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eurotus ostreatus

검색결과 523건 처리시간 0.024초

느타리버섯 봉지재배시 봉지직경 및 배지량에 따른 생육 특성 비교 (Comparison in Cultu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ot Diameter and Substrate Weight in Pot Cultivation of Pleurotus ostreatus)

  • 이윤혜;조윤정;김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22
    • /
    • 2002
  • 느타리버섯 봉지 재배의 봉지직경 및 배지량에 따른 생육특성을 비교하여 효율적인 봉지규격을 추정하고자 미송톱밥, 비트펄프, 면실박을 부피비로 50 : 30 : 20으로 혼합한 배지로 봉지 직경 $10{\sim}20\;cm$, 배지량 $600{\sim}2,500\;g$/봉지 범위에서 시험 한 결과 봉지직경이 작을수록 배지량이 많아짐에 따라 배지길이가 길어져 배양일수가 지연되었고 이에 따라 총재배기간이 길었다. 또한 2주기까지의 수량은 같은 봉지직경에서 배지량이 클수록 증가하였고 배지량이 1,200 g/봉지보다 많으면 생물학적효율은 감소하여 100% 보다 낮았으며, 같은 배지량에서 봉지 직경에 따른 수량은 큰 차이 없으나 회수율은 봉지직경이 14 cm 보다 크면 감소하였다. 따라서 재배기간, 수량, 생물학적효율 등을 고려한 효율적인 봉지직경은 $10{\sim}14\;cm$, 배지량 $800{\sim}1,200\;g$/봉지 내외로 추정되었다.

Decay Resistance of the Acetylated Tropical Hardwood Species

  • Grace, Adebawo Funke;Yekeen, Ogunsanwo Olukayode;Olalekan, Olajuyigbe Samue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6권3호
    • /
    • pp.225-232
    • /
    • 2020
  •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is an effective method to enhance the biological durability of wood with no toxic effect on the environment. In this study, wood of Triplochiton scleroxylon was modified using acetylation techniques. A total of one hundred wood blocks, (each 20×20×60 mm) obtained from a 22-year old T. scleroxylon tree were conditioned and acetylated at 120℃ in a bioreactor containing acetic anhydride for 60, 120, 180, 240 and 300 minutes. The percentage weight gain of acetylated wood was determined. The untreated (control) and treated blocks were exposed to Pleurotus ostreatus (white rot fungus) and Fibroporia vaillanti (brown rot fungus) after which moisture content (MC) and weight loss (WL) was monitored for 16 weeks.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at p<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percentage weight gain of acetylated wood samples increased with time from 10.4% (60 minutes) to 22.7% (300 minutes). MC of untreated blocks inoculated with Pleurotus ostreatu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ibroporia vaillantii after 16 weeks exposu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C of the of the acetylated samples for the two fungi after 300 minutes reaction time. The WL of untreated blocks inoculated with Fibroporia vaillantii was higher than those of Pleurotus ostreatus, however, the two fungi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L for the acetylated samples after 16 weeks exposure. Acetylation prevents moisture absorption and inhibition of fungi growth in acetylated wood compared to untreated wood, thereby enhancing the durability of Triplochiton scleroxylon.

Expression of Attacin-like Antibacterial Protein NUECIN in Pleurotus ostreatus

  • Kim, Beom-Gi;Yun, Eun-Young;Yoo, Youngbok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91-95
    • /
    • 2011
  • 느타리버섯은 가장 중요한 식용버섯 중 하나이다. 느타리버섯은 Pseudomonas tolaasii에 의한 세균성 갈변병에 매우 감수성이므로, 저항성 품종을 만들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누에에서 분리된 항 세균성 단백질인 누에신을 느타리버섯에서 과발현시키고자 하였다. 누에신 cDNA는 여름 느타리버섯의 ${\beta}$-tubulin 프로모터에 결합되어 pTRura3-2 vector와 함께 우라실 영양요구성 돌연변이 균주에 형질전환되었다. 누에신 cDNA가 형질전환된 느타리버섯을 genomic PCR과 Southern blot을 통하여 분리할 수가 있었으며, 이들 중 3개의 형질전환체가 누에신 유전자를 발현시킴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들 형질전환체들에서 누에신 단백질을 검출할 수 없었으며, 또한 항 세균 효과도 확인할 수 없었다. 이들 결과는 형질전환기술을 이용한 병 저항성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느타리버섯 포자와 균사체의 양성자 빔 조사에 대한 민감도 (Proton Beam Sensitivity of Basidiospore and Mycelium in Pleurotus ostreatus)

