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Modes of Place Rootedness on Geochang Mohyeonjeong and Supodae

거창 모현정과 수포대의 장소착근(場所着根) 방식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Hong-Gyun (Dept. of Artal Landscape Architecture, Kijeon College) ;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Jeonbuk National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홍균 (전주기전대학 예술조경과) ;
  • 이현우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empirically identifying how the cultural phenomena of localisation and attachment are implemented through Mohyeonjeong and Supodae at Gajo-myeon, Geochang-gun, Gyeongnam. 'Daehakdong', the name of the place where the Mohyeon-jeong and Supodae is located, has a meaning of the place where Geong-Pil Kim(金宏弼) the Hanhwondang(寒暄堂), one of the 5 eastern sages, and Yeo-Chang Jeong(鄭汝昌) the Ildu tought Neo-Confucianism. In addition, in case of Mt. Odo(1,134m) embracing the garden, the meaning of Odo is the five virtues in Confucianism, so we can see that Confucianism was strong in that area. The meaning of 'Mohyeon(慕賢)', "missing and thinking of sages", reflects the emotion of attachment to the place where people pay a tribute to the memory of Seon-Saeng Yang the Hwondu, one of the 5 eastern sages and the creator of Neo-Confucianism in Kyeongnam, and Suk-Ryang Choi(崔淑梁) the ancestors Pyeongchon. In addition, Odojae(吾道齋), Kijeok monument to pay a tribute to the memory of Pyeongchon, the persimmon tree symbolizing Hanhwondang, and Jidongam(志同巖) standing in front of Mohyeon pavillion represent the united wills of the above 3 people to show their Dohak(道學) spirit by practicing it, and also a reiterated expression of attachment to the place. 'Hwonduyangseonsaeng janggujiso' and 'Pyeongchonchoigong ganghakjiso(坪村崔公講學地所)' engraved on the rock of Myeongso Supodae where they gave a lecture of Neo-Confucianism to local Confucianists for many years and enjoyed nature make us to identify the intrinsic meaning of the location that was inherited in the memory of people. Along with this, most of the content of poetry, restoration records, and Sangryang articles are filled with the content reminding of the historical meaning and origin of Mohyeon-jeong and Supodae, so we can see from this that the place had the spatial meaning of Jangsujiso(藏修之所), 'the place of lecturing and communicating' and respecting ancient sages. This spatial tradition is the result of positive attachment to the place, and Mohyeon-jeong and Supodae is the place where the attachment to the place was made spontaneously througth the localisation. To sum it up, Mohyeon-jeong and Supodae was the place of attachment where one paid a tribute to the memory of ancient sages, and Mohyeonjeong and Supodae rocks were the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e localisation to show the meaning of the place by implication. Studying the process of attachment and localisation of the place does not only enable us to infer the genuine form of the traditional memorial space and park, but also to reproduce the place with the modern concept.

본 연구는 경남 거창군 가조면에 위치한 모현정과 수포대를 통해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문화현상이 어떠한 방법으로 구현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모현정과 수포대가 입지한 지명 '대학동(大學洞)'에서는 동방오현인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과 일두 정여창(鄭汝昌)의 도학(道學) 강론 터의 의미가 부여되어 있으며, 모현정을 품은 오도산(吾道山 1,134m) 또한 상기 선현이 베푸는 학문의 영향으로 산 이름조차 유교의 도(道)를 지칭한 '오도(吾道) 산(山)'으로 전환된 것에서 성리학적 발상이 깊이 내재되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현인을 사모하고 그리워"한다는 '모현(慕賢)'의 정명(亭名)에는 영남사림의 성리학적 조종(祖宗)이자 동방오현인 훤두 양선생(兩先生)과 선조 평촌(坪村) 최숙량(崔淑梁)을 숭모하고 추념하기 위한 장소애착의 정서가 수렴되어 있다. 더불어 오도재와 평촌을 추모하기 위한 기적비(紀蹟碑)와 한훤당을 상징하는 감나무의 식재 그리고 모현정 전면에 솟은 지동암은 실천을 통해 도학의 정신을 드러내고자 한 상기 3인의 일치된 의지를 상징하는 기념비적 표상으로, 후손 및 사림에 의한 장소애착의 반복적 표현이라는 점에 동의하게 된다. 다년간 강학(講學)하며 성리학을 향토 선비들에게 전하고, 자연을 노래한 명소 수포대 반석에 새긴 '훤두양선생장구지소'와 '평촌최공강학지소(坪村崔公講學地所)'라는 각자의 의미에서 집단 기억 속에 재생 전승되어 온 고유한 장소의미를 확인하게 된다. 이와 함께 모현정에 게판된 시문과 중수기 및 상량문의 장소언어 대부분이 모현정과 수포대에 대한 연원과 역사성을 환기시키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음에서 '강학과 교유의 장'이자 장수지소(藏修之所)로서 각인된 공간 의미와 선현 숭모의 정신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장소전승은 장소에 대한 긍정적 감정 결속의 결과이며, 장소 정착과정을 통해 생긴 자연발생적 장소착근의 결과로 이루어진 산물이 모현정과 수포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모현정과 수포대는 선현의 발자취를 추념하고 알리기 위한 장소애착의 공간이며, 모현정과 수포대 바위각자는 이곳에 누적된 장소의미를 함축적으로 보여주는 장소착근의 대표적 사례라 할만하다.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과정을 되짚어보는 것은 전통적 기념 공간 및 추모공원의 원형적 모습을 유추하는데 유효할 뿐만 아니라 현대적 의미의 장소 재현을 위해서도 매우 시사적이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權龍鉉, 遊伽倻山記 .
