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morphic index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22초

Blood Protein Polymorphisms of Native Fowls in Laos

  • Okamoto, S.;Tsunekawa, N.;Kawamoto, Y.;Worawut, R.;Kawabe, K.;Maeda, Y.;Nishida, 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7호
    • /
    • pp.1011-1014
    • /
    • 1999
  • Blood protein polymorphism of fowls in Laos was analyzed by electrophoresis.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in the area of Viangchan, Louangphrabang and Pakxe. Out of 17 loci, polymorphism was detected at the following seven loci; ES-1, Amy-1, Akp-akp, Akp-2, Alb, Tf and Pas. The other ten loci; Amy-3, LDH, 6-PGD, PGM, PHI, To, MDH, Es-D, Hb-l, Hb-2 were noted to be monomorphic. The proportion of polymorphic loci $(P_{poly})$, the expected average heterozygosity per individual ($\bar{H}$), and the subdivision index $(G_{ST})$ of the native fowl in Laos was $0.412{\pm}0.123$, 0.106 and 0.026, respectively. Genetic distance between native fowls in Laos, Bangladesh, and Nepal was clustered in one group.

Disaccordance of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Randomly Amplyfied Polymorphic DNA an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Native Aster

  • Hong Su-Young;Cho Kwang-Soo;Suh Jong-Taek;Yoo Ki-Oug
    • Plant Resources
    • /
    • 제8권1호
    • /
    • pp.36-43
    • /
    • 2005
  • This study were focused on the genetic relationship using RAPDs and som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mong eleven taxa Aster collected in Korea. Twenty random primers were selected, a total 216 DNA bands were generated and 213 bands were shown polymorphism among species. The collected eleven taxa were clustered into five groups at 0.609 similarity index. The first group was A. glehni, A. ageratoides, A. maackii and A. scaber was clustered at 0.713 of genetic distance. The second group was A. tataricus and A. koraiensis and the third group was A. spathulifolius, the forth group was A. yomena, A. hayatae and A. hispidus and the fifth was A. tripolium.

  • PDF

RAPD와 SSR 마커를 이용한 사과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Apple Cultivars Using RAPD and SSR Markers)

  • 조강희;허성;김정희;신일섭;한상은;김세희;김대현;김현란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25-533
    • /
    • 2010
  • 본 연구는 사과 품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분석하여 육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최근에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 및 도입품종을 포함한 34품종을 대상으로 RAPD와 SSR 분석을 수행하였다. RAPD분석에서 총 37종의 선발된 임의 primer를 분석하여 193개의 다형성 밴드(36.2%)를 얻었으며, 평균 다형성 밴드 수는 5.6개였다. SSR 마커 26종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112개의 대립인자가 확인되었고, 마커 당 대립인자 수는 평균 4.3개였다. 유전적 다양성(PIC 값)은 평균 0.843이었고 범위는 0.536(CH03d12)-0.952(CH04c06)였다. RAPD와 SSR분석에서 획득된 305개의 다형성 밴드를 이용하여 UPGMA(비가중 평균결합) 방식으로 유사도 및 집괴분석을 수행한 결과 유전적 유사도 0.640를 기준으로 4개의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제1그룹에는 '서광'이 단독으로 분류되었고, 제2그룹에는 12품종이 속하였는데 'Spur Earliblaze'와 'Jonathan'을 제외하고 대부분 'Golden delicious'를 교배친으로 이용하여 육성된 품종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3그룹에는 'Fuji'와 'Fuji'를 교배친으로 이용되여 선발된 품종 및 그의 아조변이 품종 등 13개 품종이 속하였고 제4그룹에는 '홍로', '감홍', '새나라' 등 8품종이 포함되었다. 품종간 유전적 유사도는 0.529-0.987의 범위로 평균 유전적 유사도는 0.647이었다. 가장 높은 유사도 값(0.987)을 나타낸 품종은 '화랑'과 '단홍' 품종 간이었고 가장 낮은 유사도 지수(0.529)를 나타낸 품종은 '서광'과 '화랑' 품종 간이었다. 본 실험을 통해 사과 34품종 간의 유연관계는 알려진 pedigree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형태적 특성과 PCR다형성 분석에 의한 국내 큰느타리버섯 계통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Genetic Diversity of Pleurotus eringii Strains in Korea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CR Polymorphism)

