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olicy Information Portal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9초

보상과 보안의식이 육군지식포탈 사용자 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eward and Security Awareness on User Intention of Knowledge Portal Service for ROK Army)

  • 이종길;구자일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6-48
    • /
    • 2019
  • As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MS) in the military increases, Republic of Korea Army (ROK Army) developed Army Knowledge Portal. Although the members in the military are encouraged to use the portal, few members currently use i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variables to predict the user's intention to use the portal, which contributes to activating the use of Army Knowledge Portal in the army. On the basi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ten variables such as perceived ease of use, general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expectation for external rewards, expectation for relationships, sense of self-worth, attitude toward compliance with security policy, attitude towar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of non-combat knowledge sharing, and intention of combat knowledge sharing were considered as independent variables. 105 participants on active duty who currently use or have experience to use the por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d that general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creases compliance with th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In addition, the attitude toward knowledge sharing is enhanced by expectations for relationship and sense of self-worth.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s propose the need for policy alternatives to reinforce the reward system and security policy, which activates the use of Knowledge Portal Service for ROK Army.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포털 국정과제 서비스 개발을 위한 이용자 및 전문가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Users and Experts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al Policy Information Portal Service)

  • 노영희;심효정;장인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01-121
    • /
    • 2022
  • 본 연구는 국립세종도서관의 현재 서비스인 정책정보포털(POINT)에서 향후 제공할 신정부의 120대 국정과제서비스의 확장 및 개발을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정부부처 공무원 및 정책 연구원 등을 대상으로 국정과제 희망정보자료와 서비스 요구사항, 제공을 필요로 하는 정보, 역점사항 등에 대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심층면담 분석결과를 통해 향후 정책정보포털(POINT)의 국정과제 서비스 지원 시 고려해야 할 방향 등을 제시했다. 분석결과 현 정책정보포털 서비스 이용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접근의 개선, 통합검색, 정보제공 자료의 확대등이 더욱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정과제 서비스 제공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 다양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원스톱 서비스 구현, 과제별 연관자료의 체계적 정보 제공, 해외 동향 관련 자료, 핵심서비스 제공, 재가공자료 제공, 홍보 활성화, 다양한 정부부처 및 연구기관과의 협력 강화를 통한 자료 연계, 편리한 자료제공 방식, 일반시민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정보제공 및 메뉴 구성 등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Comparing Nanotechnology Web Portal Requirements Using a Kano Method

  • Bae, Seounghun;Kim, Junhyun;Kim, JaeSin;Kim, Myung Shin;Ju, Yonghwan;Seo, Seung Hyun;Han, In-Kyu;Choi, Younghoo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2호
    • /
    • pp.17-32
    • /
    • 2017
  • We compared nanotechnology web portal requirements using a Kano method, to identify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in Kano-categorizations of features and functions required of nanotechnology among users in universities,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and industry. Based upon data obtained from 130 user members of the National Nanotechnology Policy Centre, this study analyzed assessed asymmetries in web users' feelings based on hypothesized provision and non-provision of web portal requirements. In doing this, this study utilized measures and procedures suggested in the literature such as the most frequent-response categorization, customer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coefficient, category strength and total strength, and Fong test. This study found that overall, sectors were an important factor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web portal requirements and user satisfaction/expectations. When these requirements were classified, users' perceptions of information contents requirements were consistent across the sectors, but the other functional requirements including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s considerably varied.

디브러리 포털서비스 콘텐츠 분석 (Content Analysis of Dibrary Portal Services)

  • 조찬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5-293
    • /
    • 2011
  • 정보기술과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포털서비스가 점점 일상화, 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정보의 제공과 유통을 담당하는 도서관이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포털서비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국가디지털도서관인 디브러리 포털서비스를 메인포털, 지역정보, 정책정보, 다문화정보, 장애인정보, 디브러리 블로그로 나누어 그 구성과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브러리 포털서비스를 더욱 확산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디브러리 포털서비스의 최신성, 정확성, 유용성과 이용용이성, 홍보와 진흥 등이 강조되었다.

중소기업의 무역포탈사이트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t e-Trade Portal Sites in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문희철;임성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4권3호
    • /
    • pp.21-40
    • /
    • 2004
  • 무역포탈사이트는 중소기업들이 최신의 정보와 통신기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국제무역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도구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들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무역포탈사이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기존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문헌과 정보기술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검토를 통해 무역포탈사이트를 사용하는데 있어 이용자들의 만족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서비스품질, 정부정책, 기술, 기업, 비용이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용만족도는 향후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대표적인 무역포탈사이트 이용자들에 대한 실종분석 결과 서비스품질, 정부정책, 비용이 이용자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용자 이용만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의 무역포탈사이트 관리자, 전자무역시스템개발자, 정부정책자 등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중소기업의 무역포탈사이트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User′s Satisfaction at e-Trade Portal Site in Korea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 문희철;임성범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4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1-260
    • /
    • 2004
  • 무역포탈사이트는 중소기업들이 최신의 정보와 통신기술을 통해 효율적으로 국제무역활동을 할 수 있게 하는 도구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소기업들의 수출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무역포탈사이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기존의 서비스품질에 관한 문헌과 정보기술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검토를 통해 무역포탈사이트를 사용하는데 있어 이용자들의 만족 요인을 분석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서비스품질, 정부정책, 기술, 기업, 비용이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이용만족도는 향후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대표적인 무역포탈사이트 이용자들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서비스품질, 정부정책, 비용이 이용자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이용자 이용만족은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의 무역포탈사이트 관리자, 전자무역시스템개발자, 정부정책자 등에게 여러 가지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PDF

