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ygonatum odoratum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4초

전라북도 지방의 한약자원 식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Herbal Resources Plants in Chollabuk-do Area)

  • 길봉섭;김영식;김창환;유현경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65
    • /
    • 2000
  • 전라북도지방 소산 한약자원 식물은 91과 305속 470종 1아종 30변종 2품종으로 총 503종류가 본 조사결과 밝혀졌다. 각 과별로 그 숫자가 많은 종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이 45종류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났고 그 다음은 장미과 식물이 30종류 그리고 콩과는 23종류의 순서였다. 전 조사지역에 고루 다수 분포하는 종류는 오미자, 마, 승마, 촛대승마, 족도리, 천남성, 둥굴레, 꿀풀, 박새를 들 수 있으며 집중적으로 나는 상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량조사를 실시한 결과, 예컨대, 더덕은 5m$\times$5m내에 30-50 개체가 덕유산 표고 약1300m 북서사면에서 조사되었다. 현재 심한 채취로 감소추세에 있는 식물은 둥굴레, 오미자, 더덕 등이고, 농가에서 재배중이거나 앞으로 개발 유망하며 가치가 높은 종류는 만삼, 가시오갈피, 천마, 복분자딸기, 더덕, 하수오 등이 있다. 요컨대 전라북도 지방에는 풍부하고 다양한 한약자원식물이 자연상태에 분포하고 있으며 이를 연구하고 집중적인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 PDF

일제 강점기 문헌에 나오는 식물명의 재검토: 황정(黃精)과 위유(萎蕤)를 중심으로 (Reexamination of plant names in the literatur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Period with special reference to Hwangjeong and Wiyu)

  • 신현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60
    • /
    • 2019
  • 한자로 표기된 식물명 황정과 위유는 조선시대에 편찬된 "향약집성방"에 처음 나오는데, 이후 조선시대에는 이들을 한글명으로 죽대와 둥굴레로 각각 불러 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발간된 문헌에는 한글명 죽대, 한자명 황정에 이들의 분류학적 실체와는 무관한 학명들과 한글명이 부여되어 있었으나, 이러한 오류가 수정되지 않고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 결과, 한자명 황정, 한글명 죽대의 분류학적 실체는 Polygonatum sibiricum으로 확인되었고, 그에 따라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한글명 층층갈고리둥굴레보다는 죽대로 사용하는 것이 타당함이 밝혀졌다. 한편, 한자명 위유와 한글명 둥굴레는 P. odoratum으로 파악되었는데, 일제 강점기에는 이 학명의 이명으로 간주되는 학명들이 한자명 위유와 한글명 둥굴레에 부여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둥굴레 근경의 가열조건에 따른 갈변반응 특성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Maillard Reaction Characteristics under Various Roasting Conditions of Polygonatum odoratum Root)

  • 박난영;정용진;이기동;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47-654
    • /
    • 2000
  •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둥굴레 근경의 가열조건에 따 라 갈변 반응기질과 관능적 특성을 모니터링하였다. 총 유리당은 중심점에서 최소점을 나타 내었고 그 전후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총 유리아미노산은 볶음온도가 증가하고 볶 음시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 중 threonine, glycine 및 serine의 함 량응ㄴ 시간이 경\ulcorner마에 따라 초기함량의 91~94%가 감소함을 보였다. 또한 갈색도는 볶음 시간 18분까지 볶음온도와 볶음시간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다가 그 이후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둥굴레의 맛, 색, 향에 대한 관능적 평가는 5% 이내에서 유의차가 인정되었다. 전반적 기호도는 볶음온도는 13$0^{\circ}C$에서 볶음시간 15분과 25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에 대한 관능적 품질과 유리아미노산은 갈변반응의 다른 기질에 비하여 높은 수준에서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둥굴레 엑스첨가가 약주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unggulle(Polygonatum odoratum) Extracts on Quality of Yakju)

  • 이성태;김만배;송근우;최상욱;이홍재;허종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62-266
    • /
    • 2000
  • 기관지염, 폐염, 기침, 감기, 학질, 땀내기약 및 보약등으로 사용되었으며, 최근에 혈당강하 효과도 밝혀진 둥글레를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함으로써 술의 효과와 약리효과를 동시에 얻을수 있는 건강발효주를 제조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둥글레 엑스첨가 발효주는 대조구와 전체적으로 비슷한 발효특성을 보였다. 총산은 둥글레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약간 높았으며,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발효 2일만에 급격히 떨어져 발효 4일 이후로는 4.0내외로 변화가 없었다. 총당은 발효 1일에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발효초기 총당은 발효 1일에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발효초기 총당은 대조구가 적고 둥글레 엑스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당 함량은 많았다. 알콜함량은 발효초기에는 대조구가 둥글레 엑스첨가구보다 높았으며, 발효 6일 이후로는 모든 처리구에서 15.5%로 큰 차이가 없었다. 총산, pH, 품온, 총당 및 알콜함량은 발효 1~3일 사이에 급격한 변화를 하는 것으로 보아 술을 담금후 1~3일에 발효가 가장 왕성하게 일어났다. 관능평가 결과 둥글레 엑스를 첨가한 발효주가 대조구보다 우수하다는 유의성은 없었지만 품질의 저하나 변질이 발행하지 않았으며, 기호성 향상을 위한 연구가 더 진행된다면 둥글레의 약리효능을 이용한 둥글레 발효주는 품질의 고급화를이룰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한국산 둥굴레속(Polygonatum) 수집종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Growth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olygonatum species indigenous to Korea)