  • 전선정;김종군;김금희;지정현;서건식;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7
    • /
    • 2009
  • 25개의 큰느타리버섯 균주를 국내외의 다양한 지역에서 수집하여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PER-007과 PER-012균주는 다른 균주와 비교하여 볼 때 PDA 배지상에서 특징적인 균총 형태를 보였으나 대부분 균주간 유사한 균사생장률을 보였다. 자실체 유도 및 생육 실험에서 PER-007균주는 자실체가 형성 되지 않았고 PER-012균주의 발이가 되었으나 이후 성숙 자실체로 성장하지 않았으며 그 외의 공시한 균주의 자실체 대부분의 갓모양은 볼록반구형, 평판구형 등 다양하게 나타났다. URP primer의 PCR 반응 조건은 $48^{\circ}C$에서 $52^{\circ}C$의 annealing 온도에서 높은 다형성 밴드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25개의 P. eringii strains의 다형성은 11개의 URP primer 중 URP1F, URP2R, URP2F, URP4R, URP6R, URP9F, URP17R primer에서 계통간 PCR 다형성 밴드를 형성하였다. URP-PCR다형성밴드를 기초로 하여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P. eringii strain들은 $76%{\sim}100%$정도의 유전적 유사도를 가지는 3개의 주요 group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PER-007과 PER-017균주는 outgroup으로 원연관계를 형성하였다.

황벽나무 자연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유전구조 분석 (Genetic Diversity and Genetic Structure of Phellodendron amurense Populations in South Korea)

  • 이제완;홍경낙;강진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51-58
    • /
    • 2014
  • 본 연구는 ISSR 표지자를 이용하여 국내 분포하는 황벽나무 7개 집단의 유전다양성과 유전구조를 분석하였다. 6개의 ISSR primer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primer 당 평균 4.5개의 다형성 band를 확인하였고, 각 집단의 다형성 유전자좌의 비율은 평균 78.8%로 나타났다. Shannon의 유전다양성 지수(I)는 0.421로 나타났고, 이형접합체 기대치($H_e$)는 평균 0.285로 베이즈 방법을 이용한 평균 이형접합체 기대치(hs=0.287)와 유사하였다. AMOVA에서 전체 유전변이의 92.4%가 집단내 개체간 차이에 기인하며, 7.6%는 집단간 차이에 기인하였다. 베이즈 방법을 이용한 유전분화(${\theta}^{II}$)는 0.066으로 추정되었으며, 전체 집단의 근친교배율(f)은 0.479로 계산되었다. 유연관계 분석과 베이즈 군집분석결과 우리나라 황벽나무 집단은 가평, 화천, 봉평, 용평이 하나의 군집을 형성하였고, 산청 지역의 2개 집단(삼장 및 시천)이 다른 하나의 군집을 형성하였으며, 무주 집단이 산청지역의 집단과 지리적으로 근접함에도 불구하고 독립적인 군집을 나타내었다. Mantel's test 결과 집단간 유전적 유연관계와 지리적 분포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황벽나무의 유전자원보존을 위한 대상 집단 선정 시 생태적 및 생활사적 특징과 함께 본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유전다양성과 군집구조 분석결과를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중간(中間) 측정(測定) 주기(週期) (3-5년)를 이용(利用)한 인공림(人工林)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추정(推定) 함수(函數)의 유도(誘導) (Derivation of Basal Area Projection Function for Forest Plantation Using Medium (3-5years) Measurement Cycles)