  • 권혜진;공원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4-38
    • /
    • 2006
  • 양성자 빔 조사 후 조사선량에 따른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담자포자 발아율 및 균사체 생존율이 $10{\sim}100\;Gy$조사선량에서 시그모이드 곡선을 그리며 증가하였으며, 이후 500y 이상 조사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다. 50% 치사율($L_{50}$)을 나타내는 조사선량은 담자포자가 500 Gy, 균사체가 400 Gy로 나타났으며, $D_{10}$값($D_{10}\;=\;-l/slope(b)$, y = a + bx) 은 각각 750 Gy와 1,250 Gy로 나타났다. 느타리버섯 돌연변이원으로서 양성자 빔 이용시 적정 조사선량은 담자포자의 경우 $500{\sim}750\;Gy$, 균사체의 경우 $400{\sim}1,000\;Gy$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다.

회전식 통풍관 생물반응기로부터 생산된 느타리균의 다목적 과산화효소(VP)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ersatile peroxidase from Pleurotus ostreatus produced in a rotary draft tube bioreactor)

  • 하효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9-214
    • /
    • 2023
  • 본 연구에서 Pleurotus ostreatus No.42는 이전에 보고된 새로운 유형의 회전식 통풍관 생물반응기(RTB)를 사용하여 포도당-펩톤-효모-밀기울(GPYW)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이 배지에서 7일 동안 펠렛형 균사체 배양 후, 리그닌 분해효소인 다목적 과산화 효소(VP)를 분리 및 정제하였다. 다목적 과산화 효소의 정제 과정은 한외여과, DEAE-Sepharose CL-6B 컬럼, Mono Q 컬럼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정제하였다. 그 결과, SDS-PAGE상에서 분자량(MW)은 36.4 KDa, 등전점 (IEF)은 3.65로 나타났으며, 아미노산 조성은 VTCATGQTT로 확인되었다. 정제된 다목적 과산화 효소는 Mn 이온을 산화시킬 뿐만 아니라 비페놀성 화합물인 베라트릴 알코올을 분해하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Pleurotus ostreatus을 배양한 밀 분말 첨가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made with Flour of Wheat Cultured with Pleurotus ostreatus)

  • 김한섭;정현채;배종호;한기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79-885
    • /
    • 2012
  • 밀에 대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특성 및 균사체 배양밀가루를 첨가한 제빵 적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기 위해서는 온수를 이용한 침지가 냉수보다 유용하였으며, 균사체가 배양된 밀은 통밀보다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 성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균사체배양 밀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무게, 부피 및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Crust와 crumb의 색도는 균사체 배양 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 평가결과, 향과 맛 그리고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균사체 배양 밀가루 5%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균사체 배양 밀가루를 실제 제빵에 이용할 경우 5% 미만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는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제빵 제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균사체 배양 밀가루의 식품소재로의 이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Casing Layer on Growth Promotion of the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Cho, Young-Sub;Weon, Hang-Yeon;Joh, Jung-Ho;Lim, Jong-Hyun;Kim, Kyung-Yun;Son, Eun-Suk;Lee, Chang-Soo;Cho, Bong-Gum
    • Mycobiology
    • /
    • 제36권1호
    • /
    • pp.40-44
    • /
    • 2008
  • Various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casing layer soil of the culture bed of P. ostreatus and their role in fruiting body induction of the edible mushroom, P. ostreatus, was investigated.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y isolated from the casing layer soil revealed that the composition of genera and number of cultivable bacteria were different for each sterilizing treatment. Bordetella was predominant in the bulk soil whereas Flavobacterium was predominant after sterilization of the casing layer soil. Fluorescent Pseudomonas was predominant in the non-sterilized casing layer soil. Total number of the bacterial genera in the casing layer soil was higher than that in the bulk soil. In particular, an increase in the fluorescent Pseudomonas population was observed in the non-sterilized casing layer accompanied by induction of fruiting body and enhanced mushroom production yield. The results suggested that specific bacterial populations in the casing layer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primodia and the development of basidiome in P. ostreatus.

Pleurotus속 균주들의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 특성 (Characterization of Mitochondrial Plasmids from Pleurotus spp.)

