대해 대조구 대비 각각 2.98 and 3.68 Log CFU/g 감소시켰다. 또한 돈육 시료를 E. coli O157:H7 와 L. monocytogenes로 접종시킨 후 GCG 필름으로 포장한 후 저장 중 미생물 수의 변화를 측정한 결과,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 시 E. coli O157:H7와 L. monocytogenes 숫자가 저장 4일 후 대조구 대비 각각 1.49, 1.01 Log CFU/g 더 감소시켰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0.15% 화분발효물이 첨가한 GCG 필름으로 포장한 돈육의 유통기한이 증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LA가 축적된 돈육으로 제조된 Press Ham의 지방산 조성 및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Accumulated Pork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 이정일;양한술;정진연;이진우;이제룡;주선태;도창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45
    • /
    • 2004
  • CLA는 alkaline isomerization 방법으로 식용유를 이용하여 전체 CLA 이성체가 56%인 CLA를 화학적으로 합성하였다. 대조구는 80-110kg까지는 일반 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를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1은 출하(출하체중 : 110kg) 2주전부터 일반사료회사에서 생산하는 사료에 CLA를 1.25% 첨가하여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2는 출하 2주전부터 사료함량에 CLA를 2.5%첨가하여 급여하였다. 처리구 3은 사료함량에 1.25% CLA를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였으며, 처리구 4는 2.5% CLA를 4주간 급여하였다. 급여기간이 끝난 후 일괄적으로 함양도축장에서 도축하여 좌 우도체 의심부위를 발골ㆍ정형하여 제조 원료로 사용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 포장하여 냉장온도(4$^{\circ}C$)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조직적 특성분석,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 조성 및 CLA 함량 등을 조사하여 CLA가 축적된 프레스햄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직감의 변화에서 저장기간별 처리구간의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는 인정되었지만 뚜렷한 경향이 없었으며, 저 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에서도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관능검사 중 육색의 변화는 전 저장기간 동안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급여 처리구가 다소 높은 육색을 보였다. 향기는 전 저장기간 동안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조직감은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는데, 저장 1일과 7일에는 대조구가 CLA급여 처리구인 T3, T4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조직감을 보였다.(p<0.05). 전체적인 기호성은 저장 1일에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성을 보였다(p<0.05). 저장 1일 이후에는 CLA 급여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제품의 육색, 향기,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성 변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조구에 비하여 CLA 급여 처리구는 myristic, palmitic 및 stearic acid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며(p<0.05), 반면에 oleic, linoleic 및 arachidonic acid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CLA 함량을 보면 CLA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는 CLA가 검출되지 않았지만 CLA 급여 처리구에서는 CLA 급여수준과 급여기간이 증가할수록 육내 축적율이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 함량의 비는 전 저장기간동안 대조구와 비교하여 CLA 급여 처리구가 낮은 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CLA 급여로 인하여 oleic acid 함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CLA가 축적된 돈육의 이용은 조직감 및 관능적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CLA를 축적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