  2. 李重茂, 枏溪文集 .小學堂會約節目.
  3. 朴仁老, 蘆溪集 권3.
  4. 거창군(1982).거창군지.pp.352-367.
  5. 김태수, 김수진, 심우경(2008). 조선중기 선비의 은거문화:16-17세기 영남사림의 은거유적을 중심으로. 2008년 한국전통조경학회 춘계학술 논문발표집. pp.26-31.
  6. 노재현, 김홍균, 서주환(2011).금석문속 장구지소의 유형과 장소특성. 경희대학교 예술디자인학연구. 14(1):29-38.
  7. 문재원(2008). 문학담론에서 로컬리티 구성과 전략. 한국민족문화. 32: 71-97.
  8. 문재원(2010).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편. 서울:혜안. pp.21-26.
  9. 박기용(1998). 거창의 누정. 거창문화원. pp.932-952.
  10. 박기용(1999). 거창지방의 정자문학에 관한 연구. 진주문화. 15:97-140.
  11. 박종섭(2008). 거창 명승지의 역사와 전설. 거창문화원. 대구:문창사. pp.33-46.
  12. 신상구, 이창업(2008). 누정 건축 공간과 누정시 연구 방법론 모색:경주 獨樂堂溪亭과 회재의 <林居十五詠>을 중심으로. 어문연구.58:311-335.
  13. 아세아문화사(1982). 한국지리지총서 읍지 1:경상도(1). pp.513-560.
  14. 안계복(1989). 한국의 루정명 선정에 관한 연구. 효성여자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 5:145-223.
  15. 이상필(1998). 남명학파의 형성과 전개:사상과 학맥의 추이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선정(2005). 생활의 복원을 통한 정자건축에 관한 연구:거창군에 현존하는 정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77-83.
  17. 이현우(2011). 16-18세기 누정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장도규(2010).조선오현의 삶과 시 일고. 학문학논집. 30:169-192.
  19. 전종한(2005). 종족집단의 경관과 장소. 서울:논형. pp.133-138.
  20. 하종한(2005). 거창의 문화유산 3.거창문화원. 서울:기문당. pp.415-418.
  21. 허권수(2010). 허권수의 한자이야기(363). 장구지소:지팡이나 신발이 지나간 곳. 선현들의 자취가 남아 있는 유적. 경남신문 12월 21일자.
  22. Altman, I. and S. M. Low(1992). Place Attachment. New York:Plenum Press. pp.20-32.
  23. Gustafson, P.(2001). Roots and route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attachment and mobility. Environment and Behavior. 33(5): 677-686.
  24. Harris, P. B., B. B. Brown and C. M. Werner(1996). Privacy regulation and place attachment: Predicting attachment to a student family housing facility.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6: 287-301. https://doi.org/10.1006/jevp.1996.0025
  25. Mcandrew, F. T.(1998). The measurement of 'rootedness' and the prediction of attachment to home-tow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18:409-417. https://doi.org/10.1006/jevp.1998.0078
  26. Shumaker, S. A. and R. B. Taylor(1983). Toward a clarification of people-place relationships:a model of attachment to a place". In N. Feimer & E. Galler(Eds.), Environmental Psychology:Directions and Perspectives. New York:Praeger. pp.31-40.
  27. Tuan, Y. F.(1974).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Prentice-Hall, Inc., Englewood Cliffs, NJ.: pp.25-70.
  28.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dkp2001&logNo=8002 9125465&parentCategoryNo=5&viewDate=¤tPage=1&listtype=0
  29. http://cafe.naver.com/sancheunsu/2576
  30. http://ko.wikipedia.org/wiki/%EA%B9%80%EA%B5%89%ED%95%84
  31. http://samsung.joins.com/magazine/article.asp?magCode=economist& aid=243399
  32. 거창군 홈페이지(http://tour.geochang.go.kr).
  33. 문화재청 홈페이지(http://www.cha.go.kr).
  34. 산림청 숲에온 홈페이지(http://www.san.go.kr/mountain).
  35. 한국의 산하 홈페이지(http://www.koreasanha.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