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y experience

검색결과 742건 처리시간 0.026초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한 숲놀이 활동 및 공간 요소의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Forest Play Activity and Space through Preschooler Participatory Workshop)

  • 강태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69-81
    • /
    • 2018
  • 최근 사용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된 조경공간계획을 위한 방법으로 사용자 참여 워크숍이 적용되고 있다.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유아숲체험원의 조성에 대한 질적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숲체험원을 조성함에 있어 사용자의 기본적인 필요와 요구를 담은 계획요소(숲놀이 활동과 공간)를 유아참여 워크숍을 통해 도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발달상의 요구가 충족된 유아 참여디자인 주요 도구를 선정하고, 단계별 워크숍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사전 워크숍단계에서 유아참여(K유치원 6, 7세 통합반 41명) 결과를 통해 계획요소의 표준유형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본 워크숍단계에서 대상지(송산물빛유아숲체험원)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참여유아(사전워크숍 참여유아)들의 선택을 통해 도출하고, 그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였다. 유아 참여과정에서 사용된 도구는 사전워크숍에서 '그림그리기', 본 워크숍에서 계획요소 표준유형 차트(숲놀이활동 픽토그램 차트, 숲놀이공간 실사이미지 차트)이다. 그 결과, 첫 번째 도출된 숲놀이 활동의 표준유형은 38개이다. 인지놀이 27개(기능 16, 구성 4, 상징 4, 규칙 있는 게임 3), 기타 놀이 9개(감각(탐색) 5, 기타 4), 사회놀이 2개(혼자, 집단) 유형으로 구성된다. 숲놀이 공간의 표준유형은 21개이다. 놀이시설 공간 8개(시설 5개, 자연 3개), 수공간 2개 외 5 공간 11개로 구성된다. 두 번째, 대상지에 적용한 결과,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활동은 전체적으로는 기능놀이가, 단위활동으로는 오르기와 물놀이가 가장 많이 선택되었다. 또한 유아발달놀이 측면에서는 기능, 구성, 상징, 규칙 있는 게임, 기타 놀이가 고르게 선택되었다. 대상지 내 도입할 숲놀이 공간의 경우, 유아의 성별 나이별 선택결과는 유아의 전체 선택 결과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남아는 여아보다 신체, 모험 등의 기능놀이공간을, 여아는 남아보다 쉼터공간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결과는 유아의 숲놀이 행태에 대하여 직접 관찰한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유아들이 대상지를 인지하고, 대상지 내에 도입할 계획요소를 선택한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참여디자인 워크숍 과정과 과정별 도구들은 연구의 목적에 맞게 구축 적용된 것으로 파악되며, 향후 유아숲체험원 조성계획 시 적용할 수 있는 사례로서 가치가 있다.

유아숲체험장의 환경특성에 따른 유아놀이 행태분석 (An Analysis of Young Children's Play Behavior by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in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Children)

  • 강태순;이명우;정문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62-176
    • /
    • 2016
  • 숲공간에서의 경험과 놀이가 유아의 성장과 발달에 효과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숲활동공간에 대한 연구와 관련 조성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연구들이 숲활동의 효과를 중심으로 하고 있어, 숲활동을 위한 공간설계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숲활동공간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유아놀이행태와 유아발달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숲활동공간 설계 시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유아발달과정의 지표인 인지 사회놀이를 유아의 놀이행태유형으로 선정하고, 숲활동공간은 놀이시설공간과 숲속공간으로 구분하였다. 각 공간의 환경특성으로는 놀이시설공간의 경우, 놀이영역과 포장재, 숲속공간의 교목 및 관목밀도, 경사, 포장재, 자연낱개재료로 선정하였다. 환경조사와 행태관찰조사를 바탕으로 만 4, 5세 유아들이 각 공간에서 보이는 놀이행태의 유형과 발생빈도를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 놀이시설공간에서는 시설과 모래장이 함께 있는 시설물놀이터에서 놀이행태가 높게 발생했으며, 인지 사회놀이는 기능-혼자와 기능-병행놀이가 우세하게 발현되었다. 2) 숲속공간에서는 낮은 밀도의 식재공간과 자연낱개재료가 있는 환경에서 다양한 유아놀이행태가 나타났고, 기능-집단놀이와 발달단계의 최상위인 상징-집단놀이가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3) 상징-집단놀이는 소밀도 이하의 교목, 10~20도 경사, 땅에 고정된 대형 그루터기의 환경특성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들의 놀이행태를 직접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유아들의 숲활동을 위한 공간조성시 적용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특성의 기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on the Effect of Experience Values of Chinese Coffee Shop on the Intent of Revisiting of Consumer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Emotional Responses

