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oxidase

검색결과 253건 처리시간 0.026초

Thioacetamide 유발 급성 간손상 동물모델에 백작약 열수 추출물이 미치는 효능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aeoniae Radix Alba on a thioacetamide induced acute liver injury rat model)

  • 이세희;신미래;이지혜;노성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2호
    • /
    • pp.224-237
    • /
    • 2021
  • 본 연구는 백작약 열수 추출물의 in vitro 항산화능을 평가하였으며, TAA를 유발한 급성 간손상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으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와 간 기능 보호효과 여부를 검증하였다. 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및 ABTS 자유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체중, 간무게 및 간중량 비율 (%)이 대조군에 비해 S100군과 PR100군보다 PR200군에서 더욱 감소하였다. 약물투여군의 혈중 암모니아, GOT 및 GPT 수준의 유의적인 감소를 확인하였으며, western blot 실시 후 대부분의 인자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백작약 열수 추출물이 Nrf2-Keap1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항산화 효소를 증가시켰으며, 항산화능을 통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백작약 열수 추출물은 급성 간손상시 간보호 효과를 위한 후보 소재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잎들깨 품종에 따른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생리활성 평가 (Antioxidant Activities of Korean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by Various Cultivars)

  • 김현영;이한결;서혜영;서우덕;이미자;송승엽;김정인;최준열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53-463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polyphenolic content,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various cultivars of Korean perilla leav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nine cultivars (Namcheon dlggae, Saedora, Nulbora, Donggel 1, Donggell 2, Soim, Sangyeop, Somirang, and Saebom) of perilla leaves, the total polyphenolic content (gallic acid equivalent mg/g, GAE) was the highest in "Nulbora," while it was lowest in Namcheon dlggae. Moreover, flavonoid content in the extracts of nine cultivars leaves was in the range of 132.93~268.50 mg catechin equivalent/g sample. The antioxidant effects of the perilla leaves were determined using two different in vitro bioassays measuring DPPH and ABTS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antioxidant activity was also higher in "Nulbora" compared with other cultivars. Xanthin-oxidase-inhibition activity ranged from 65.65% to 80.58%, with "Nulbora" exhibiting the highest activity, although the difference with other cultivars was not significant. "Nulbora" extracts reduced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and several cytokines, including IL-6 activation induced by LPS in macrophages in the range of 100-50 ㎍/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extracts from perilla leaves can be used as bioactive and functional materials that could be important in industrial applications in the future.

유기농과 관행재배 된 배의 과실품질과 페놀함량 및 항산화 활성 비교 (Fruit Quality, Total 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 Obtained from a Sustainably Managed vs Conventionally Managed Asian Pear (Pyrus pyrifolia Nakai) Orchard)

  • 조정안;김월수;최현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73
    • /
    • 2010
  • 최근에 유기 재배된 과실이 관행재배와 비교해서 건강관련 물질과 관련된 화합물이 다량 분포된다는 연구와 주장이 제기되어 왔지만, 국내에서는 두 가지 재배방법에 따른 과실품질을 분석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유기농과 관행으로 재배 된 배 '신고'의 과실품질과 폴리페놀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처리는 키틴 복합퇴비+키틴 액비(구역 A), 키틴 복합퇴비+적외선으로 처리 된 키틴 액비(구역 B), 그리고 관행재배 시스템(구역 C와 D)으로 나누었다. 처리구간에 따른 수확기 과실 품질은 일정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과실 저장 60일 후 유기농 구역 A와 B에서 재배된 과실의 경도와 페놀함량의 평균은 관행 재배구보다 약간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모든 구역에서 수확 시기에는 낮은 함량의 폴리페놀 산화효소 활성을 나타냈으나, 저장 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유기 재배구인 구역 B는 다른 재배구들에 비교해서 과실 내 높은 전자 공여도를 나타내었다.

엽연초(葉煙草) 발효중(醱酵中) 효소활성도(酵素活性度)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Change of Enzyme Activities during the Fermentation of Tobacco Leaves)

  • 김호식;전재근;이서래;배효원;성현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8권
    • /
    • pp.75-80
    • /
    • 1967
  • 엽연초발효과정중(葉煙草醱酵過程中) 효소활성도(酵素活性度)의 변화(變化)를 관찰(觀察)하기 위하여 엽연초(葉煙草)를 엽초(葉草)와 각초(刻草)의 상태(狀態)로 $30^{\circ}C$$39^{\circ}C$에서 효모접종(酵母接種)에 의(依)한 발효(醱酵)와 통상발효(通常醱酵)에 의하여 20 일간(日間) 숙성중(熟成中) 매(每) 5일(日)마다 여러 가지 효소(酵素)의 활성도(活性度)를 측정(測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Amylase의 활성(活性)은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계속 감소(減少)하였다. 2) Invertase 와 catalase는 발효중기(醱酵中期)까지 계속 감소(減少)하고 그 후 다시 증가하였으며 catalase의 경우 그 변화(變化)가 더욱 현저하였다. Peroxidase는 발효전과정(醱酵全過程)을 통(通)하여 상당(相當)한 활성(活性)을 보여주었고, 뚜렷한 증감(增減)이 없었다. 3) 효모처리구(酵母處理區)와 비처리구간(非處理區間)에는 효소활성(酵素活性)의 차이(差異)가 거의 없었으나 엽초(葉草), 각초(刻草) 및 발효온도(醱酵溫度)의 구분(區分)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그 경향(傾向)은 일률적(一律的)이 아니었다. 4) Polyphenol oxidas는 미발효엽(未醱酵葉)에서 상당한 활성(活性)을 보였으나 발효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격감(激減)하였다.