  • 윤종선;손석용;홍의연;김익환;윤태;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64-171
    • /
    • 2002
  • 약용, 식용 및 관상용으로 유망한 자생 둥굴레속 식물들을 선발하기 위하여 둥굴레 10종을 수집하여 1999년부터 2001년까지 3년에 걸쳐 충북 청원군 소재의 시험포장에서 재배한 후 생육 및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장은 15~102cm 범위 였으며, 용둥굴레가 가장 짧았고, 층층갈고리둥굴레가 가장 길었다. 줄기는 경사형과 직립형으로 구분되었고, 절수는 6.2~23.2개로 종간에 차이가 심하였으며, 줄기에는 능각이 있는 종과 없는 종으로 구분되었다. 엽서는 호생형과 윤생형으로, 엽형은 타원형과 세장형으로 구분되었다. 엽수는 5.2~63.4개로 역시 종간에 차이가 컸으며 , 포는 존재형과 부재형으로 구분되었다. 꽃은 5월 7일에서 5월 30일 사이에 개화하였으며, 개화 기간은 5~13일 이었다 화서형은 총상형, 산방형 및 산형으로 구분되었다. 줄기당 화수는 층층갈고리둥굴레가 125.2개로 가장 많았고, 용둥굴레가 1.5개로 가장 적었으며, 꽃의 길이는 13.I~30.2mm로 종간에 차이 가 큰 편이었다. 그리고, 화피의 형태는 통형, 협착형 및 호형으로 구분되었다. 근경 표면의 색은 연황색 또는 연갈색이 많았고, 둥굴레는 진한 갈색으로 다른 종들과 구별이 되었다. 근경의 길이는 3.0~15.0cm, 근경의 굵기는 4.6~23.6mm 범위였으며, 각시둥굴레의 근경은 가장 긴 반면 가장 가늘었고, 층층갈고리둥굴레의 근경은 가장 굵고 수량성이 높았다. 층층갈고리둥굴레, 둥굴레 및 산둥굴레는 약용과 식용작물로, 무늬둥굴레, 큰둥굴레, 죽대, 용둥굴레, 안면용둥굴레, 각시둥굴레 및 통둥굴레는 관엽 및 관화를 위한 원예용으로 이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입되는 환경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이 증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라우트재가 해안 또는 매립지에 적용될 경우 해수와 침출수에 의한 강도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 초순수 중에서 양생 시켰을 때 보다 강도발현 현저히 저하되었으며, 시멘트 종에 따라서는 ‘보통포틀랜트 시멘트>마이크로 시멘트>슬래그’ 시멘트의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도의 저하로 인한 오염물질의 누출 및 6가 크롬의 용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그라우트재의 종류에 따라 6가 크롬의 용출량은 현재 규제치를 초과하여 용출되어 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과압 또는 과량의 주입이 6가 크롬의 용출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 현장과 다른 특수한 현장에서는 강도 및 pH에 따른 6가 크롬의 용출량을 고려한 재료 선택 및 배합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와이어형, 기본형의 순으로 작게 나타났다.한 인자로 제시 되었다. 따라서 채식을 하는 폐경 후 여성의 경우 골격건강을 위하여 단백질의 급원이 되는 식품의 섭취에 더욱 관심이 필요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경우 대상자의 수가 적은 제한점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연구가 계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reas(RW-2 and RW-3), lower part of the dam (RW-1) and seawater areas(RW-4 and RW-5).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에너지 섭취를 고려한 INQ는 칼슘과, 비타민 A는 남녀 모두, 비타민 B$_2$는 여자가

자생초화류의 고속도로 조경식물 활용성 연구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ing)

  • 전기성;정태건;소재현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74-8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utilization of native plants for highway landscape. The field and nursery experiments were conducted from January of 1996 to December of 1998 on the Chonju Arboretum and Honam highway in Korea Highway Corporation. We have investigated thirty species of native plants and came to a conclusion that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Aster koraiensis, Iris nertschinskia, Fennisetum alopecuroides, Viola kapsanensis are very suitable for highway landscaping. And, if the problems raised during this investigation are resolved, it is clear that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jlorum, Belamcanda chinensis, Allium thunbergii, Ophiopogon japonicus, Dianthus superbus var. longicalycinus, Disporum sessile, Lilium tigrinum, Caryopteris incana, Aquilegia flabellata var. pumila, Pulsatilla koreana, Aster spathulifolius etc. can be useful plants at highway landscaping.

