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pulus alba-glandulosa

검색결과 115건 처리시간 0.025초

식물세포 배양 및 융합을 통한 유용물질 개발(II) (Development of Useful Products Through Plant Cell Fusion and Culture of Populus spp.(II))

  • 김길웅;박용구;최명석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0-165
    • /
    • 1995
  • 현사시나무의 조직 배양 세포에서의 anthocyanin 생산성이 높은 세포계를 얻기 위한 목적으로 실험을 수행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Anthocyanin 생산력이 높은 세포계의 선발은 sucrose 3%, 2, 4-D 0.5 mg/l, BAP 0.1 mg/l가 첨가된 MS 기본배치에서 실시하여 15 개 cell line중에 생성력이 80%에 달한 ACL 11 세포계를 선발하였다. Anthocyanin 생성에는 배지 환경요소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을 밝혀 냈다.

  • PDF

Propagation by Leafy Stem Cuttings Containing Xylem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 Hak Gon, Kim;Seong Hyeon, Yong;Hyung Ho, Kim;Myung Suk, Choi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249-255
    • /
    • 2022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method for the proliferation of hybrid poplar (P. alba × P. glandulosa) clone Bongwha1, an excellent biomass species. It was found that to collect the cuttings of Bonghwa1, it was necessary to use the main stem rather than the axillary branch. Stem growth by green-wood cutting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length of the collected cuttings increased, but the survival rate was low. Therefor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was attempted to increase the survival rate of the cuttings. In the modified leafy stem cutting method, 4 leaves were included in the cuttings, and especially, cuttings were performed using cuttings containing 2-4 cm xylem parts. Leafy stem cutting increased root growth and the number of stems, as well as the survival rate of hybrid poplar clone Bongwha1 compared to green-wood cuttings. The root growth of the leafy stem cutting poplar was better as there was more xylem part. Using two-year-old nursery stocks, the leafy stem cutting was used to produce about 66 cuttings.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mass propagation of high-quality nursery stocks.

수도권매립지에서 생장과 적응력이 우수한 포플러류 및 버드나무 클론 선발 (Selection of Superior Poplar and Willow Clones in Growth Performance and Adaptation Abilities at Sudokwon Landfill Site)

  • 구영본;우관수;여진기;김영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743-750
    • /
    • 2006
  • 쓰레기 매립지에서 생장과 적응력이 우수한 수종 및 품종을 육성하기 위하여 1997년에 포플러류 4수종(10클론)과 도입종 버드나무 1수종(2클론)을 수도권매립지에 식재한 후 1997년부터 2005년까지의 생존율, 생장, 활력, 공해 및 균 해충에 의한 엽 피해, 그리고 천공충에 의한 피해를 각각 조사하였다. 전체 생존율은 1997년에 평균 90%에서 2005년에는 53%로 크게 감소하였다. 포플러 수종 중 현사시가 2005년에 66%의 생존율을 보여 가장 우수한 반면 양황철과 이태리포플러가 41%로 가장 저조한 생존율을 보였다. 현사시 3호(Clivus) 클론이 73%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평균 수고는 이태리포플러 Eco28호가 $11.2m{\pm}2.1m$로 가장 우수하였고 그 다음으로 Clivus($11.0m{\pm}2.0m$)였다. 반면 도입종 버드나무 클론 중에서 131-27은 $7.8m{\pm}1.6m$로 가장 저조한 수고생장을 보였다. 활력, 낙엽율, 엽피해, 그리고 천공충 피해는 클론 간에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수종별로는 현사시와 도입종 버드나무가 활력이 강하고 매립지 환경의 다양한 스트레스에 적응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황철나무는 스트레스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을 하였다. 우수 클론을 한 클론만 선발하면 현사시 3호(Clivus)를, 추가하여 선발하면 버드나무 2클론(131-25, 131-27), 현사시 4호 2클론(72-9, 72-16)을 포함하여 총 5클론을 선발할 수 있었다. 이들 5클론은 수도권매립지와 비슷한 환경에 보급할 수 있을 갓으로 판단된다.