  • PDF

효소적 갈변반응 생성물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및 유전자 수복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ntimutagenic Effects and Gene Repair of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 함승시;김성완;김영명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32-639
    • /
    • 1990
  • 곰취, 참취 그리고 참나물로부터 polyphenoloxidase를 추출하여 polyphenol 화합물인 pyrogallol, hydroxyhyd-roquinone, catechol 그리고 3,4-dihydroxytoluene과 반응시켜 얻어진 12종류의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생리작용을 검토한 결과 시료 모두 rec-assay, 돌연변이원성 실험 그리고 DNA 절단실험에서 돌연병원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12종류의 시료 모두 S-9mix를 첨가한 Salmonella/microsomal 실험에서 $benzo({\alpha})pyrene(B({\alpha})P)$, 3-amino-1,4-dimethyl-5H-pyrido(4,3-b) indole(Trp-P-1) 그리고 2-aminofluorene(2-AF) 등 변이원 물질들을 강하게 억제시키는 활성을 나타내었다. DNA repair 실험에서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E. coli HB101에 plasmid pGA658의 transformation 빈도수는 곰취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의 첨가에 의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며 transformation 전에 DNA와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을 혼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였을 때 곰취의 pyrogallol, catechol, hydroxyhydroquinone의 효소갈변반응 생성물은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 PDF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 용매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uphorbia helioscopia Extracts)

  • 김지영;이정아;김길남;송관필;박수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106-1112
    • /
    • 2007
  • 본 연구는 대극과 식물인 등대풀(Euphorbia helioscopia)을 대상으로 에탄올 추출 및 용매분획하여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아울러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변화를 조사 비교함으로써 식품 저장성이나 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한 식품첨가제나 보존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에탄올 추출물 및 순차적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처리 농도가 높아질수록 항산화 활성도 비례해서 증가되었으며, 특히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항균활성은 순차적 용매분획물 중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본 실험에 사용된 7종의 균주 모두에서 가장 효율적인 항균활성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등대풀 에탄올 추출물과 순차적 분획물별 항산화 및 항균활성 결과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의 비례 상관관계를 보여주었으며, 한편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부탄올 분획물>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탄올 추출물>수용성 분획물>헥산 분획물 순으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디클로로메탄 분획물>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탄올 추출물>헥산 분획물>부탄올 분획물>수용성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다.

균주에 따른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milax china L. Leaf Teas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강윤환;서주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07-8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을 이용한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차 제조를 시도하였다. 균주로 Saccharomyces cerevisiae(S),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혼합미생물(B), Bifidobacterium bifidus(L), Monascus pilosus(M) 및 Aspergilus oryzae(A)를 사용하여 발효차(S, B, L, M, A)를 제조하였으며, 발효시키지 않은 청미래덩굴잎(C)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와 관련된 total polyphenol(TP) 및 total flavonoid(TF) 함량과 활성산소 소거계 활성으로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ferrous iron chelating ability (FICA) 및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LPOIA)와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XOIA) 및 aldehyd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AOI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수로 1% 농도로 우려낸 발효차의 색상은 A차는 적색을 띠었으나, 그 외의 모든 차는 황색을 띠었다. 차의 향, 맛, 밝기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A차 3.95점, M차 3.30점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외 S, B, L차는 2.55~2.28점으로 C차와 유사하였다. C차 열수 추출물의 TP 및 TF 함량은 각각 28.94 및 18.39 m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34.97 및 34.44 mg/g 이었다. 발효차는 C차에 비하여 TP의 함량이 낮았으나, 에탄올 가용성 flavonoid 함량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A차는 수용성 TF 함량과 에탄올 가용성 TP의 함량이 낮았다. 청미래덩굴잎 및 그 발효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DA($1mg/m{\ell}$)는 19.25~22.48%이었으나, A차는 8.04~12.49%이었다. C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FRAP($Fe^{2+}\;{\mu}mole/g$ dry basis)는 4.38~5.84이었으며, S, B, L, M 및 A차와 대등하였다. FICA는 발효차 중에서는 A차가 높았으며, 여타 차는 발효차와 비발효차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LPOIA는 $200{\mu}g/m{\ell}$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37.08~41.42%, 에탄올 추출물은 28.66~32.57%를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높았으며, 차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1mg/m{\ell}$)의 XOIA 및 AOIA는 모두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에서의 XOIA는 C, S, M 및 A차에서는 4.83~9.20%이었으나, B 및 L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9.00~19.00%이었다. AOIA는 열수 추출물은 30.17~48.52%, 에탄올 추출물은 44.09~66.93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발효차 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은 비발효차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에 의하여 TP와 TF의 감소율이 높으나, 관능적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A차 열수 추출물(0.1%)에서도 FRAP, FICA, LPOIA 및 AOIA와 같은 항산화 지표들의 활성이 나타나, 기능성 발효차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Dietary Transformation of Lipid in the Rumen Microbial Ecosystem

