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nt specimens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2초

Protective effects of Hydro-alcoholic extract of the roots of Kasondi (Cassia occidentalis L.) against gentamicin-induced nephrotoxicity in albino Wistar rats

  • Jwariya Shamim;Athar Parvez Ansari;Pankaj Goswami;Seema Akbar;Huzaifa Ansari;Abdul Wadud;Pervaiz Ahmad Dar
    • 셀메드
    • /
    • 제13권6호
    • /
    • pp.5.1-5.8
    • /
    • 2023
  • Objectives: Cassia occidentalis L. is a weed belonging to the Caesalpiniaceae family. The root of this medicinal plan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ailments, including kidney disease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at evaluating the nephroprotective effects of HAE of the roots of Cassia occidentalis L. against gentamicininduced renal toxicity in albino Wistar rats. Methods: The renal toxicity was induced by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gentamicin at 100 mg/kg in the rats belonging to the disease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from the 4th to the 8th day. The rats in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HAE of the roots of Cassia occidentalis L. at 67 mg/kg b. w. orally for 8 days, while no treatment was given to the rats in the disease control and plain control group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renal biomarkers viz; s. creatinine, b. urea, and s. uric acid, were investigated. Th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kidney specimens was also carried out. Result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renal function biomarkers such as s. creatinine, b. urea, and s. uric acid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rats of the treatment group as compared to those of the disease control group. Moreover, the histoarchitecture reports of the treatment group's kidney specimen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HAE of Cassia occidentalis L. roots promisingly prevented kidney injury in gentamicin-induced nephrotoxic rats. This effect might be due to improved clearance of gentamicin from the renal tubule and decrease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Effect of ZnO Nanoparticle Presence on SCC Mitigation in Alloy 600 in a Simulated Pressurized Water Reactors Environment

  • Sung-Min Kim;Woon Young Lee;Sekown Oh;Sang-Yul Lee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401-41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of zinc oxide (ZnO) nanoparticles for corrosion resistance and stress corrosion cracking (SCC) mitigation in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nvironments. The ZnO nanoparticles are synthesized using plasma discharge in water, resulting in rod-shaped particles with a hexagonal crystal structure. The ZnO nanoparticles are applied to Alloy 600 tubes in simulated nuclear power plant atmospheres to evaluate their effectiveness. X-ray diffraction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analysis reveals the formation of thermodynamically stable ZnCr2O4and ZnFe2O4 spinel phases with a depth of approximately 35 nm on the surface after 240 hours of treatment. Stress corrosion cracking (SCC) mitigation experiments reveal that ZnO treatment enhances thermal and mechanical stability. The ZnO-treated specimens exhibit increased maximum temperature tolerance up to 310 ℃ and higher-pressure resistance up to 60 bar compared to non-treated ZnO samples. Measurements of crack length indicate reduced crack propagation in ZnO-treated specimens. The formation of thermodynamically stable Zn spinel structures on the surface of Alloy 600 and the subsequent improvements in surface properties contribute to the enhanced durability and performance of the material in challenging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environments.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corrosion-resistant materials and the mitigation of stress corrosion cracking in various industries.

폴리에틸렌 배관 버트융착부 열용융거리 측정에 대한 연구 (A study for detection of melt flow zone about polyethylene butt fusion joints)

