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phenol

검색결과 2,593건 처리시간 0.037초

감자 polyphenol oxidase에 대한 솔잎 추출물의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S.) Extract on Potato Polyphenol Oxidase)

  • 이민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66-869
    • /
    • 2006
  • 감자 polyphenol oxidase에 대한 솔잎 추출물의 저해효과가 조사 되었다. 솔잎 추출물은 anti-browning agents인 potassium sorbate나 citric acid보다도 더 강한 저해효과 를 나타냈으며 pH 7.0-8.0 사이에서 가장 강력한 저해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응시간이 증가 할수록 감자 polyphenol oxidase 활성은 현저하게 저해 되었으며 솔잎 추출물은 감자 polyphenol oxidase에 대해 비경쟁적인 저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잎 추출물은 $100^{\circ}C$ 에서 10분간 열처리시에도 안정 하였으며 pH 2.0, 3.0, 4.0에서 3시간 처리시에도 여전히 감자 polyphenol oxidase 에 대한 저해효과를 보유하고 있어서 산과, 열에 비교적 안정한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인삼(人蔘)의 Polyphenol 성분(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1보(報) Gas chromatogram에 의한 각종(各種) 인삼제품(人蔘製品) 및 오가피(五加皮)의 Polyphenol pattern의 비교(比較)- (Studies on Polyphenol of Ginseng -1. Comparison of Polyphenol pattern of various Ginseng products & Acanthopanax with Gas chromatogram-)

  • 이성우;소궤신행;배효원;이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45-249
    • /
    • 1978
  • 채소 과실 속에 널리 존재(存在)하는 10종(種)의 polyphenol 성분(成分)의 표준물질 혼합물(混合物)과 각종 인삼제품(人蔘製品) 및 오가피(五加皮)의 polyphenol 추출물(抽出物)에서 얻은 gas chromatogram를 통하여, 각각의 polyphenol pattern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韓國) 미국(美國) Canada산(産)의 피부백삼(皮付白蔘) 및 한국산홍삼(韓國産紅蔘) 사이의 polyphenol pattern에는 서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매우 비슷하다. 그리고 이들 인삼제품(人蔘製品)의 polyphenol pattern의 peak 가운데서 $t_R$가 표준물질의 tR와 일치(一致)되는 것이 없었다. 2. 백삼(白蔘) extract 및 홍삼(紅蔘) extract의 polyphenol pattern은 서로 매우 비슷하다. 그러나 peak수(數)는 인삼건조품(人蔘乾燥品)에 비하여 훨씬 적었다. 3. Russia산(産)과 한국산(韓國産) 오가피(五加皮)의 polyphenol pattern은 서로 같다. 그러나 이들의 polyphenol pattern이 인삼제품(人蔘製品)과는 서로 다르고 특히 인삼제품(人蔘製品)에서 동정(同定)되지 않았던 chlorogenic acid가 오가피(五加皮)에서는 동정(同定)되었다.

  • PDF

Purification of the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from Potato Tuber

  • Kwon, Do-Yoon;Kim, Woo-Yeon
    • BMB Reports
    • /
    • 제29권2호
    • /
    • pp.163-168
    • /
    • 1996
  •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was purified from potato tuber using ammonium sulfate fractionation, Sephadex G-100, and concanavalin A Sepharose column chromatography. Two or three types of polyphenol oxidase were separated on concanavalin A Sepharose. Type I and II polyphenol oxidases did not bind to concanavalin A Sepharose. Type I seemed to be an aggregated form of polyphenol oxidase. Type III polyphenol oxidase, which is presumed to be glycosylated because it was bound to concanavalin A Sepharose and eluted with $\alpha$-D-methyl glucopyranoside, was further purified by chromatography on Econo-Pac Q and Superose 12. Glycosylated polyphenol oxidase was purified 130-fold from the dissolved ammonium sulfate pellet resulting in about $6\;{\mu}g$ of the enzyme from 100 g of potato tuber periderm. The molecular weight of the glycosylated enzyme determin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about 64,000. Optimum temperature and pH of both II and type III potato polyphenol oxidases were $20^{\circ}C$ and pH 7.0, respectively. Glycosylated form of polyphenol oxidase (type III) preferred catechol to catechin as a substrate, whereas type II enzyme showed the reverse substrate preference.

  • PDF

Lentinus edodes JA01에서 분리한 세포외 polyphenol oxidase의 부분적 성질에 관하여 (Properties of Extracellular Polyphenol Oxidase Isolated from Lentinus edodes JA01)

  • 신광수;김규중;홍순우;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1-146
    • /
    • 1986
  • To find the role of polyphenol oxidase in lignin biodegradation, chracteristics of extracellular polyphenol oxidase activity from Lentinus edodes JA01 was investigated. Polyphenol oxidase had its optimum activity at pH 4.5 and $45^{\circ}C$ respectively. Also, the enzyme was very unstable in various pHs and comparatively heat stable up to $60^{\circ}C$. In $lignosulfonate-NH_4$ salts medium, the growth rate of L.edodes JA 01 was relatively slow and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ppeared 2 and 14 days after inoculation. No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between polyphenol oxidase activity and the amounts of lignosulfonate present in the culture medium.