  • Kim, Eun Joong;Huws, Sharon A.;Lee, Michael R.F.;Scollan, Nigel D.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9호
    • /
    • pp.1341-1350
    • /
    • 2009
  • Dietary lipids are rapidly hydrolysed and biohydrogenated in the rumen resulting in meat and milk characterised by a high content of saturated fatty acids and low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which contributes to increases in the risk of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There has been considerable interest in alter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ruminant products with the overall aim of improving the long-term health of consumers. Metabolism of dietary lipids in the rumen (lipolysis and biohydrogenation) is a major critical control point in determin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ruminant lipids. Our understanding of the pathways involved and metabolically important intermediates has advanced considerably in recent years. Advances in molecular microbial technology based on 16S rRNA genes have helped to further advance our knowledge of the key organisms responsible for ruminal lipid transformation. Attention has focused on ruminal biohydrogenation of lipids in forages, plant oils and oilseeds, fish oil, marine algae and fat supplements as important dietary strategies which impact on fatty acid composition of ruminant lipids. Forages, such as grass and legumes, are rich in omega-3 PUFA and are a useful natural strategy in improving nutritional value of ruminant products. Specifically this review targets two key areas in relation to forages: i) what is the fate of the lipid-rich plant chloroplast in the rumen and ii) the role of the enzyme polyphenol oxidase in red clover as a natural plant-based protection mechanism of dietary lipids in the rumen. The review also addresses major pathways and micro-organisms involved in lipolysis and biohydrogenation.

산성전리수의 생물학적 특성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Anodic Electrolyzed Water)

  • 김윤경;민병술;민중기;이종권;이윤배;류근걸;이미영
    • 환경생물
    • /
    • 제22권2호
    • /
    • pp.265-27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산성전리수의 일반적인 생물학적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았다. 직선형 DNA를 산성전리수에서 $4^\circ{C}$$25^\circ{C}$에서 약 10분간 반응시킨 결과 각각 40%와 50%의 DNA가 분해되었다. 그러나 산성전리수를 사용한 고온에서의 DNA 증폭반응 실험에서 DNA 분해없이 정상적으로 DNA증폭반응이 일어났다. 산성전리수가 단백질의 안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증류수에서는 총 7일 동안의 반응시간동안 단백질의 분해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으나, 산성전리수에서는 제4일에서부터 단백질의 분해가 본격적으로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산성전리수에서 볍씨를 발아시켜 본 결과 증류수에서와 동일한 발아율을 나타냈으며, 산성전리수는 배양토에서 벼 유묘의 뿌리의 길이와 총 길이를 억제시켰다. 산성전리수는 해양 미세조류의 성장곡선과 세포수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산성전리수는 polyphenoloxidase의 비활성을 약 50% 억제시킴으로써 감자의 갈변을 억제하였다.

Effects of Salicylic Acid and Indole Acetic Acid Exogenous Applications on Induction of Faba Bean Resistance against Orobanche crenata

  • Briache, Fatima Zahra;Ennami, Mounia;Mbasani-Mansi, Joseph;Lozzi, Assia;Abousalim, Abdelhadi;El Rodeny, Walid;Amri, Moez;Triqui, Zine El Abidine;Mentag, Rachid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5호
    • /
    • pp.476-490
    • /
    • 2020
  • The parasitic weed, Orobanche crenata, is one of the most devastating constraint for faba bean production in Mediterranean regions. Plant host defense induction was reported a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control methods in many crop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effect of salicylic acid (SA) and indole acetic acid (IAA) on the induction of faba bean resistance to O. crenata under the field and controlled experimental conditions. Both hormones were tested on two contrasting faba bean genotypes: Giza 843 (partially resistant to O. crenata) and Lobab (susceptible) at three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seed soaking, foliar spray, and the combination of both seed soaking and foliar spray). Soaking seeds in SA or IAA provided the highest protection levels reaching ~75%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plants. Both elicitors limited the chlorophyll content decrease caused by O. crenata infestation and increased phenolic compound production in host plants. Phenylalanine ammonia lyase, peroxidase, and polyphenol oxidase activities were stimulated in the host plant roots especially in the susceptible genotype Lobab. The magnitude of induction was more obvious in infested than in non-infested plants. Histological study revealed that both SA and IAA decreased the number of attached O. crenata spikes which could be related to specific defense responses in the host plant roo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