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eryngii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초

Ralstonia pickettii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leurotus eryngii

  • Purnomo, Adi Setyo;Maulianawati, Diana;Kamei, Ichir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424-1433
    • /
    • 2019
  • DDT is a hydrophobic organic pollutant, which can be bio-accumulated in nature and have adverse consequences on the physical condition of humans and animal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hite-rot fungus Pleurotus eryngii and biosurfactant-producing bacterium Ralstonia pickettii associated with the degradation of DDT. The effects of R. pickettii on fungal development were examined using in vitro confrontation assay on a potato dextrose agar (PDA) medium. R. pickettii culture was added to the P. eryngii culture at 1, 3, 5, 7, and 10 ml ($1ml{\approx}1.44{\times}10^{13}CFU$). After 7 d incubation, about 43% of the initial DDT ($12.5{\mu}M$) was degraded by the P. eryngii culture only. The augmentation of 7 ml of R. pickettii culture revealed a more highly optimized synergism with DDT degradation being approximately 78% and the ratio of optimization 1.06. According to the confrontational assay, R. pickettii promoted the growth of P. eryngii towards the bacterial colony, with no direct contact between the bacterial cells and mycelium (0.71 cm/day). DDD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ane), DDE (1,1-di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and DDMU (1-chloro-2,2-bis(4-chlorophenyl) ethylene) were identified as metabolic products, indicating that the R. pickettii could enhance the DDT biodegradation by P. eryngii.

Screening of Cell Cycle-Related Genes of Pleurotus eryngii Using Yeast Mutant Strains

  • Shi, Shanliang;Ro, Hyeon-Su
    • Mycobiology
    • /
    • 제38권1호
    • /
    • pp.70-73
    • /
    • 2010
  • Temperature-sensitive yeast mutants were used to screen for cell cycle-related genes from Pleurotus eryngii genomic DNA. A mushroom genomic DNA library was established and each gene was screened for the ability to rescue seven Saccharomyces cerevisiae temperature-sensitive strains. Hundreds of yeast transformants were selected at restrictive temperatures over $30^{\circ}C$. Plasmids from the transformants that survived were isolated and transformed back into their host strains. The temperature sensitivity of the resulting transformants was tested from $30^{\circ}C$ to $37^{\circ}C$. Ten DNA fragments from P. eryngii were able to rescue yeast temperature-sensitive strains, and their DNA sequences were determined.

전처리 방법에 따른 느타리, 큰느타리 및 팽이버섯 수확후 배지의 당함량 비교분석 (Comparison of the saccharide content of spent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substrates under various pretreatment conditions)

  • 김정한;이윤혜;지정현;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70-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버섯 수확후배지를 바이오매스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적정 전처리 조건을 구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버섯 수확후 배지의 전처리방법 중 알카리 처리가 리그닌 함량을 효과적으로 경감시키면서, 당전환율이 우수하였고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가 당전환율 80.7%로 가장 우수하였다. 큰느타리 수확후 배지에 1% NaOH를 이용한 알카리 처리시 전처리 온도별 성분분석 결과 $120^{\circ}C$처리시에 glucose 25.3%, xylose 14.8%로 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고, 효소에 의한 당전환율도 66%로 무처리구 28.2%에 비해 2.3배 증가되었다. 촉매제 농도(NaOH 0.5~2.0%)에 따른 당분석결과 glucose 함량은 촉매제 농도와 관계가 적었으며, xylose와 arabinose는 촉매제 농도가 높을수록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당전환율은 NaOH 1% 처리시에 66%로 가장 높았다.

