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rograms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7초

도시 규모 별 청소년의 건강생활 실천 차이와 관련 요인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Healthy Behaviors of Adolescents by Regional Size and Related Factors)

  • 진영란;양선이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1-18
    • /
    • 2023
  • Purpose: This study is to compare adolescents' health behaviors by city size and to propose regionally tailored health promotion. Methods: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17th Youth Health Risk Behavior Online Survey, national widly performed in 2021. Multi-sample descriptive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city size. Results: The frequency of fruit consumption in the last week was 2.88 in the rural area, which is lower than 2.98 and 3.05 in other cities (F=10.98, p<.001). The number of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days in the last week (7 days) was 2.90 days in the rural area, higher than 2.74 and 2.73 days in other cities (F=3.36, p=.038). The number of days smoking cigarettes in the last 30 days was 3.23 days in the rural area, higher than 3.08 and 3.02 days in other cities (F=3.41, p=.035). BMI was 22.01 in the rural area, which was higher than 21.57 and 21.61 in other cities (F=4.19, p=.015). Conclusion: School health offices in the rural area districts need to operate to manage lack of fruit intake, smoking, and weight management programs in association with local healthcare institutions.

웃음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불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aughing Programs on Elementary Students Anxiety and Self-esteem)

  • 장현선;정소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1-114
    • /
    • 2015
  • Objectives: Find out how it affects anxiety situations and self-esteem targeting the critical period of development of self-esteem in the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laughter therapy in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physical health promotion and positive emotional cultiva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laughter activity wa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mental health education and guidance of school life. Methods: By targeting Ulsan Y elementary school, second grade 7 class, 191 students conducted test self-esteem and anxiety. Homogeneous group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selected in each one class. Classified as experimental group carried out laughter activity programs and control group did not carried out. Also the separation of the application program before and after, then it were performed preliminary-post-further as same checklist. Program coverage period is 12 weeks and 30 minutes per session was conducted twice a week.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has conducte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if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were verified by performing a variance analysis(Oneway ANOVA) and post multiple comparisons. Results: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anxiety i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as a whole, in particular, sub-areas of concern, shame and shyness was shown to be effective, and decision of the difficulty was not significant by insignificant reduction. In addition, self-esteem was increased in overall score. The score of collective self-esteem and School life self-esteem were more increased, and domestic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by slight increases. In contrast, the comparis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areas of anxiety and self-esteem of pre-test and post-test. Conclusions: In experiments on self-esteem and anxiety of lower grade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laughter activity program, comparison group it did not show an effect by accident, and experimental group showed meaningful effects that self-esteem was increased and anxiety was reduced. Thus, laughter activity can be seen that improving self-esteem, anxiety reduction and etc, is very beneficial to mental health.

생활체육관을 이용하는 중년남녀의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on Behaviors, Self-Respect and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Men and Women Who use the Life Gym)

  • 이외선;박성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27-334
    • /
    • 2016
  • 본 연구는 생활체육관을 이용하는 중년남녀의 건강증진행위,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생활체육관을 이용하는 중년남녀 2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7월 26부터 9월 1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WIN 18을 이용하여 빈도, t-test, ${\chi}^2-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중년의 건강증진행위정도는 5점 만점에 3.41점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3.31점, 여성은 3.47점으로 여성이 남성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2.09, p=.038). 하위영역별로는 자아실현이 가장 높고 신체적 활동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5점 만점에 3.42점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3.39점, 여성은 3.34점으로 나타났다. 생활만족도는 5점 만점에 3.35점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은 3.34점, 여성은 3.36점으로 나타났다. 중년남녀의 건강증진행위와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27, p<.001), 건강증진행위와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760, p<.001),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도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69,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건강증진행위를 잘 할수록 자아존중감 및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년남녀의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건강증진행위를 증진시킬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 및 검증을 제언한다.