  • 이상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9권4호
    • /
    • pp.463-469
    • /
    • 2000
  • 이 연구는 다른 수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른 생장을 보여 상업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뉴질랜드 사우스랜드 지역에 조림된 미송(美松) (Pseudotsuga menziesii Mirb. Franco)의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추정 함수 유도에 관한 것이다.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함수를 도출하기 위하여 중간 측정 주기의 영구 표본점 데이터가 사용되었고, 대수차분(代數差分) 방정식을 이용하여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함수식을 유도하였다. 모수(母數) 추정은 SAS의 비선형 루틴에 의하여 수행하였다. 다양한 생장 추정 함수 모델을 적용한 후 잔차를 분석하여 평균제곱오차가 가장 작고 잔차 패턴이 편의가 없는 생장식을 선발하여, 추가 독립변수를 적용하여 모델의 추정 정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러 추정 생장 함수 중 지위지수(地位指數) 및 간벌주기를 독립변수로 포함한 Schumacher 다형곡선(多形曲線) 생장식이 가장 정밀한 추정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 생장과 지위지수(地位指數)사이에는 양(+)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정의된 간벌주기는 흉고단면적(胸高斷面績)식의 정도(精度)를 높이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주요수종의 수고생장에 대하여 (On the Height Growth of Several Species growing in the Middle Korea)

  • 마상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9-45
    • /
    • 1974
  • 지위지수추정시 발생되는 오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수고생장과정에 적합한 실험식과 기타 정보를 얻고자 이 연구를 착수한 것이다. 11개 실험식으로 물오리나무, 일본잎갈나무, 잎갈나무, 잣나무, 젓나무, 리기다소나무, 상수리나무와 갈참나무의 수고생장 추정식을 계산하였다. 계산결과에 의하면 수종간에는 적합실험식의 종류가 서로 다르며 지위지수는 임령에 따라 항상 일정한 것이 아니고 변동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지위지수추정시 수간석해 또는 다변형지위지수 곡선을 이용함이 합리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한국 특산식물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집단의 유전다양성 및 구조 (Genetic Diversity and Structure of the Korean Endemic Species, 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as Revealed by ISSR markers)

  • 손성원;정재민;김은혜;최경수;박선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310-319
    • /
    • 2013
  • 우리나라 특산식물인 매미꽃(Coreanomecon hylomeconoides Nakai) 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및 구조를 조사하기 위해 8집단 224개체에 대한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분석이 수행되었다. 총 8개의 ISSR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50개의 증폭산물을 관찰하였으며 집단 수준에서의 유전적 다양성의 평균은 P (Percentage of polymorphic loci) = 47.3%, SI(Shannon's information index) = 0.218, h (Nei's genetic diversity) = 0.142로 다년생 초본류의 평균보다는 월등히 낮게 나타났다. 집단별로는 분포의 중심에 해당하는 산청(SI=0.233, h=0153), 광양(SI=0.263, h=0.171), 순천(SI=0.241, h=0.159) 집단이 남해(SI=0.183, h=0.116)나 광주(SI=0.181, h=0.121)의 변두리 집단보다는 비교적 높은 유전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MOVA 분석 결과 전체 유전변이의 약 18%가 지역 간에 나머지 82%가 집단 내 개체간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집단 간에 유전자 교류가 원활히 이루어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유전적 거리를 이용한 UMGMA 유집분석과 Bayesian cluster 분석 결과, 매미꽃 집단은 동서 두 지역으로 구조화 되는 경향을 보여 주었는데 이는 집단의 지리적 분포 패턴의 영향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조사된 다른 집단보다 풍부한 개체수와 높은 유전 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는 지리산 및 백운산의 산청, 광양 집단들에 대한 적극적인 현지 내(in situ) 보전대책 수립이 요구된다.

한국인 비만 여성의 GNB3, ACE, ADRB3, ADRB2 유전자 다형성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Study of Gene-gene Interaction within GNB3, ACE, ADRB3, ADRB2 among Korean Female Subject)