느타리, 새송이, 팽이버섯의 용매추출에 따른 항산화활성 연구 (Study on Antioxidant Activities of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Extracts by Different Solvent)

  • 최진희;김진성;박종대;성정민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22-632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optimal solvent extraction method [Distilled water (DW), 70% ethanol, 99% ethanol] of mushrooms, including Pleurotus ostreatus (Jacq.) Que, Pleurotus eryngii and Flammulina velutipes and improve their usability as natural antioxidants. To analyze antioxidant activities in each mushroom, total polyphenol, flavonoid conten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cation radical (ABTS+) and fluorescence recovery after photobleaching (FRAP) were measured.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DW mushroom extract (p<0.001).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P. eryngii and F. velutipes DW and 70% ethanol mushroom extracts (p<0.05). All mushrooms showed the highest activities using DPPH and FRAP assays in the DW extraction method (p<0.001). P. ostreatus (Jacq.) Que and P. eryngii showed the highest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DW extraction method, and F. velutipes showed the highest activity in the 70% ethanol extraction method (p<0.001). As a result of comparing IC50 values of DPPH and ABTS+ radicals and FRAP EC50 values, the DW P. ostreatus (Jacq.) Que extract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p<0.001). Pearson's correlation betwee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all mushrooms (p<0.01). Therefore, extraction of the mushrooms with DW can enhance the extraction of effective bioactive substances and antioxidant activity.

전지분유와 새송이버섯 분말을 함유한 스프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p with Whole Milk Powder and Pleurotus eryngii Powder)

  • 백수연;김성수;임상동;도정룡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5권2호
    • /
    • pp.113-11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새송이버섯을 이용한 버섯의 소비 증대 및 편의식품의 개발 일환으로 새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한 크림스프를 제조하고, 이의 최적 레시피를 결정하기 위하여 버섯분말을 첨가한 크림스프의 품질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새송이버섯은 $40^{\circ}C$에서 8시간 열풍건조한 후 $60^{\circ}C$에서 8시간 열풍건조한 새송이버섯은 핀밀로 분쇄하여 60, 80, 100 mesh 표준망체로 내려 시료로 사용하였다. 새송이버섯 분말의 수율은 11%이었고, 수분함량은 5.41%이었다. 새송이버섯 분말의 색도는 L값 86.59, a값 0.13, b값 11.15로 나타났다. 새송이버섯 분말을 표준망체로 쳐서 입도크기별로 나눈 함량을 살펴보면, 전체 새송이버섯 분말 중 $150{\mu}m$ 이하의 입자 56.3%, $150{\sim}180{\mu}m$ 입자 8.8%, $180{\sim}250{\mu}m$ 입자 11.6%, $250{\mu}m$ 이상의 입자 23.3% 분포하였다. 입자 크기별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 크림스프의 품질특성을 살펴보면, 색상은 새송이버섯 분말의 입자 크기가 클수록 새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한 크림스프의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고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으로는 외관, 맛, 입안에서의 질감에 대한 기호도에서 입자크기가 $150{\mu}m$ 이하인 시료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좋았으며, 입자크기가 $180{\mu}m$ 이상인 시료의 기호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량을 5~17%로 달리하여 제조한 크림스프의 품질특성을 살펴보면, 색상에서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적색도인 a값과 황색도인 b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염도와 당도는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관능적 특성에서 외관과 버섯향에 대한 기호도는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짠맛과 버섯맛, 입안에서의 질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버섯 분말 15% 첨가한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좋았으나, 버섯 분말 17%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위의 결과를 보아 입자크기 $150{\mu}m$ 이상인 새송이버섯 분말을 15% 첨가한 크림스프를 제조하면 새송이버섯 크림스프의 품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관능적 기호도가 우수한 버섯 크림스프를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은 큰느타리버섯 선발을 위한 SCAR marker 개발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with higher β-glucan)

  • 김수철;김혜수;조용운;류재산;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79-83
    • /
    • 2015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베타글루칸 고함유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peron사의 OPA(20개), OPB(20개), OPL(20개), OPP(20개), OPR(20개), OPS(20개) 등 총 120개 primer를 random primer(10 mer)로 사용하여 대립 계통 9종과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 9 종을 대상으로 RAPD를 이용한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실시하여 OP-R03 primer로부터 대립 계통에는 나타나지 않고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RAPD 밴드를 얻었다. OP-R03 primer를 이용한 RAPD 결과, 약 91 bp 부근에서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 특이적인 DNA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이 DNA 밴드의 염기서열 말단을 근거로 SCAR 마커로 사용할 specific primer인 OP-R03-1-F와 OP-R03-1-R를 디자인하였다. SCAR 마커 OP-R03-1-F/-1-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91 bp 부근에서 대립 계통과 구별되는 DNA 밴드가 베타글루칸 고함유 계통에서 확인되었으며 random primer인 OP-R03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보다 재현성이 높고 진한 DNA 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큰느타리버섯의 고온적응성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 개발 (Development of strain-specific SCAR marker for selection of Pleurotus eryngii strains adaptable to high-temperature)