Availability and Utilization of Library Portal Services for Research in University Libraries in Nigeria

  • Ejikeme, Anthonia Nwamaka;F., Obayi Uche.;Ukamaka, Eze Jacintha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49-64
    • /
    • 2021
  • This research paper delved into the availability and utilization of library portal services for research in university libraries in Nigeria. Two research questions and two null hypotheses were formulated to guide the study.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in Nnamdi Azikiwe Library, University of Nigeria Nsukka (UNN) and Felix Aghagbo Nwako Library, Nnamdi Azikiwe University Library (UNIZIK), Awka. A total of 70 professionals (librarians and system analysts) in these libraries supplied data for the study.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se were us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while the null hypotheses were tested using t-test statistic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and 68 degree of freedom. Major findings showed that portal services available in the library showed that the areas of availability of library portal services in Nnamdi Azikiwe Library, U.N.N. includes Agriculture, Health Sciences, Engineering, Environmental Sciences and information about institution, Social Sciences, Arts and Humanities, Natural Sciences. In Festus Aghagbo Nwako Library, Awka, the areas of Portal Library Services include Career Development, Federal Government Programs, Environmental Sciences, Biological Sciences, Social Sciences, Arts and Humanities, Engineering, and Health Sciences. Findings on extent of utilization of portal services available in the libraries indicated that portal services are utilized to a low extent in the university libraries. Furthermore, librarians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in their opinions on the availability of library portal services and on the extent of utilization of library portal services in the libraries under study.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provisions should be made by the universities and library management to provide and update required portal services in addition to creating enabling environment for enhanced access and utilization of these services. The governments must make an effort to provide funds for policy implementation, necessary technology training for librarians and users, and develop general information infrastructure.

생태정보의 공유를 위한 생태정보 포털서비스 (EcoBank) 구축 및 활용 방안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Ecological Data Portal Service (EcoBank) for Sharing Ecological Information of Korea)

  • 성선용;권용수;김기동
    • 생태와환경
    • /
    • 제51권3호
    • /
    • pp.212-220
    • /
    • 2018
  • Ecological and ecosystem database is becoming very necessary to understand origins and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also to minimize disturbance caused by human activities. An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can play important roles as a computing system to collect knowledge, distributed research findings and separated data from researchers. In this study, we designed and developed ecologic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EcoBank 1.0) for collecting and providing ecological information for diverse classes of stakeholders. To reach the goal, we had reviewed related and comparable ecological database portals to design conceptual structure of EcoBank system including database management framework. Then, we developed some functions of ecosystem analysis for each stake-holders (researchers, general public and policy mak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successfully designed of EcoBank system covering the functions of Digital Object Identifier(DOI) publishing and data quality management process. Also, we (1) applied ecological indices for calculating biodiversity by administrative boundary for policy makers, (2) provided statistical information of econature map for general public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pecies for researchers. To make a successful establishment of EcoBank, we have to collect and build up related database and offer various and reliable ecological data consistently. We expect that the successful construction of EcoBank will help not only to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but also to raise the welfare of ecosystem in Korea.

포털 이용자들의 포털 뉴스이용패턴 및 포털의 언론역할에 관한 인식 (The Pattern of Portal News Use among Portal Users and Their Recognition of Portal as a Press)

  • 이창호;이호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6권
    • /
    • pp.177-211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포털의 언론으로서의 역할에 대한 논란을 정리해보고 포털 이용자들이 언론으로서 포털의 역할과 기능에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는 포털 이용자들의 뉴스이용패턴과 뉴스 댓글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 1회 이상 포털사이트를 이용하고 있는 15세부터 45세 사이의 이용자 1,036명 을 대상으로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대부분의 포털이용자들(70.8%)은 포털이 다른 언론사처럼 언론의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0명 가운데 6명 가량은 포털 뉴스가 사회의 주요 이슈를 제기한다는 데 동의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포털 이용자들이 언론으로서의 포털의 사회적 영향력과 책임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40% 가량의 응답자들이 뉴스 댓글로 제시된 정보를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댓글은 대부분 아르바이트생들이 쓰는 것으로 여겼다. 또한 10명 중 6명 가량은 댓글이 의도적으로 작성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따라서 포털 뉴스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뉴스 댓글에 대한 품질 관리가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포털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일수록 포털이 편리하고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함과 동시에 선정적이고 상업적인 면도 있다고 생각했다. 반면, 인터넷 이용을 많이 할수록 포털이 신속하고 편리하며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가구소득은 포털의 뉴스역할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정부포탈 지식관리의 하이퍼링크 네트워크 실증 분석 - 혁신포탈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a Government Portal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Perspective Using Hyperlink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Innovation Portal)

  • 김재근;유승현
    • 정보화정책
    • /
    • 제17권2호
    • /
    • pp.25-44
    • /
    • 2010
  • 조직의 생존 과정에서 지식관리의 기능은 지식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의 구축을 강조하는 구조적 접근방법과 각각의 맥락에 맞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 또는 재창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지식활동 주체들 간 사회적 네트워킹의 활성화를 강조하는 과정적 접근방법의 통합적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혁신포탈은 혁신 지식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존 지식의 공유 및 새로운 지식의 창출 또는 재창출을 촉진시킴으로써, 각 주체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혁신 효율성 및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에 구축 개통되었다. 구축 당시 참여정부의 혁신방향이 참여형 거버넌스의 강화에 있었음을 감안할 때, 혁신포탈은 정부혁신을 한 단계 성숙시키는 중요한 정책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혁신포탈은 이와 같은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폐쇄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의 웹사이트 간 하이퍼링크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당시 혁신포탈의 실효성을 통합적인 지식관리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부포탈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