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Government Portal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Perspective Using Hyperlink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the Innovation Portal

정부포탈 지식관리의 하이퍼링크 네트워크 실증 분석 - 혁신포탈 사례를 중심으로 -

  • 김재근 (성균관대학교 국정평가연구소) ;
  • 유승현 (감사원 감사연구원)
  • Received : 2010.02.10
  • Accepted : 2010.05.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order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s should make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share, distribute, and create related knowledge effectively in the operational process.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organizational performance depends on the level of network and networking for the use of knowledge among the agents. Theoretically, a web portal is known as a useful instrument not only to link among the actors who have a specific interest and purpose but also to promote social networking which creates new knowledge relevant to user's environment. In the context, this article explored policy implications of building and operating government portals by analysing the efficacy of the "Innovative Portal", which the Korean government had opened to diffuse its innovation activities and to improve organizational innovation capacities in 2005, in innovation process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perspective.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identify how did the "Innovation Portal"influence network and networking of innovation knowledge using hyperlink network analysis method.

조직의 생존 과정에서 지식관리의 기능은 지식의 흐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네트워크 구조의 구축을 강조하는 구조적 접근방법과 각각의 맥락에 맞는 새로운 지식을 창출 또는 재창출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지식활동 주체들 간 사회적 네트워킹의 활성화를 강조하는 과정적 접근방법의 통합적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혁신포탈은 혁신 지식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기존 지식의 공유 및 새로운 지식의 창출 또는 재창출을 촉진시킴으로써, 각 주체의 혁신역량을 강화하고 혁신 효율성 및 성과를 제고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5년에 구축 개통되었다. 구축 당시 참여정부의 혁신방향이 참여형 거버넌스의 강화에 있었음을 감안할 때, 혁신포탈은 정부혁신을 한 단계 성숙시키는 중요한 정책수단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그러나 혁신포탈은 이와 같은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한 채,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출범과 함께 폐쇄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의 웹사이트 간 하이퍼링크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여 당시 혁신포탈의 실효성을 통합적인 지식관리 관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함으로써, 향후 정부포탈의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