  • 김은경;구용범;차동렬;하영칠;노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41-147
    • /
    • 1993
  • 백색 부후균인 plaurotus ostreatus 의 4가지의 균주로부터 각각 10.2 kb 와 7.2 kb (NFFA 2), 두 종류의 10.2 kb (NFFA 4001) 11.2 kb (NFFA 4501), 10.2kb 와 11.2 kb(KFCC 11635) 크기의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들을 분리해 내었다. NFFA 2 의 변종인 NFFA 2m1 과 NFFA 2m2 에서는 이들 플라스미드가 관찰되지 않았다. 분별 원심분리에 의해 얻은 미토콘드리아에서 핵산을 추출하여 agarose gel 에서 전기영동시키면 플라스미드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proteinase K 를 처리하고 핵산을 추출하여 전기영동한 결과 이들 플라스미드가 관찰되었는에, 이는 플라스미드상에 단백질인 결합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Proteinase K 를 처리한 플라스미드 DNA 와 exonuclease 를 반응시킨 결과, 이들 플라스미드들은 5'말단에 단백질이 결합된 성형 이중가닥 DNA의 구조를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 각 플라스미드들의 상호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Southern hybridization 을 수행한 결과 최소 3가지 종류의 플라스미드들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중 한 그룹 (group I) 은 모든 P. ostreatus 균주들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었다. Pleurotus 속의 5가지 다른 종(P. cornucopiae, P. florida, P. pulmonarius, P. sajor-cuja, P. spodoleucus) 의 균주들로부터 미토콘드리아 플라스미드들을 분리하였다. 이들은 한균주당 1-4 개 까지의 플라스미드를 가지며, 플라스미드의 크기는 7.2 kb-14kb 범위에 있었다. P. ostreatus 의 NFFA 2 의 10.2 kb(group I) 플라스미드와 hybridization 을 수행한 결과 P. cornucopiae ASI 2011을 제외한 다른 모든 균주들이 유사한 염기서열의 플라스미드를 갖고 있음을 알았다.

  • PDF

Characterization and RT-PCR Detection of dsRNA Mycoviruses from the Oyster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 Seo, Jang-Kyun;Lim, Won-Seok;Jeong, Ji-Hye;Yoo, Young-Bok;Yie, Se-W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0권3호
    • /
    • pp.200-205
    • /
    • 2004
  • The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genomic dsRNA mycovirus infecting Pleurotus ostreatus isolates ASI2223 and Suhan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mycoviruses belonging to partitiviruses and totiviruses. Partial nucleotide sequences of the purified dsRNA from ASI2223 and Suhan showed RNA-dependent RNA polymerase sequenc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ose of partitiviruses, including Fusarium poae virus 1, Fusarium solani virus, Rhizoctoniasolani virus, Discula destructiva virus 2, and Oyster mushroom isometric virus 2. Specific primers were designed for RT-PCR detection of dsRNA viruses from the P. ostreatus isolate ASI2223 and Suhan. Two virus specific primer sets were found to specifically detect each virus among six sets of designed oligonucleotide primers. Coll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dsRNA mycoviruses from P. ostreatus isolates ASI2223 and Suhan belong to the family Partitiviridae, although, they are not the same virus species. Our results also suggest that these virus-specific primer sets can be employed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each viral sequence in infected tissues.

목재(木材) 부후균(腐朽菌)의 목질소(木質素) 분해효소(分解酵素) 유도(誘導)에 관하여 (Induction of Extracellular Polyphenol Oxidase from Two White-rot Fungi)

  • 김규중;신광수;홍순우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3-47
    • /
    • 1986
  • 리그닌과 관련된 대표적인 페놀화합물인 ferulic acid, vanillic acid 및 gallic acid와 단백질합성저해항생제인 cycloheximide와 puromycine 중에서 Lentinus edodes JA01 경우는 gallic acid가 Pleurotus ostreatus는 ferulic acid가 각각 가장 효과적인 inducer였다. gallic acid는 2.0mM에서, ferulic acid는 1.0mM에서 induction이 가장 잘 되었다. Inducer의 처리시기는 접종후 L. edodes는 2일후에, 그리고 P. ostreatus는 3일후에 최고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polyphenol oxidase activity는 균주의 생장곡선에 대체적으로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나, P. ostreatus 경우는 대수기에서 최고의 활성을 나타내고 그 이후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