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lace Rootednes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대학생의 아동기 집과 현재 집에 대한 장소애착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nd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Environment for College Students 1))

  • 최병숙;이진숙;한영숙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905-918
    • /
    • 2010
  • This study explored Korean college students' place attachment to current home environments and their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environments. The study sought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place attachment and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environ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336 students at four universities in Jellabuk-Do, Korea,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mputed and showed five factors related to place attachment of home environment. Place intimacy, rootedness, place identity, place dependence, and place palyness showed in child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place identity, place affection, place restfulness, place dependence, and rootedness in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child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explained 43.9% variance with regard to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to home. This relationship implied that childhood place attachment strongly affected subsequent collegehood place attachment.

어린시절 집에 대한 장소애착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to the Housing Satisfaction)

  • 최병숙;김석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11-120
    • /
    • 2011
  • This study examined significant factors explaining college students' place attachment to their childhood homes, developed the scale of that, and propo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s to explain their place attachment to those home environment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2 items. Responses from 358 Michigan State University student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From the explan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31 items under 4 valid factors named Place dependence, Affection, Rootedness, and Place identity were obtained. This study additionally adapted six types of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s from Hess (1997), and examined these types. Idealization (Type1), affection (Type3), and transcendence (Type5) were chosen most often. Finally, this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ousing satisfaction and (1) the four place attachment factors and (2) the six types of place attachment. Results showed the four place attachment factors were more strongly related with housing satisfaction.

아동기 집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Scale)

  • 이진숙;최병숙;한지현;한영숙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49-566
    • /
    • 2009
  • This study developed the Place Attachment to Childhood Home Scale and evaluate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Samples consisted of 418 college students of four universities.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 based on retrospective questions about the childhood home. Factor analysis resulted in 5 dimensions of place attachment : affection, place identity, place rootedness, playfulness, and place dependence. Especially, playfulness was a unique finding.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ive-factor structure. There were also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sub-factors.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appeared high (Cronbach's ${\alpha}$ = .948).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by significant correlations of the present scale with Attachment Scale to Place (Hess, 1997) and the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Armsden & Greenberg, 1987).

  • PDF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through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at Gohak-ri, Geochang)

  • 이현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28-37
    • /
    • 2013
  • 경남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에 소재한 용원정원림(龍源亭園林) 및 마을주변의 지명과 조형물 등 문화경관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용원정원림과 마을 내 배태(胚胎)된 해주오씨의 장소애착 방식과 특질을 확인하는 한편, 종족경관(宗族景觀)의 형성과정을 추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해주인 구화공 오수(九華公吳守)가 마을에 터 잡은 이래 그의 후손들이 선조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다듬어 온 공간으로 1964년 용원정이 건립되었다. 이곳은 구화공의 유허지로 이후 후손들의 생활과 풍류의 거점이자 숭모(崇慕)의 정을 교감하는 원림적 장소로서 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왔음이 기문과 문헌자료 그리고 주변에 배치된 여러 시설 및 다수의 바위에 새긴 바위글씨를 통해서도 충분히 감지된다. 안의삼동 중 하나인 원학동의 지맥인 학봉(鶴峰)을 상징하는 고학리와 이곳에 각인된 '방학(訪鶴) 정학(停鶴)'의 의미는 해주오씨의 생태적 정착과 서식을 설명하는 경관언어가 분명하다. 장소성이 "어떤 실체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담론과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고안물이다"라는 정의를 상기할 때, 주변 지명과 용원정원림 그리고 마을 도처에 산재한 다수의 조영물은 한국적 장소성의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종족집단의 기념비적 장소 전승의 사례이다. 구화공이 고학리에 정착한 이래 해주오씨 종족집단은 서식지 정착단계를 거쳐 장소성 구현을 통한 경관형성단계를 이루었다. 이후 조상숭모와 장소착근 현상이 되풀이되면서 영역성은 확산되고, 장소의 재생산이 이루어졌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도 재실 건립과 유허비 조성 등이 이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도 용원정 건립 등 장소재현의 단계를 거쳐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기념비적 종족경관이 펼쳐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애착(場所愛着)과 장소착근(場所着根)의 결과가 바로 우리가 지각하는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의 종족경관'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종족집단의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현상이 되풀이되어 형성된 영역성 확산의 산물이야말로 종족경관의 실체인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집단 기억 속에 재차 구축 전승되고 있는 고유한 장소에 대한 후손들의 진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진정한 장소애착의 정신을 확인하게 된다.

거창 모현정과 수포대의 장소착근(場所着根) 방식 (The Modes of Place Rootedness on Geochang Mohyeonjeong and Supodae)

  • 노재현;김홍균;이현우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87-96
    • /
    • 2012
  • 본 연구는 경남 거창군 가조면에 위치한 모현정과 수포대를 통해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문화현상이 어떠한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현정과 수포대가 입지한 지명 '대학동(大學洞)'에서는 동방오현인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과 일두 정여창(鄭汝昌)의 도학(道學) 강론 터의 의미가 부여되어 있으며, 모현정을 품은 오도산(吾道山 1,134m) 또한 상기 선현이 베푸는 학문의 영향으로 산 이름조차 유교의 도(道)를 지칭한 '오도(吾道) 산(山)'으로 전환된 것에서 성리학적 발상이 깊이 내재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현인을 사모하고 그리워"한다는 '모현(慕賢)'의 정명(亭名)에는 영남사림의 성리학적 조종(祖宗)이자 동방오현인 훤두 양선생(兩先生)과 선조 평촌(坪村) 최숙량(崔淑梁)을 숭모하고 추념하기 위한 장소애착의 정서가 수렴되어 있다. 더불어 오도재와 평촌을 추모하기 위한 기적비(紀蹟碑)와 한훤당을 상징하는 감나무의 식재 그리고 모현정 전면에 솟은 지동암은 실천을 통해 도학의 정신을 드러내고자 한 상기 3인의 일치된 의지를 상징하는 기념비적 표상으로, 후손 및 사림에 의한 장소애착의 반복적 표현이라는 점에 동의하게 된다. 다년간 강학(講學)하며 성리학을 향토 선비들에게 전하고, 자연을 노래한 명소 수포대 반석에 새긴 '훤두양선생장구지소'와 '평촌최공강학지소(坪村崔公講學地所)'라는 각자의 의미에서 집단 기억 속에 재생 전승되어 온 고유한 장소의미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함께 모현정에 게판된 시문과 중수기 및 상량문의 장소언어 대부분이 모현정과 수포대에 대한 연원과 역사성을 환기시키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음에서 '강학과 교유의 장'이자 장수지소(藏修之所)로서 각인된 공간 의미와 선현 숭모의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전승은 장소에 대한 긍정적 감정 결속의 결과이며, 장소 정착과정을 통해 생긴 자연발생적 장소착근의 결과로 이루어진 산물이 모현정과 수포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모현정과 수포대는 선현의 발자취를 추념하고 알리기 위한 장소애착의 공간이며, 모현정과 수포대 바위각자는 이곳에 누적된 장소의미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장소착근의 대표적 사례라 할만하다.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과정을 되짚어보는 것은 전통적 기념 공간 및 추모공원의 원형적 모습을 유추하는데 유효할 뿐만 아니라 현대적 의미의 장소 재현을 위해서도 매우 시사적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