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디브러리 포털서비스 콘텐츠 분석

Content Analysis of Dibrary Portal Services

  • 조찬식 (동덕여자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투고 : 2011.08.12
  • 심사 : 2011.09.12
  • 발행 : 2011.09.30

초록

정보기술과 정보환경의 변화에 따라 인터넷 상에서 필요한 정보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포털서비스가 점점 일상화, 대중화 되어가고 있는 현실에서 정보의 제공과 유통을 담당하는 도서관이 포털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포털서비스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국가디지털도서관인 디브러리 포털서비스를 메인포털, 지역정보, 정책정보, 다문화정보, 장애인정보, 디브러리 블로그로 나누어 그 구성과 콘텐츠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디브러리 포털서비스를 더욱 확산시키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디브러리 포털서비스의 최신성, 정확성, 유용성과 이용용이성, 홍보와 진흥 등이 강조되었다.

Due to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information environment, portal services, including library service, which systematically provides information needed on the Internet have become popular in our daily lives. In light of that, this study, in order to enhance our understanding on portal services, examines and analyzes Dibrary, the National Digital Lirary, portal services including main portal, regional information, policy information, multicultural information, the information for the handicapped, and the Dibrary blogs. Accordingly, the emphasis has been put on decency, accuracy, usefulness/user-friendliness, and publicity/promotion for the diffusion and activation of Dibrary portal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승진 외. 2010. 국립디지털도서관 정보서비스정책 개발을 위한 인식도 조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1): 59-70.
  2. 국립디지털도서관 준비기획단, 편. 2007. 2007 디브러리 총서.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3. 국립중앙도서관(기간별). 자체 통계현황 자료집.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김성희, 이승민. 2010.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 네비게이션 시스템 분석.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2): 29-38.
  5. 김영곤. 2008.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평가요소가 사용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5(3): 99-118. https://doi.org/10.3743/KOSIM.2008.25.3.099
  6. 김용근. 2006. 공공도서관의 웹사이트를 통한 정보 봉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3): 265-287.
  7. 노동조, 김정아. 2010. 의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콘텐츠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45-56.
  8. 류은영. 2009. 공공도서관에서 디브러리 포털 활용 방안. 제46회 전국도서관대회, 2009년 10월 28-30일. [창원: 컨벤션센터].
  9. 박소연. 2010. 주요 포털들의 서비스 분류체계 비교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4(2):241-262. https://doi.org/10.4275/KSLIS.2010.44.2.241
  10. 박소연. 2009a. 민간 포털의 책, 전문정보 서비스와 대학도서관 서비스.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181-195. https://doi.org/10.4275/KSLIS.2009.43.3.181
  11. 박소연. 2009b. 주요 포털들의 디렉토리 서비스비교 평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1): 215-234.
  12. 박소연, 이준호. 2006. 국내 주요 검색 포탈들의 백과사전 서비스 비교 평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217-230.
  13. 양창진. 2011. 포털사이트의 사전과 학술정보 연계 검색 방안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1): 7-22. https://doi.org/10.3743/KOSIM.2011.28.1.007
  14. 윤혜영. 2002. 대학도서관 장서관리 웹사이트 컨텐츠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1): 165-186. https://doi.org/10.4275/KSLIS.2002.36.1.165
  15. 이소영, 정영미. 2006. 웹 포털 이용자 로그 데이터에 기반한 개인화 검색 서비스 모형의 설계 및 평가. 정보관리학회지, 23(4):179-196. https://doi.org/10.3743/KOSIM.2006.23.4.179
  16. 이수상. 2007. 중국 유학생의 대학도서관 포털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4): 113-134.
  17. 이수상. 2006. 디지털 도서관의 통합포털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3(4): 257-275.
  18. 조찬식. 2002. 여성전용 인터넷사이트의 콘텐츠 분석.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6(2): 209-230. https://doi.org/10.4275/KSLIS.2002.36.2.209
  19. 정영숙, 박옥남. 2009. 위키 환경을 활용한 학습자의 협력학습 기반 그룹 프로젝트 활동분석: 구글 사이트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정보관리학회지, 26(3): 239-259. https://doi.org/10.3743/KOSIM.2009.26.3.239
  20. 한국도서관협회. 2009. 도서관편람. 서울: 한국 도서관협회.
  21. 디브러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