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through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at Gohak-ri, Geochang

거창 고학리 해주오씨의 장소애착을 통해 본 종족경관의 형성과정

  • Lee, Hyun-Wo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3.09.05
  • Accepted : 2013.10.21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research, which sought to conjecture the formation process of tribal landscape while confirming the method and characteristic of place attachment of the Haeju Oh Family, which is rooted within the village and the Yongwon Pavilion and Garden of Gohak-ri, Mari-myeon, Geochang-gun, Gyeongnam,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based on th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of cultural and scenic elements such as the names and sculptures nearby the village and Yongwon Pavilion and Garden. This place is where Goohwagong Oh Sue, a Haeju person, settled down. This is also where his descendants were refined while yearning for their ancestors. The Yongwon Pavilion was established in 1964. It can be sufficiently known that this place was managed and maintained as a garden-like place where the spirit of yearning was shared and which was the basis of the life and entertainment of descendants after being the monumental place for Master Oh Guhwa, through stories, documents, nearby facilities, and writings on many rocks. It is clear that the meaning of 'Bang-Hak(訪鶴) and Jung-Hak (停鶴)' which is carved in many places around this area and Gohak-ri, which symbolizes the Hakbong(crane peak), the vein of Wonjak-dong which is one of the Ahneuisamdong(three outstanding scenic places of Ahneui), is a scenic language explaining the ecological settlement and lives of the Haeju Oh Family. When considering the definition of a sense of place as "a 'social device' made by discussions and practice rather than its existing as a substance," the many structures scattered around the village, Yongwon Pavilion Garden, and nearby designations show the monumental place inheritance of tribal group clearly exhibi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Korean sense of place. Ever since Guhwagon Oh Sue settled down in Guhak-ri, the tribal group of Haeju Oh Family went through a life settlement phase and landscape formation phase by realizing the sense of place. Afterwards, while yearning for ancestors and repeatedly rooting down in the place, territoriality expanded and the place was reproduced. In particular, timber houses and monuments were construc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zation Period, and after independence, the Yongwon Pavilion was constructed through place reproduction, and monumental tribal landscape is currently being expressed in various forms to this day. Thus, allowing to reach the conclusion of 'Tribal Landscape of Gohak-ri, Mari-myeong, Geochang-gun,' which we perceive today. The products of territorial expansion formed by the repeating phenomenon of place rootedness and place attachment by tribal groups are in fact the substance of tribal landscape. Through such,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true spirit of place attachment and the earnest interest and affection of descendants towards a unique place that is repeatedly constructed and inherited within the group memory.

경남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에 소재한 용원정원림(龍源亭園林) 및 마을주변의 지명과 조형물 등 문화경관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과 해석을 토대로 용원정원림과 마을 내 배태(胚胎)된 해주오씨의 장소애착 방식과 특질을 확인하는 한편, 종족경관(宗族景觀)의 형성과정을 추찰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해주인 구화공 오수(九華公吳守)가 마을에 터 잡은 이래 그의 후손들이 선조를 사모하는 마음으로 다듬어 온 공간으로 1964년 용원정이 건립되었다. 이곳은 구화공의 유허지로 이후 후손들의 생활과 풍류의 거점이자 숭모(崇慕)의 정을 교감하는 원림적 장소로서 지속적으로 관리되어 왔음이 기문과 문헌자료 그리고 주변에 배치된 여러 시설 및 다수의 바위에 새긴 바위글씨를 통해서도 충분히 감지된다. 안의삼동 중 하나인 원학동의 지맥인 학봉(鶴峰)을 상징하는 고학리와 이곳에 각인된 '방학(訪鶴) 정학(停鶴)'의 의미는 해주오씨의 생태적 정착과 서식을 설명하는 경관언어가 분명하다. 장소성이 "어떤 실체로서 존재하기 보다는 담론과 실천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회적 고안물이다"라는 정의를 상기할 때, 주변 지명과 용원정원림 그리고 마을 도처에 산재한 다수의 조영물은 한국적 장소성의 특성을 일목요연하게 보여주는 종족집단의 기념비적 장소 전승의 사례이다. 구화공이 고학리에 정착한 이래 해주오씨 종족집단은 서식지 정착단계를 거쳐 장소성 구현을 통한 경관형성단계를 이루었다. 이후 조상숭모와 장소착근 현상이 되풀이되면서 영역성은 확산되고, 장소의 재생산이 이루어졌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도 재실 건립과 유허비 조성 등이 이어졌으며, 해방 이후에도 용원정 건립 등 장소재현의 단계를 거쳐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의 기념비적 종족경관이 펼쳐지고 있으며, 이러한 장소애착(場所愛着)과 장소착근(場所着根)의 결과가 바로 우리가 지각하는 '거창군 마리면 고학리의 종족경관'이라는 결론에 도달하게 된다. 종족집단의 장소애착과 장소착근의 현상이 되풀이되어 형성된 영역성 확산의 산물이야말로 종족경관의 실체인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집단 기억 속에 재차 구축 전승되고 있는 고유한 장소에 대한 후손들의 진지한 관심과 사랑 그리고 진정한 장소애착의 정신을 확인하게 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거창군(1982) 거창군지. 경남 거창군. pp. 352-367.
  2. 노재현, 김홍균, 이현우(2012) 거창 모현정과 수포대의 장소착근 방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87-96.
  3. 마리면지편찬위원회(1993) 마리면지. 서울: 문정사. pp. 299-363.
  4. 문재원(2010) 장소성의 형성과 재현.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편. 서울: 혜안. pp. 21-26.
  5. 박기용(1998) 거창의 누정. 마산: 거창문화원. pp. 632-643.
  6. 박종섭(2008) 거창명승지의역사와전설. 거창문화원. 대구: 문창사. pp. 33-46.
  7. 오기화 편(2001) 해주오씨지군사공파세보.
  8. 이석환, 황기원(1997) 장소와 장소성의 다의적 개념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계획학회지 91: 169-184.
  9. 이현우(2011) 16-18세기 누정 문화경관의 의미론적 해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이현우(2012) 기억(記憶)과재현(再現)의시선으로본장소애착(場所愛着)과 장소착근(場所着根): 해주오씨의 용원정원림을 사례로. 한국전통조경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pp. 48-52.
  11. 전종한(2005) 종족집단의 경관과 장소. 서울: 논형. pp. 21-23.
  12. 최열, 임하경(2005)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 국토계획40(2): 53-64.
  13. 하종한(2005) 거창의문화유산2. 거창문화원. 서울: 기문당. pp. 387-396.
  14. 해주오씨지군사공파보. 권지상. 구화공휘수파.
  15. Martin, Heidegger 저, 진양범 역(2008) 존재와 시간(Sein und Zeit, 1927). 동서문화사.
  16. Relph, Edward 저, 김덕현, 김현주역(2005) 장소와 장소상실(Place and Placelessness, 1976). 서울: 논형. pp. 12-13.
  17. http://www.cctimes.kr
  18. http://www.haejuoh.com
  19. http://www.haejuoh.net/index2.html
  20. http://www.oneclick.or.kr/contents/nativec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