  • 길성희;김영구;조영도;이연재
    • 에너지공학
    • /
    • 제25권4호
    • /
    • pp.103-109
    • /
    • 2016
  •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배관은 가요성이 좋고 부식이 되지 않는 등의 장점으로 가스배관 뿐만 아니라 원자력 발전소의 배수관, 석유화학 및 정유사 공정배관 등으로 그 사용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부를 직접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검사방법이 개발되지 않아서 사용범위를 확대하는데 제한을 받고 있다. 폴리에틸렌 배관의 연결방법은 전기융착 방법과 버트융착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버트융착이다. 버트융착은 배관과 배관을 열판에 맞닿게 하고 일정한 온도 및 압력을 가한 후 열판을 제거하고 용융된 배관의 말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으로서 별도의 연결구가 필요하지 않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연결방법이다. 버트융착 시에 열판으로부터 열이 용융된 후 압력을 가하면 용융부는 비드를 형성하는 부분과 연결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분리되고 냉각과정을 거쳐 버트융착부가 된다. 본 연구는 연결부를 형성하는 부분에서 열판으로부터 열이 전파되어 용융된 거리를 측정하고 이 결과를 연결부에 대한 건전성 평가 방법 중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 외경 225mm, 두께 20.5mm의 중밀도 폴리에틸렌 가스용 1호관의 초음파 속도를 측정한 결과 2,200m/s 였다. 열용융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열판으로부터 열이 전파되어 폴리에틸렌을 가열하는 시간을 0%~130%까지 변화시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또한 정상적인 가열시간(100%의 가열)을 제공하고 스크레핑 처리를 하지 않은 시험편과 토양을 삽입한 시험편 그리고 자갈을 삽입한 시험편과 비닐류를 삽입한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총 20개의 시험편에 대한 열용융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3.5MHz 및 5.0MHz 센서를 이용하였으며 1개의 시험편에 대하여 총 3곳에서 초음파 탐상을 실시하였다. 열용융 신호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모든 탐상 결과에 대하여 동일한 post image processing을 수행하였고 이미지 레벨, contrast, sharpen 및 threshold를 적용하였으며 결과 탐상은 가장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gray scale로 표현하였다. 탐상 결과 가열시간이 짧은 시험편일수록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아 멀티플 에코가 반사되는 영역이 증가하였으며 이 부분을 최대한 배제할 수 있는 위치에서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정상적인 가열시간의 80%인 168초의 시간을 가한 시험편부터 열용융 거리에 대한 반사신호가 뚜렷이 구분되었으며 이 시험편부터 거리 측정을 실시하였다. 가열시간이 정상가열시간의 7%인 15초의 가열시간을 가한 시험편부터 더 낮은 가열시간을 가한 시험편의 경우 융착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3곳 모두 데이터 영상을 획득할 수 없었다. 위 실험 결과로 위상배열초음파를 통해 폴리에틸렌 배관 버트융착부에서 열이 용융되어 전파된 거리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열이 용융되어 전파된 거리 측정을 통해 정상적인 융착과 불완전 융착을 구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미기록 Gastrostyla 섬모충 (Ciliophora: Spirotrichea: Stichotrichida) 3종의 형태적 변이와 재기재 (Redescription of Three Newly Recorded Gastrostyla Ciliates (Ciliophora: Spirotrichea: Stichotrichida) with Morphological Variations from Korea)

  • 조종오;김연욱;신만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21권1호
    • /
    • pp.45-56
    • /
    • 2005
  • 하수처리장과 계곡의 웅덩이에서 채집된 3종의 Gastrostyla 섬모충류가 Gastrostyla minima Hemberger, 1985, G. steinii Engelmann. 1862 그리고 G. setifera (Engelmann, 1862)로 동정되었다. 기재는 생체표본, protargol 염색표본 관찰과 관찰된 표본의 형태통계에 기초하여 기술하였다 이 종들의 형태적 변이는 측정된 형질의 기술통계처리로 분석되었다. 이들 3종은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록되는 종으로 아래의 식별형질로 구분된다 G. minima는 일반적으로 2개의 대핵에 구형의 소핵이 하나씩 있고, 하나의 후방구복극모 (poVC, postoral ventral cirri)와 연속적인 복극모섬모열 (VCR, ventral cirral row), 5개의 후방극모 (TC), 6개의 등쪽섬모열에서 네 번째 섬모열은 끊어져 있고 cortical granules들을 가진다. G. steinii는 4개의 대핵과 3-5개의 소핵을 가지고, 하나의 후방구복극모(poVC)와 연속되지 않는 복극모섬모열 , 4개의 후방극모, 6개의 등쪽섬모열을 가지며 cortical granules들이 없다. G. setifera는 2개의 대핵에 구형의 소핵이 하나씩 있고, 두 그룹으로 뚜렷하게 나누어진 5개의 후방극모가 있으며, 6개의 등쪽섬모열, 두개의 후방구복극모와 연속되지 않는 복극모섬모열을 가지며 cortical granules은 없다.

고추에 엽맥퇴록병을 일으키는 오이 모자이크 바이러스(CMV-VCH)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Cucumber mosaic virus-VCH Causing Vein Chlorosis on Red Pepper in Korea)