  • 최현;배현수;홍무창;신현대;신민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426-1436
    • /
    • 2004
  •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 protein β3 subunit gene (GNB3),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gene (ACE), β3-adrenergic receptor gene (ADRB3), and β2-adrenergic receptor gene (ADRB2) genotype and obesity or obesity related disea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binations of these four genes' polymorphism and probability of obesity related disease in Korean female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sisted of 85 obese Korean female subjects (body mass index, BMI≥27㎏/㎡). To determine the polymorphism, genomic DNA was isolated, and PCR was performed. Serological examinations (fasting plasma glucose, FPG; aspartate aminotranferase, AST;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total cholesterol, TC; triglyceride, TG; high 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HDL; low density lipoprotein-choles terol, LDL) were carried by an autoanalyzer and serological methods. BMI, waist circumference (WC), hip circumference and waist hip ratio (WHR) were measured. Consequencely in the analysis with grouping of general genotyping and variant allele carrier/non-carrier, the resul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in all gene combinations and polymorphic pairings except higher waist circumference in Arg16Arg group of ADRB2 codon16 (P=0.024).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contrast result about age, height, weight, AST and ALT that are index feature of liver and gall bladder disease in polymorphic pairings of gene combinations. Howeve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waist-hip ratio and waist circumference that could be recognized as the physical type of obesity showed T-Arg16 pairing carrier in GNB3-ADRB2 codon16 combination had increased WHR and WC significantly (P=0.046 and P=0.015 respectively). Futhermore, the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 and low density lipoprotein choresteral (LD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I pairing of GNB3-ACE combination (P=0.032 and P=0.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Arg16 pairing carrier in GNB3-ADRB2 codon16 gene might have increased waist circumference and C-I pairing carrier in GNB3-ACE combination have lower possibility of contrac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related cholesterol and LDL despite of obese state.

Genetic Differences within and between Populations of Korean Catfish (S. asotus) and Bullhead (P. fulvidraco) Analysed by RAPD-PCR

  • Yoon, Jong-Man;Kim, Jong-Ye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8호
    • /
    • pp.1053-1061
    • /
    • 2004
  • Of the 20 arbitrarily chosen primers, six oligonucleotides decamer primers were us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he polymorphisms generated in catfish (Silurus asotus) from Yesan and bullhead (Pseudobagrus fulvidraco) from Dangjin in Korea. Six primers were used generating a total of 602 scorable bands in catfish and 195 in bullhead population, respectively, ranging in size of DNA fragments from less than approximately 100 to larger than 2,000 base pairs (bp). Six primers yielded 199 polymorphic fragments (33.1%) in catfish and 47 (24%) in bullhead,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a total of 328 common fragments (an average of 54.7 per primer) were observed in catfish population, whereas 84 (an average of 14.0 per primer) in bullhead. The total number of specific fragments in catfish and bullhead population were 76 and 64, respectively. In catfish population, random decamer, OPA-17 (GACCGCTTGT) generated the highest number of fragments (a total of 141) in comparison with other primers used, with an average of 11.8. The common bands in the molecular weight of 300 bp generated by random primer OPA-06 (GGTCCCTGAC) were present in every individuals in bullhead population. The major polymorphic bands in the molecular weight of 100 bp generated by OPA-17 were identified in lane 14, 15, 17, 18, 19 20 and 21, which were identifying species in bullhead population. The average bandsharing values (BS values) of all of the samples within catfish population ranged from 0.575 to 0.945, whereas 0.063-1.000 within bullhead population. The bandsharing value (index of similarity between individuals) between individual No. 5 and No. 9 showed the highest level within catfish population, whereas the bandsharing value between individual No. 1 and No. 2 showed the lowest level. The single linkage cluster analysis resulted from four primers, indicating four genetic groupings composed of group 1 (C1-C10, all of the catfish samples), group 2 (B11, B12, B13, B14, B16, B17, B18, B19), group 3 (B15) and group 4 (B20 and B21). The dendrogram reveals clos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 identities within two species populations and individuals derived from the same ancestor, respectively. However, genetic distances between two species populations ranged from 0.124 to 0.333. The shortest genetic distance (0.042)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was between individual No. 6 and No. 9 catfish population. The shortest genetic distance (0.033) displaying significant molecular differences also was between individual No. 18 and No. 19 in bullhead population. Reversely, the genetic distance of individual No. 20/21 among individuals in bullhead population was highest (0.333). This result showed that bullhead No. 20 and 21 were distinct from other individuals within bullhead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