  • 김수철;김혜수;박소연;류재산;조수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26-231
    • /
    • 2014
  • 본 연구는 큰느타리버섯의 고온적응성 형질에 관련된 SCAR marker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operon 사의 OPA(20개), OPB(20개), OPL(20개), OPP(20개), OPR(20개), OPS(20개) 등 총 120개 primer를 random primer(10 mer)로 사용하여 대립 계통 7종과 고온성 계통 7 종을 대상으로 RAPD를 이용한 bulked segregant analysis를 실시하여 OP-A06 primer로부터 대립 계통에는 나타나지 않고 고온성 계통에만 나타나는 특이적인 RAPD 밴드를 얻었다. OP-A06 primer를 이용한 RAPD 결과, 약 385 bp 부근에서 고온성 계통에 특이적인 DNA 밴드가 관찰되었으며 이 DNA 밴드의 염기서열 말단을 근거로 SCAR 마커로 사용할 specific primer인 OP-A06-1-F와 OP-A06-1-R를 디자인하였다. SCAR 마커 OP-A06-1-F/-1-R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한 결과에서도 385 bp 부근에서 대립 계통과 구별되는 DNA 밴드가 고온성 계통에서 확인되었으며 random primer인 OP-A06 primer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했을 때보다 재현성이 높고 진한 DNA 밴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송이버섯과 원료육의 입자 차이가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eurotus eryngii and Meat Particle Size on Sausage Quality)

  • 진상근;김일석;김동훈;정기종;문성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343-348
    • /
    • 2006
  • 새송이 버섯과 원료육의 입자 크기를 달리하여 제조한 3종(T1: 미세하게 커팅된 새송이 버섯 및 원료육, T2: 입자를 살린 새송이 버섯과 미세하게 커팅된 원료육, T3: 입자를 살린 새송이 버섯 및 원료육)의 소시지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pH는 새송이 버섯과 원료육의 입자가 모두 미세한 T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그러나 처리구 간에 전단가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조직감 중 소시지의 경도는 새송이 버섯의 입자를 살린 T2와 T3이 미세한 T1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원료육의 입자 크기에 따른 경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육색의 경우, 명도와 백색도는 원료육의 입자가 미세한 T1과 T2가 입자를 살린 T3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새송이 버섯의 입자 크기가 다른 T1과 T2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원료육의 입자를 살린 T3이 미세한 T2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관능검사 결과 소시지의 향,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새송이 버섯의 입자를 살린 T2와 T3가 미세한 T1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p<0.05).

새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 김예지;정인경;곽은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3-189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새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쿠키의 품질 및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새송이버섯 분말을 첨가한 쿠키 반죽의 밀도와 수분함량은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쿠키의 퍼짐성과 팽창율은 새송이버섯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손실율의 경우 대조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첨가구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L값의 경우 새송이버섯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a값은 L값과 반대로 증가하였다. b값은 시료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도는 새송이버섯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특성 강도 평가에서도 황갈색, 버섯향, 구수한맛, 단단한 정도, 입자감은 새송이버섯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기호도 검사의 경우, 색과 향에서는 10% 첨가구와 20% 첨가구가 유의적인 차이 없이 가장 선호되었고, 맛에서는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조직감에서는 30% 첨가구를 제외한 첨가구가 시료간 유의적 차이 없이 선호되었다. 종합적인 기호도 값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선호된 10% 첨가구가 가장 높았다. 총 페놀화합물, FRAP,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의 결과, 대조구가 가장 낮았으며 새송이버섯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여 30% 첨가구는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새송이버섯 분말을 10%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시 색, 맛, 향 뿐 만 아니라 대조구보다 2-3배 높은 항산화능을 갖는 쿠키를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