  • PDF

천연물 복합 추출물 (HAE-06)의 기관지 확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tural Product Complex Extract (HAE-06) on Bronchial Dilation)

  • 김대성;김혜윰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45-552
    • /
    • 2021
  • HAE-06 extract is a mixture of four medicinal plants, namely Lonicerae Folium et Caulis (Lonicera japonica), Scutellariae Radix (Scutellaria baicalensis), Adenophorae Radix (Adenophora triphylla var. japonica), and Polygonati Oddorati Rhizom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The HAE-06 extract demonstrated a concentration-dependent relaxing effect and enhanced cAMP production in bronchial smooth muscle that had been stimulated to contract with acetylcholine. Using a blocker,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was through the β2-adrenergic receptor/cAMP/PKA pathway. In addition, it is thought that the HAE-06 extract has a bronchial smooth muscle relaxation effect by reducing the inflow of Ca2+ through the K+ and Ca2+ channels present in the sarcoplasmic membrane. If research continues in the future, it is believ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use it as a material for pharm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90% 췌장 절제 백서에서 둥굴레뿌리의 물추출물이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ter Extract of Polygonatum Odoratum (Mill) Druce on Insulin Resistance in 90% Pancreatectomized Rats)

  • 박선민;안승희;최미경;최수란;최수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19-625
    • /
    • 2001
  • 현재까지 인슐린의 작용력을 향상시키는 약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은 thiazolidinediones이 있고 그외에도 몇가지 종류의 물질에 대해서 그 효과를 조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한약재로부터 추출한 POD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중이 $338{\pm}35\;$ 인 Sprague Dawley 백서를 두군으로 나누어 한군은 sham 수술을 하여 정상군으로, 다른 한군은 90% 췌장 적제술을 하여 당뇨군(Px)으로 정하였다. Px 백서는 90% 췌장제거 수술을 한 후 2 주동안 혈당을 측정하여 공복 혈당이 9.4 mmol/L이상인 백서를 선택하였다. Sham 백서와 당뇨 백서는 다시 각각 2군으로 나누어 한군은(n=10) 하루에 POD을 0.3 g/kg 체중의 용량으로 식이에 섞어 공급하였고, 다른 한군은(n=10) 위약(P)을 8 주 동안 투여하였다. 식이는 40%지방 식이를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7 주 째 되었을 때 인슐린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해 경동맥과 경정맥에 도관을 삽입하였고, 8주째에 $15{\sim}18$시간 금식후 EH clamp 실험을 실시하였다. POD와 P를 투여하기 전에 Px 백서의 혈당은 $9.9{\pm}0.6\;mmol/L$이었고, 정상군의 혈당은 $6.4{\pm}0.5\;mmol/L$이었다. EH clamp를 할 때 체중은 Px 백서에 비해 Sham백서에서 높았으며, 혈당은 POD 투여와 당뇨에 의한 차이가 있었다. Px 백서가 Sham 백서에 비해 기초 인슐린 농도가 낮았고, Sham 백서에서는 POD군이 P군에 비해 낮았다. 체내 포도당 제거 속도는 Sham+POD군이 $53.9{\pm}7.7$, Sham+P군이 $38.7{\pm}13.6$, Px+POD군이 $36.0{\pm}10.6$, Px+P군이 $29.2{\pm}6.8\;mg/kg$ 체중/min이었다. 체내 포도당 제거속도는 POD군이 P군에 비해 높았고, Px군이 Sham군에 비해 낮았다(P<0.01). Soleus 근육의 글리코겐 양은 POD군에서 P군에 비해 높았다. Px 백서에서는 soleus과 quadriceps 근육의 글리코겐 양은 정상군에 비해 낮았다. Soleus근육의 glycogen synthase의 활성은 P군에 비해 POD군에서 높았고(P<0.05), Px 백서가 Sham 백서에 비해 낮았다(P<0.05). Px 백서의 quadriceps 근육내 중성지방 축적량이 Sham 백서에 비해 높았는데, P에 비해 POD를 공급하였을 때 중성지방의 축적양이 낮아졌다. 결론적으로 POD은 당뇨와 정상 백서에서 인슐린 저항성을 감소시킴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의 감소 현상은 근육에서의 glycogen synthase 활성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 및 Nitric Oxide 저해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Medicine Plants in Gyeongsangbukdo (Carthamus tinctorius seed, Cyperus rotundus, Schizonepeta tenuifolia,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Paeonia lactiflora))

  • 황은영;김동희;김희정;황주영;박태순;이인선;손준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3호
    • /
    • pp.171-177
    • /
    • 2011
  • 본 연구는 5가지 경북약용작물(홍화자, 향부자, 형개, 위유, 작약)의 항산화와 항염증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였다. 추출은 70% 에탄올에서 추출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총플라보노이드,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물의 소거활성은 a-a-Diphenyl-${\beta}$-picrylhydrazyl ($DPPH{\cdot}$),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cdot}$),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superoxide anion 저해활성으로 측정하였다. 홍화자 추출물에서 높은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뛰어난 $DPPH{\cdot}$, $ABTS{\cdot}$, FRAP, superoxide anion 소거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홍화자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NO 생성 저해 활성을 나타냈다. 그 결과 홍화자 추출물은 항산화와 항염증 활성에 효과를 가진 기능성 소재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