  • KANG, Min-Jung;WAN, Yeo-Sun;HWANG, Hee-Jo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7권11호
    • /
    • pp.47-52
    • /
    • 2019
  • Purpose: This study specifically discusses why coffee shop customers want to revisit coffee shops.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the emotional reaction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 experience values of the Chinese coffee shop on the re-visit of the coffee shop.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Regression and reliability analyses were conducted. Simple regression was used for stock price verification, and the bootstrap method of model4 of Hayes was performed for the intermediate hypothesis verification. Result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values of coffee shops (entertainment, aesthetic, economic efficiency, and service excellence)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customers' intention to revisit coffee shops. Conclusions: Managers can check that the level of revisit by customers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elements of experience value. In addition, studies have shown that the customer's emotional reactions play a significant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lue of the experience and the customer's intention to revisit the coffee shop. This suggests that the coffee shop operator should focus on the emotional response of its customers and devise strategies to ensure that the value of the experience is connected to the intent of revisiting.

아동중심놀이치료에서의 아동과 치료자 반응 관찰척도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Observation Scale to facilitate a Valid and Reliable Analysis of the Responses of Child and Therapist in Child-Centered Play Therapy)

  • 이행숙;한유진
    • 아동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41-159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develop an observation scale for analyzing the responses of child and therapist in child-centered play therapy in terms of item discrimination, validity, and reliability. The observation scal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literature, the author's experience of child-centered play therapy, the observation of video tapes of play therapy session, and discussions with child-centered play therapy expert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4 children aged from 4 to 9 years old who hav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and 7 therapists who consult with the children. The reliability of factors, as measured by inter-rater reliability and Cronbach's', ranged from .72 to .77.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identified 2 factors and 21 items associated with the reponses of the children, and 2 factors and 19 items associated with the responses of the therapists. The significant factors identified were as follows; (1) the child's response style; (2) the child's response content (adaptability, initiation, structuring, flexibility); (3) the therapist's response style, and (4) the therapist's response content (facilitative response, structuring, nonfacilitative response). In conclus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observation scale provides a valid and reliable means of analyzing the responses of child and therapist in child-centered play therapy.

테마파크 공간에 따른 에버랜드 캐스트 의상 분석 (The Analysis of Everland Cast Costume in Accordance with Its Space)

  • 장지선;하지수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1085-1099
    • /
    • 2016
  •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stablish fundamental design criterion for theme park cast costumes in accordance with play type and space. There is an understanding that theme parks act as a play space that is designed to meet diverse playing desires. To analyze cast costumes, the theme park - 'Everland' in South Korea as an example, area was divided into attraction space and non-attraction space. Attraction space is mainly for full-scale play content areas and the non-attraction space is to enforce the attraction space experience. Roger Caillois's play theory states that there are 4 play types; Illinx, Mimicry, $Ag{\hat{o}}n$, and Alea. All 4 play types were shown through attraction and Mimicry at non-attraction. Each cast costume was analyzed in terms of apparel design elements - silhouette, textile, color, detail, and props - related to play type facility and cast role. Criteria for theme park cast costume desig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Illinx cast members who fulfill a safety-checking role wear high chroma warm color costumes with the accent on details in bodice cutting lines, collar edges, pockets, buttons and decorative ornaments. A complementary contrast is also used. The guidance cast in Illinx may wear a suit in bright/vivid color. Mimicry guidance cast costumes show meticulous perfection in imitation with the figure in its space. From head to toe, color, textile, and silhouette - every detail and even props should match the character. $Ag{\hat{o}}n$ cast costumes are strictly limited in detail and decorative ornament usage as well as in color, since they are in charge of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a competition. Alea cast's role is a self-demonstrator. Alea cast members should be a real tarot card reader. However, a manual should control their costumes. A total of 10 cast roles at a non-attraction space should be designed to show job patterns clearly in accordance with the whole theme at the park.