  • 조점덕;이신호;김정수;최국선;김현란;정봉남;류기현
    • 식물병연구
    • /
    • 제12권3호
    • /
    • pp.226-230
    • /
    • 2006
  • 노지 포장에서 채집한 고추 잎에 바이러스 병징을 나타내는 총 62개 시료 중 32개(52%)시료가 CMV에 감염되었다. CMV에 감염된 32개체 중 22개(68.8%) 시료는 엽맥퇴록 및 엽맥괴저 병징을 나타냈으며 모두 CMV(CMV-VCH)에 단독감염되어 있었다. 생물검정결과 Nicotiana glutinosa에서 접종엽에 엽맥퇴록, 상엽에 엽맥녹대, 엽맥괴저, 순괴저에 이르는 심한 병징을 보였고, N. benthamiana와 N. tabacum cv. 'Ky-57'에서 접종엽에 무병징, 상엽에 엽맥녹대, 기형 및 물집 병징을 일으켰다. 고추 시판품종인 '부강', '마니따' 그리고 '꽈리풋고추' 모두 엽맥퇴록 병징이 나타났으며 후기에는 기형이 되었다. RT-PCR 유전자 진단결과 엽맥퇴록 병징의 시료는 모두 CMV에 감염되었으며, CMV-VCH 바이러스 입자는 약 30 nm의 구형 이었다. 자외선 흡광도는 260nm에서 최고, 242nm에서 최저였으며 핵산과 단백질 비율은 1.71이었다. CMV-VCH의 핵 단백질은 단일 단백질이며 분자량은 24.5kDa 이었다.

초초 임계 화력 발전소용 밸브 소재의 산화 거동 (A Study on the Oxidation Behaviors of Power Plant Valve Materials under the Ultra Super Critical Condition)

  • 이준섭;조동율;윤재홍;주윤곤;송기오;조재영;강진호;이선호;엄기원;이종욱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6-33
    • /
    • 2009
  • Recently ultra-supercritical steam power plants operate at $1000^{\circ}F$ ($538^{\circ}C$) and 3500 psi (24.1 MPa). Thermal efficiency of power plant will be increased about 2% if steam temperature increases from $1000^{\circ}F$ to $1150^{\circ}F$ ($621^{\circ}C$). In this study valve materials Incoloy901 (IC901) and Inconel718 (IN718) were nitrided to improve the surface hardness and solid lubrication function of the valve materials. The hardness of both IC901 and IN718 increased about two times by ion nitriding. IC901, IN718 and their nitrided specimens were corroded under ultra super-critical condition (USC) of $621^{\circ}C$. and 3600 psi (24.8 MPa) for 2000 hours. Oxidations of both IC901 and IN718 were very small due to the formation of protective oxide layer on the surface. But the corrosion resistance of both nitrided specimens decreased because of the formation of non-protective nitride layer of $Fe_{4}N$, $Fe_{2}N$ and CrN on the surface layer. The hardness of both nitrided IC901 and IN718 at $20{\mu}m$ depth from the surface decreased about 30% and 20% respectively by USC 2000 hours.

구실바위취의 신조합명 및 계통 유연관계 (A new combination for Saxifraga octopetala (Saxifragaceae) and its phylogenetic relationship)

  • 김용인;조성현;김보윤;이정훈;강대현;김순옥;;김영동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6-317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간혹 흰바위취(Micranthes manchuriensis)와 동일종으로 취급되기도 하는 한국 고유종 구실바위취(Saxifraga octopetala)의 분류학적 지위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구실바위취의 계통학적 위치와 종의 경계를 확인하기 위해 두 종의 기준표본에 대한 형태적 검토와 핵 리보솜 DNA의 ITS 지역 염기서열에 대한 집중적인 계통분석을 시행하였다. 총 65개 구실바위취 개체는 ITS 계통수에서 하나의 무리를 이루면서 Micranthes 분기군(clade)에 포함되었고, 톱바위취 및 흰바위취와 가까운 계통 유연관계를 나타내었다. 중국과 러시아에서 채집된 다수의 흰바위취 개체 역시 독자적인 분기군을 형성하면서 M. nelsoniana var. pacifica 및 M. fusca와 자매군을 이루었다. 구실바위취의 실체가 모호했던 것은 흰바위취 개체와 톱바위취의 화서를 함께 포함하고 있는 복합표본인 Wilford의 채집품(흰바위취의 기준표본)을 Nakai가 잘못 관찰하였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구실바위취와 흰바위취의 높은 형태적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지하 포복경의 특징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ITS 계통수에서 구실바위취가 Micranthes 내에 자리하는 것으로 나타나 구실바위취는 Micranthes 내에서 종의 지위를 유지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에 따라 신조합명(Micranthes octopetala)을 발표하였다.