소나무, 현사시나무 및 신갈나무의 적외선(赤外線)스팩트럼 (Infrared Spectra of Wood Powders from Pinus densiflora, Populus alba x glandulosa and Quercus mongolica)

  • 공영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1-36
    • /
    • 1981
  • The infrared specta of wood powders have been recorded both in the untreated stste and after treatment through 1%-NaOH extraction(2hrs) and alcohol-benzene mixture extraction. Differences between the spectra of 3 species(Pinus densiflora, Populus alba x glandulosa and Quercus mongolica) can be explained chiefly in terms of theirs chemical compositions through comparisions of the spectra of pure cellulose powders. 1. The peak near $3400cm^{-1}$ from wood powders appeared at $3420cm^{-1}$, which was shifted to left compared with pure cellulose powders. 2. Many new peaks appeared at 2725, 1730, 1660, 1640, 1600, 1510, 1500, 1460, 1385, 1270, 830 and $810cm^{-1}$ etc., which were not appeared in pure cellulose powders. 3. Pinus densiflora spectra of untreated powders showed small peak appeared at $2840cm^{-1}$, which was the most characteristic band. There were peaks at $1240cm^{-1}$ in Populus alba x glandulosa and Quercus mongolica spectra of untreated wood powders. 4. Treated wood powder spectra showed weak or no peaks at near $1730cm^{-1}$ and also at near $2920cm^{-1}$. $2840cm^{-1}$, near $1385-1365cm^{-1}$, near $1235cm^{-1}$ and $1110-1095cm^{-1}$ etc. 5. The Alcohol-benzene extractive spectrum from Pinus densiflora showed many peaks at $3600-2300cm^{-1}$, $3100-2800cm^{-1}$, $1700cm^{-1}$, $1450cm^{-1}$ and $1375cm^{-1}$ etc. The most characteristic band of the extractives appeared at $3100-2900cm^{-1}$.

  • PDF

현사시나무(Populus alba × P. glandulosa)의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 및 Dimple의 조직특징(組織特徵) (Anatomical Diagnoses Derived from the Adventitious Buds and Dimples in the Populus alba × P. glandulosa)

  • 박상진;강선구;조재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55-58
    • /
    • 1985
  • 현사시나무에 흔히 분포(分布)하는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과 dimple 및 그 주변조직(周邊組織)의 특징(特徵)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은 도관(導管)이 거의 발달(發達)하지 않으며 구성세포(構成細胞)의 직경(直徑)이 작고 벽후(壁厚)가 두껍다. 주변조직(周邊組織)은 목섬유(木纖維)가 만곡(彎曲)하고 격벽세포(隔壁細胞)를 형성(形成)하는 경우가 많으며 방사방향(放射方向)으로 급격(急激)히 만곡(彎曲)하고 방사조직(放射組織)이 다열화(多列化)한다. 또 부정아유래조직(不定芽由來組織) 및 dimple에 인접(隣接)한 선상변색부(線狀變色部)의 도관(導管)에는 상해(傷害) 타일로시스가 발달(發達)한다.

  • PDF

Agrobacterium rhizogenes 에 의한 현사시나무의 형질전환(形質轉換) (Transformation of Populus alba × P. glandulosa by Agrobacterium rhizogenes)

  • 정경호;박용구;노의래;전영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8권4호
    • /
    • pp.372-380
    • /
    • 1989
  • 주요(主要) 조림수종(造林樹種)의 하나인 현사시나무를 Agrobacterium rhizogenes의 agropine 계통(系統)인 A4를 이용(利用)하여 유전적(遺傳的)으로 형질전환(形質轉換)시켰다. 형질전환(形質轉換) 여부는 조직(組織)내의 opine(agropine) 존재를 분석(分析)하여 확인(確認)하였다. 형질전환(形質轉換)으로 얻어진 hairy root는 1/4MS+sucrose 30g/L에서 가장 좋은 생장(生長)을 보였으며, 식물체(植物體) 재분화(再分化)는 BAP 0.5mg/l를 첨가한 MS배지(培地)에 배양(培養)하였을 때 가장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재분화(再分化)된 식물체(植物體)는 뿌리가 많고 형태적(形態的)으로 변형(變形)되어 정상의 식물(植物)과 구별(區別)할 수 있었다. 부분적(部分的)으로 뿌리부분(部分)만 형질전환(形質轉換) 시킴으로써 보다 많은 뿌리를 가진 개체(個體)로 만들 수 있었고 이는 임목(林木)의 지상부(地下部) 형질개량(形質改良)에 유리(有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은수원사시나무와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조된 목질플라스틱패널의 성능 (Performance of Wood-plastic Panel Made from Populus alba × glandulosa and Low Density Polyethylene)

  • 곽준혁;오용성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67-72
    • /
    • 2004
  • 은수원사시나무 파티클과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50:50, 60:40, 70:30의 3종류 혼합비율로 열압온도 145℃와 열압시간 5분에서 목질플라스틱패널을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 목질플라스틱패널을 제조하는데 왁스와 접착제 등 어떤 첨가제도 사용하지 않았다. 제조한 목질플라스틱패널의 밀도, 박리강도, 휨탄성계수, 휨파괴계수, 두께팽창률 및 물흡수율에 대한 성질을 측정하여 패널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성능평가한 data를 SAS programing package에 의해 통계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목질플라스틱패널의 박리강도, 휨파괴계수 등의 성질은 목재/폴리에틸렌 혼합비율이 50:50으로 제조된 패널이 다른 혼합비율인 60:40과 70:30으로 제조된 패널보다 5% 수준에서 높게 나타났다. 목질플라스틱패널의 치수안정화를 기준으로 볼 때, 목재/폴리에틸렌 최적의 혼합 비율이 60:40이라는 결과를 보여줬다.