계획된 행동이론을 활용한 일부 여대생의 운동실천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Using TPB)

  • 이병훈;고대식;배상열;노지숙;최문실;박종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31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exercise of some female college based 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Methods: This study surveyed 500 female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to answer to self-reported questions using a questionnaire from May 3 to May 22 2010 and used 462 copies of the responses except insincere ones for the final analysis. Results: Of the 462 subjects, 30.7%(142) did regular exercise more than 3 times a week. As a result of the univariate analysis, there were relations between drinking, need of Exercise, attention to health, health habits,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 of exercise, and regular exercise. As a result of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regular exercis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 and drinking.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at there were relations between drinking,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n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gular exercise. Therefore, to promote their regular exercise, it is suggested that educational programs which consider such factors should be developed.

광주 전남지역 성인의(19-64세) 건강생활실천과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 - 201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ssociations between the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and Awarenes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Adults (19-64 years) in the Gwangju-Jeonnam Area: 2010 Community Health Survey)

  • 천인애;류소연;박현희;박종;한미아;최성우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8권4호
    • /
    • pp.217-228
    • /
    • 2013
  • 본 연구는 2010년 광주 전남 지역사회건강조사에 참여한 19-64세 성인 16,473명을 대상으로 건강생활 실천과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고려한 건강생활 실천은 흡연, 음주,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저염 식습관, 스트레스 인지 등 5개 영역으로 개별 건강생활을 실천하는 경우 1점, 그렇지 않은 경우는 0점으로 환산하여 건강생활 실천점수를 계산하였다(범위: 0-5점). 복합표본설계를 고려하여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카이제곱검정, 다중로 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개별 건강생활 실천여부와 건강생활 실천점수와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자의 19.8%가 대사증후군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개별 건강생활 실천과 대사증후군 인지와의 관련성은 금연하는 경우(aOR=1.33, 95% CI=1.14-1.56), 고위험음주를 하지 않는 경우(aOR=1.54, 95% CI=1.27-1.88),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을 실천하는 경우(aOR=1.48, 95% CI=1.28-1.72), 저염식습관을 실천하는 경우(aOR=1.30, 95% CI=1.13-1.51)에 대사증후군 인지의 교차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생활 실천점수는 0점에 비해 2-3점(aOR=1.64, 95% CI=1.01-2.66)과 4점 이상(aOR=2.47, 95% CI=1.51-4.04)에서 대사증후군의 교차비가 높았다. 또한 개별 건강생활 실천을 모두 고려할 경우 대사증후군의 인지에 대한 교차비가 가장 높았던 것은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실천이었다(aOR=1.50, 95% CI=1.29-1.74).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건강생활 실천과 대사증후군의 인지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중등도 이상 신체활동 영역과 다수의 건강행위를 실천하는 경우에 대사증후군 인지가 높았다. 따라서 대사증후군의 인지도 향상, 나아가 대사증후군 예방을 위해서는 개별적인 건강행위별 접근보다는 금연, 절주, 신체활동, 영양 등의 건강행위 개선 사업이 통합적으로 연계되어 수행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 및 관련요인 (A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General Hospital Worker)

  • 김남이;심문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728-735
    • /
    • 2009
  • 본 연구는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대전시의 종합병원 근로자 580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 병원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총 4.0점 중 전체문항의 평균이 2.26점이었고, 하위영역별 평균은 대인관계영역 2.62점, 자아실현영역 2.58점, 영양영역 2.26점, 스트레스관련영역 2.16점, 건강책임영역 2.00점, 운동영역 1.89점으로 대인관계영역이 가장 높은 실천율을 보였고, 운동영역이 가장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단계별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는 스트레스, 건강증진에 관한 교육 참석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연령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시사하며,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합병원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중년과 노년의 자가 평가 건강수준 영향요인 비교 (Comparison of Influencing Factors for Self-rated Health between Middle Aged and Elderly)

  • 윤은자;권영미;이영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0-210
    • /
    • 2016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중년과 노년을 대상으로 자가 평가 건강수준 정도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40-64세의 중년 142명과 65세 이상의 노년 20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4년 3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중년에서는 건강증진 생활양식, 기분상태,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자가 평가 건강수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보유질환 여부,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위개념인 스트레스 관리와 건강책임, 기분상태의 하위개념인 피로, 화, 긴장과 사회적 지지가 자가 평가 건강수준의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고 설명력은 43.6%였다. 노년에서는 건강증진 생활양식, 사회적 지지, 자기효능감이 자가 평가 건강수준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하위개념인 신체활동, 보유질환 여부, 기분상태의 하위개념인 혼동, 운동여부가 자가 평가 건강수준을 40.4% 설명하는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년과 노년의 차별화된 특성을 반영하여 교육, 상담, 건강검진, 레크리에이션 활동 등의 방법을 통한 신체 정서 사회적 영역을 포함하는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요구된다.