나도국수나무족의 분류: 산국수나무속 (Taxonomy of tribe Neillieae (Rosaceae): Physocarpus)

  • 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32-352
    • /
    • 2015
  • 장미과 나도국수나무족(Neillieae)은 많은 분류학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 나도국수나무속(Neillia), 국수나무속(Stephanandra), 산국수나무속(Physocarpus)의 3속에 속하는 약 18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나도국수나무족은 숙존하거나 조락하는 탁엽, 열편으로 갈리는 잎, 난형이고 광택이 있는 종자 및 풍부한 배유를 갖는 특징에 의해 장미과 내의 다른 족들과 뚜렷이 구분되며,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에서도 단계통군으로 강한 지지를 받는다. 그러나, 나도국수나무족 내의 종 간에 나타나는 복잡한 형태 변이 양상으로 인해 다양한 분류체계가 제시되어 있고 많은 종들이 기재되어 있으나, 전세계에 분포하는 나도국수나무족의 모든 종을 포함한 종합적인 분류학적 연구는 수행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나도국수나무족의 종속지적 연구의 일환으로 기준표본을 포함한 표본 조사 및 야외 조사를 바탕으로 한 형태형질 분석 결과와 현재까지 밝혀진 분자계통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국수나무속의 분류를 제시하였다. 각 종에 대한 검색표, 모든 학명에 대한 자세한 명명법적인 검증 및 처리 그리고 나도국수나무족, 산국수나무속 및 각 종에 대한 기재, 분포도 및 조사한 표본의 목록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산국수나무속에 6종을 인식하였으며, 다음의 학명에 대한 선정기준표본을 지정하였다 (Opulaster pubescens, Opulaster ramaleyi, Spiraea opulifolia var. parvifolia, Spiraea opulifolia var. tomentella, Physocarpus michiganensis, Physocarpus missouriensis).

중국 Acer wilsonii 와 근연분류군의 분류학적 재검토 (A reappraisal of the Acer wilsonii complex and Related Species in China)

  • 엄현주;;장진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9-337
    • /
    • 2011
  • 중국 남부에 분포하는 Acer wilsonii 분류군은(A. wilsonii, A. tutcheri, and A. confertifoilum) 10개의 형태형질을 분석을 통해 종의 실체에 대해 검토하였다. 중국과 외국 표본관에 소장된 표본을 근간으로 단변량과 2개의 변량을 조사한 결과 A. tutcheri는 A. wilsonii와 화서가 짧으면서 잎맥에 발달한 거치와 좁은 잎의 너비에 의해 구분이 되었다. E. H. Wilson이 호북(湖北)에서 채집하여 기재된 A. wilsonii는 2개의 복제표본이 존재하나 이중 한 개는 전혀 다른 분류군으로 인식되며, 또한, A. Rehder가 기재 당시 명확하게 배제한 표본을 Fnag, W. P. 는 포함하여 지금까지 이 종에 대한 실체에 오류가 있었다. 한편, 잎이 소형이고 화서가 단축된 A. confertifolium은 A. tutcheri의 소형 표본으로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Sinensia열은 화서 형태의 다양한 분화가 있었던 반면, 잎이 갈라지는 맥수는 비교적 3-5개로 고정된 반면, Palamta 열은 잎의 맥수가 많아지면서(7-11개), 화서가 단축된 산방화서의 별다른 변화를 보여주지 않아, 서로 상반된 진화양상을 보였다. A. wilsonii은 Sinensia 열중 잎과 화서가 모두 단축된 진화된 계열로 판단되지만 꽃잎이 5장으로 4장인 A. tutcheri와는 서로 유연관계는 먼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A. wilsonii의 선정기준표본, 분포도,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백두대간보호지역의 식물상: 덕치-육십령 구간 (Flora of the vascular plants of the Baekdudaegan conservation area: Deok-chi to Yuk-sim-nyeong)

  • 황승현;이진웅;라은화;안진갑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56-79
    • /
    • 2020
  • 동아시아에서 가장 큰 산줄기인 백두대간은 빙하기 때 식물의 주요 피난처로서 생물다양성 보존에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백두대간보호지역 덕치-육십령 구간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고 분포가 확인된 주요식물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사구간은 4개의 구간으로 나누어 2015년 3월부터 9월까지 각 구간별 총 3회 12일 동안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확보된 표본은 대전대학교 생물학과 표본실(TUT)의 수장표본에 근거하여 관속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본 조사에서 생육이 확인된 관속식물은 100과 265속 398종 9아종 32변종 2품종의 441분류군이다. 멸종위기야생생물로는 백부자 1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한반도고유종은 세잎승마, 지리산개별꽃, 고려엉겅퀴 등 16분류군이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로는 V등급 2분류군, IV등급 4분류군, III등급 12분류군, II등급 24분류군, I등급 32분류군으로 총 74분류군이 조사되었다. 희귀식물로는 취약종(vulnerable, VU) 백부자, 느리미고사리를 포함하여 4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로는 애기수영, 소리쟁이 등 11분류군이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백두대간보호지역의 보전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