축산폐수(畜産廢水) 처리(處理)에 따른 포플러류(類)의 생육반응(生育反應) 및 축산폐수(畜産廢水) 흡수능력(吸收能力) (Growth Response and Absorption Capacity of Poplars on Livestock Waste Water)

  • 여진기;구영본;손두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6호
    • /
    • pp.734-741
    • /
    • 2001
  • 수질오염원인 축산폐수에 대한 포플러류의 수종 및 품종별 생육반응 및 흡수능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삽목 당년생 현사시 (P. alba ${\times}$ glandulosa), 이태리포플러(P. euramericana), 양황철(P. maximo-wiczii) 각각 5클론에 대하여 축산폐수와 지하수를 처리하였다. 묘고생장량은 현사시가 가장 우수하였고 각 수종 공통적으로 축산폐수 처리구의 생장량이 지하수 처리구의 생장량 보다 다소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현사시의 품종들은 축산폐수에 대하여 클론간 차이가 없이 우수한 묘고생장을 보였으나 이태리 포플러와 양황철은 클론간에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축산폐수 처리는 모든 수종에 대하여 엽 및 shoot 건중량 증가와 같은 지상부 biomass를 증가시킨 반면 뿌리의 건중량은 감소시켰다. 또한 축산폐수는 포플러류의 엽록소 함량을 증가시켰다. 처리 기간동안 수종별 축산폐수 흡수량은 시기별로 차이를 보였고 모든 수종 공히 축산폐수 흡수량이 지하수 흡수량보다 다소 낮았다. 총 흡수량은 현사시가 가장 많았으며 전체 15개 클론중 현사시 72-16호 클론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현사시나무에서 Dormancy-associated protein 1 (DRM1) 유전자의 분리와 발현특성 구명 (Isolation and Expression of Dormancy-associated protein 1 (DRM1) in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윤서경;배은경;최현모;최영임;이효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4권1호
    • /
    • pp.69-75
    • /
    • 2017
  • Dormancy-associated protein (DRM)은 식물의 휴면생리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단백질로 거의 모든 식물에 보존되어 있다. 최근 DRM 유전자가 비생물적 스트레스 반응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유전자의 특성구명 연구가 여러 식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나무에서는 DRM 유전자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RM 유전자를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분리하여 이를 PagDRM1이라 명명하고, 유전자의 구조와 발현특성을 조사하였다. PagDRM1 유전자는 123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암호화하며, 2개의 영역(Domain I과 Domain II)이 잘 보존되어 있다. PagDRM1은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1 ~ 2 copy가 존재하며, 줄기에서 가장 높게 발현하였고 성숙 잎, 뿌리 및 꽃에서도 높은 발현 수준을 나타내었다. 현탁배양세포의 생장주기에서는 늦은 지수생장기부터 정지기까지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PagDRM1은 건조와 염 스트레스에 반응하여 발현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호르몬 처리에 의해서는 ABA와 GA 처리에 의한 발현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PagDRM1은 식물의 휴면유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환경 스트레스 내성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현사시나무에서 Basic Leucine Zipper 유전자의 분리와 특성 구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asic Leucine Zipper Gene in Poplar (Populus alba × P. glandulosa))

  • 윤서경;이효신;배은경;최영임;김준혁;노설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189-195
    • /
    • 2014
  • Basic leucine zipper(bZIP) 단백질은 식물의 성장과 발달 그리고 스트레스 반응을 조절하는 전사인자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Populus alba ${\times}$ P. glandulosa)에서 SE3 그룹에 속하는 bZIP인 PagbZIP1 유전자를 분리하여 구조와 발현 특성 등을 조사하였다. 현사시나무의 PagbZIP1 유전자는 844개의 염기쌍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44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는 예상 분자량 16.6 kDa의 단백질을 암호화한다. PagbZIP1은 보존영역인 basic domain과 leucine zipper domain을 가지고 있으며, 현사시나무의 염색체에 2 copy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bZIP1은 현사시나무의 뿌리와 배양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며, 배양세포의 생장주기에서는 정지기에 높게 발현하였다. 또한 건조와 염 그리고 저온 스트레스 뿐 아니라 식물호르몬인 ABA 처리에 의해서도 발현이 유도되어, ABA를 경유한 신호전달경로를 따라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PagbZIP1 유전자의 도입과 발현조절을 통한 바이오매스 증진 및 스트레스 내성 나무의 개발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