  • PDF

한국산 배로부터 분리한 Polyphenol 분획물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 from Korean Pear(Pyrus pyrifolia Nakai) on Lipid Metabolism)

  • 최희진;박정혜;한호석;손준호;손규목;배종호;최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99-304
    • /
    • 2004
  • 배로부터 polyphenol 화합물군을 분리 및 정제하여5주간 고지방식이를 한 후, 혈장 및 간장에서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혈장에서는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 PR-II에서 총지질, 총콜레스테롤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간장에서는 총지질, 중성지질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성 있는 결과가 나타났다 5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한 후 분변을 채취하여 총지질, 총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을 측정한 결과 배에서 추출한 polyphenol화합물 군이 고지방식이만을 섭취시킨 대조군에 비해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을 섭취시킨 후 총단백질과 알부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초균에서 폴리페놀로 유도된 DNA 손상에 대한 폴리페놀산화효소의 억제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Polyphenol Oxidase on Polyphenol-Induced DNA Damage of Bacillus subtilis)

  • 김안근;김유경;강영숙
    • 약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30-334
    • /
    • 2005
  • Antimutagenic activity of the enzymatic browning reaction products (EBRPs) was investigated by using the spore rec-assay with Bacillus subtilis strains H17 $(rec^+)\;and\;M45 (rec^-)$. The EBRPs tested were prepared from the reactions of five different kinds of polyphenols with polyphenol oxidase isolated from the leaves Perilla frutescens. In the spore rec-assay, most of the polyphenolic compounds tested showed positive, whereas only their tested compound showed negative respectively. In addition of polyphenol oxidase inhibitors such as cysteine, glutathione and ascorbic acid to the reaction mixtures consisted with the polyphenol oxidase and polyphenols, the mutagenic effects were increased in the spore recassa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duction of mutagenicity of polyphenols.

차의 가공방법에 따른 Polyphenol 화학 (Chemistry of Tea Polyphenol in the Processing Method)

  • 안봉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97-104
    • /
    • 1998
  • The chemical structure of low molecule polyphenol of tea was found as explained. Structure decision of pioanthocyanidin was possible to measure 1,700 molecule, hexamer by chemical basic of polyphenol. At present, structure of high molecule than of that can't be suspected and it is concemed that strong astrigent ccnpound of tea is polymer proanthocyanidin. Mush researches was required in structure decision and isolation of high molecule polyphenol complex. Structure decision will develope at the natural products in the furture.

  • PDF

한국산 배의 Polyphenol 화합물군이 쥐의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lyphenol Compounds from Korean Pear on Immunofunctional Activity)

  • 최희진;한호석;박정혜;배종호;우희섭;안봉전;배만종;김현구;최청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03-310
    • /
    • 2003
  • 한국산 배로부터 polyphenol 화합물을 분리하여, 기능성 식품으로서의 근거를 제시하고자, 면역기능의 활성화에 관하여 동물실험을 하였다. 배의 polyphenol 화합물이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에서는 배로부터 분리된 polyphenol 화합물 I, II 및 III에 대하여 Rosette 형성은 배의 polyphenol 화합물 II와 III을 투여한 군에서 분리된 비장과 복강 상재성 마크로파지에서 Rosette 형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원 투여 후 혈중의 히스타민을 측정한 결과는 거의 정상군에 가깝게 혈중 histamine 함량을 낮추는 역할을 하였다.

한국산 배의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화합물의 함량 및 성분변화와 항산화효과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Change in Quality of Chemical Composition and Polyphenol Compound during Long-term Storage)

  • 장운빈;배만종;안봉전;최희진;배종호;김성;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15-120
    • /
    • 2003
  • 한국산 배의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가공제품 다양화 기술을 개발할 목적으로 저장기간에 따른 polyphenol 화합물의 함량, 유리당, 유기산 등 기능적 특성을 나타내는 성분 변화를 조사하고 polyphenol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배의 과피, 과육 및 과심 부분의 polyphenol 함량의 변화는 저장 기간동안 차차 증가하였으며 과심부분의 함량이 25.7%로 증가하였다. 배의 저장기간의 pH 변화는 저장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으며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의 3종류의 당이 검출되었고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그 함량은 증가하였다. 배의 휘발성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및 fumaric acid의 4 종류가 검출되었고 과육에는 succinic acid가 제일 많았으며 저장 5개월 후로부터 차차 감소하였다. 또한 면실유, 아마인유 및 어유에 대한 배의 polyphenol 화합물의 항산화 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모든 실험군에서 항산화 효과가 높았다.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flavonoid derivatives in unfermented and fermented barley sprouts

  • Neil Patrick Uy;Hak-Dong Lee;Dae Cheol Byun;Sanghyun Lee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353-358
    • /
    • 2023
  • Barley (Hordeum vulgare) belongs to the Poaceae family. This study compared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levels of unfermented and fermented barley sprouts using spectrophotometric assay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fermentation greatly boosted the flavonoid content but caused only a slight increase in the polyphenol content. However, this does not imply that fermentation has no effects whatsoever on the polyphenol content of barley sprouts. This was due to the fact that some flavonoids cannot be detected by the wavelength used to calculate the overall polyphenol concentration. Both samples were subjected to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and detected the flavonoids lutonarin, saponarin, isoorientin, isovitexin, and tricin-all of which have bioactive properties-most notably known for their antioxidant activity. These results augment the ongoing phytochemical profiling research and can possibly valorize the already thriving barley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