방과 후 농촌체험프로그램에 대한 대구시 학부모 선호 및 지불의사금액 추정 (A Study on Parents' Preference and estimate Parents' Willingness to Pay for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n Daegu City)

  • 권중섭;임청룡;장우환
    • 농촌계획
    • /
    • 제19권2호
    • /
    • pp.163-17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on parents' preference and estimate parents' Willingness to pay(WTP) for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n daegu city by choice experiment(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ivided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nto three types, namely: nature seeing, play exercise and learning experience. Second, the study has shown that parents prefer learning experience among those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s. Among attributes which form a experience program, instructor certificates, consuming time and expense for participant are statistically effecting significant impact. Third, the result of estimation on willingness to pay for development of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is as follow. The willingness to pay for learning experience is 6,337won, willingness to pay for instructor certificates is 14,102won and it for consuming time is 2,926won. Therefore, composition centering learning experience is better and instructor who has expert certificate is required. It is much better to compose that the consuming time is longer and the expense for experience is lower. But there is limitation because this survey was conducted based on an assumption, so it could read over estimation problem. The result of this stud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after-school rural experience program using rural resources and to improve rural tourism policy.

Social Network Game의 사용자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User Experience of Social Network Game)

  • 김경남;이면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9호
    • /
    • pp.349-356
    • /
    • 2013
  • 게임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경험은 플레이어가 게임을 플레이하면서 느끼는 총체적 경험을 말한다. 이 경험이 클수록 사용자의 몰입과 만족도가 커지기 때문에 사용자 경험은 게임의 성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근래 화두가 되고 있는 SNG(Social Network Game)에 대한 사용자 경험의 중요성을 제시하기 위해서 성공한 게임과 그렇지 않은 게임들의 특징을 사용자 경험의 주요 요소인 인터페이스, 사용성, 상호 작용 디자인 요소로 분석한다. 이후에, SNG 게임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사용자 경험 요소를 논한다. 본 연구는 SNG 게임 플레이어들의 게임 몰입과 사용자 경험에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FGI 분석을 통한 놀이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Play & Education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

  • 박혜진;김용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65-173
    • /
    • 2019
  • 최근 아동을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놀이를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이 지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가 교육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제공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과 현재의 운영 현황을 토대로 놀이교육이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놀이 전문가 및 학부모 대표 9명을 선정하여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시행하였다. FGI의 질문은 (1) 놀이 및 부모교육 지원 조직 설립과 공동운영, (2) 기존 교육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개선사항, (3) 놀이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4) 놀이교육 지원 인력에게 필요한 역량, (5) 놀이교육의 질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FGI 조사를 통해 교육현장에서 아동의 긍정적인 성장발달 도모 및 체계적 프로그램 지원을 위한 놀이교육 운영 방안을 도출하였다. 교육현장에서 놀이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교육이 진행되는 센터 설립과 동시에 놀이를 중심으로 통합적 접근이 가능하도록 운영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창의적 사고를 촉진할 수 있도록 예술 영역의 프로그램을 개발 지원될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놀이교육에 대한 구체적 목표 달성 및 질적 제고를 위한 방향으로의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온라인게임을 위한 무 정지 업데이트 기법의 연구 (A Study of Non-Disruptive Update Scheme for Online Game)

  • 강상용;한정현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1307-1312
    • /
    • 2014
  • Online games are virtual space where it connects individual users through network connection to offer enjoyment of play games and game developer who service online games have to develop new contents and provide them to users to extend life of their service. Typically, in order to update new contents, all service companies have maintenance schedule to stop the game service for a while to update both server and client applications. Usually this process takes quite amount of time and users do not have any other choice but disconnected from server and wait until it is ov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scribe the advantages of new design system which will allows users to continue to play the game even during the update. The main focus of this design is to make users feel more convenience in online gaming experience by move client from previous server to new server while users are still playing. If they can to connect current client with new server without any certificate validation process while users information from the client can automatically pass through to the new server, users may not need to experience maintenance for new contents update.

게이머의 게임 행위와 시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Gamers' Game Acts and Play Time)

  • 곽이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71-80
    • /
    • 2017
  • 본 연구는 게임에서의 시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게임의 시간에 대한 연구는 제스퍼 주울(Juul, 2004)을 비롯한 여러 학자들을 통해 진행된 바 있으며, 기존의 연구들이 현실의 시간 개념을 기준으로 게임의 시간을 내재적 시간과 외재적 시간을 분리하여 다루고 있음을 먼저 확인하였다. 이 가운데 본 연구는 관찰자적 시각으로 게임의 내재적 시간을 고찰하고자 하는데, 이는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현실과 게임의 시간적 관계성 보다는 게임성 즉, 플레이이며 더 나아가 경험에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게임의 내재적 시간을 '지향적 시간'과 '비지향적 시간'으로 분류하고 그 시간들이 게이머의 경험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