일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Self-Rated Health of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 장인순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5-4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elf-rated health and to find various factors affecting it for elderly women in a rural community, to provide data necessary to establish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elderly.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a total of 245 women with above 70 years of age reside in one rural community. VAS (Visual Analogue Scale) for self-rated health, Lawton's physical &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scales, social network were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women were measured on a 100 point(VAS) scale and the score was 53.6, indicating that women rated their health as moderate. 2. Factors such as income(p=0.008), family size(p=0.031), the level of ADL(p=0.039), urinary symptom(p=0.039), nocturia(p=0.001), visual difficulty(p=0.023), the number of chronic diseases(p=0.015), presence of arthritis or neuralgia(p=0.015), social network(p=0.002), housework assistant(p=0.008), emotional support(p=0.031)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lf-rated health. 3. Through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social network, family size, visual difficulty, and housework assistant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rated health(p<0.05), explaining $21.0\%$ of the variance of the dependent variable.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eterminants of healthy aging hopefully will lead to effective interven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PDF

거북목을 가진 사람에게 메켄지 폄운동과 어깨안정화운동이 앞쪽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houlder stabilization exercise and McKenzie Exercise on Forward Head Posture)

  • 이준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27-23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거북목을 가진 사람에게 메켄지 폄운동과 어깨안정화운동이 앞쪽머리자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30명의 거북목을 가진 평범하고 건강한 사람들로 이루어져 있다. 대상자는 어깨안정화운동과 메켄지 폄운동으로 나누어(인원=30, 남자 15명, 여자 15명) 무작위로 나누어 6주 동안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마름근, 아래등세모근의 운동프로그램과 깊은목굽힘근, 위등세모근, 어깨올림근의 신장프로그램을 통한 목뼈의 머리척추각(Cervical Vertebra Angle) 값과 각 근육별 근전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앞쪽머리자세와 경우에는 목과 등근육의 활성도가 감소하고 피로도는 증가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목과 머리의 불안정한 상태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위등세모근, 깊은목굽힘근, 어깨올림근의 신장과 마름근, 아래등세모근의 운동을 통해 거북목의 개선에 긍정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근육들의 불균형한 수축과 과도한 긴장으로 근육의 경직과 피로가 누적되며 이러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게 되면 만성화상태가 되어 근육의 불균형으로 인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피로의 누적으로 인하여 자극에 대한 반응과 근력을 약화시켜서 목 디스크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질 것으로 사료된다.

Factors associated with anemia among female adult vegetarians in Malaysia

  • Chai, Zi Fei;Gan, Wan Ying;Chin, Yit Siew;Ching, Yuan Kei;Appukutty, Mahendera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1호
    • /
    • pp.23-31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A large number of studies on anemia have focused mostly on pregnant women or children. The vegetarian population, which is another potential risk group for anemia, remains largely unexplored. Therefore, this cross-sectional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s of the sociodemographic, lifestyle, nutritional, and psychological factors with the anemia status among female adult vegetarians. SUBJECTS/METHODS: A total of 177 female vegetarians were recruited from a Buddhist and Hindu organization in Selangor, Malaysia. The participants completed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ich analyzed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hysical activity level, sleep quality,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The body weight, height, waist circumference, and body fat percentage of the participants were also measured. A 3-day dietary recall was conducted to assess their dietary intake. Blood samples (3 ml) were withdrawn by a nurse from each participant to determine the hemoglobin (Hb) level.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28.2% of the participants to be anemic. The age group (AOR = 2.46, 95% CI = 1.19-5.05), marital status (AOR = 2.69, 95% CI = 1.27-5.71), and percentage of energy from protein (AOR = 5.52, 95% CI = 1.41-21.65)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anemia. CONCLUSIONS: Anemia is a public health problem among female vegetarians in this study.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target female adult vegetarians should be conducted to manage and prevent anemia, particularly among those who are married, aged 50 and below, and with an inadequate protein inta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