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its Affecting Factors of General Hospital Worker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 및 관련요인

  • Kim, Nam-Yi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of Konyang University) ;
  • Shim, Moon-Sook (Department of Nursing Science, College of Medicine, Konyang University)
  • 김남이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 심문숙 (건양대학교 의과학대학 간호학과)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general hospital worke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 and figure out related factors to it. To achieve that, it conducted a survey with an unsign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to the subject of 580 workers at hospitals located in Daejeon. The degree of practice in the subjects'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average of the entire questions was 2.26 points and the average of sub-sections was as in the following: 2.62 for interpersonal relations, 2.58 for spiritual growth, 2.26 for nutrition, 2.16 for stress management, 2.00 for health responsibility and 1.89 for physical activity Thus, the sec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 showed the highest practice rate, whereas the section of physical activity demonstrated the lowest one.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by phase, main factors affecting their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 were selected as stress, attendance in education on health promotion, subjective heath condition, and age. The above results imply that general hospital worke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 is not sufficient and various factors are involved in it. Accordingly, it is considered that in order to enhance general hospital workers' attention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act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health promoting strategies and programs.

본 연구는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대전시의 종합병원 근로자 580명을 대상으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조사대상 병원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총 4.0점 중 전체문항의 평균이 2.26점이었고, 하위영역별 평균은 대인관계영역 2.62점, 자아실현영역 2.58점, 영양영역 2.26점, 스트레스관련영역 2.16점, 건강책임영역 2.00점, 운동영역 1.89점으로 대인관계영역이 가장 높은 실천율을 보였고, 운동영역이 가장 낮은 실천율을 보였다. 단계별 다변량 회귀분석 결과 건강증진생활양식의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요인으로는 스트레스, 건강증진에 관한 교육 참석여부, 주관적 건강상태, 연령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종합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가 비교적 낮은 것을 시사하며, 여러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종합병원 근로자들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에 대한 관심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및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백도명, "비전염성 유해물질을 중심으로 본 병원 근무상의 건강유해요인." 대한간호, 2; 31(3); 12-21, 1992.
  2. 황설현, "일부 대학병원 근로자의 건강증진생활양식 실천정도 및 관련요인 분석."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전경자, "병원에서의 산업보건관리." 산업간호학회지, 8(2); 40-52, 1992.
  4. Walker, S. N., Volkan, K., Sechrist, K. R., &Pender, N. J, "Health-Promoting Lifestyle of older adults: Comparisons with young and middle-aged adults, correlates and patterns." Advanced Nursing Science, 11(1); 79-90, 1988.
  5. 박현정, "일부 종합병원 간호사의 건강증진생활약식에 대한 실천정도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6. 이성은, "병원직원의 건강관리", 대한간호, 166; 31(3); 22-25, 1992.
  7. 서현미, "노인의 건강증진 행위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8. 박인숙,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9. 정세인, "군간부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0. 김정미, "병원종사자들의 직업성 스트레스가 건강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1. 최숙경 외, "일부 지하철 근로자들의 교대근무형태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정도와 건강증진프로그램 요구도." 대한산업의학회지, 15(1); 37-51, 2003.
  12. Parkinson, R, "Managing Health Promotion at the Worksite." PaloAlto, CA, Mayfield, 1982.
  13. Goetzel R, Sepulveda M, Knight K, Eisen M, Wade S, Wong J, Fieldling J, "Association of IBM's "A Plan for Life" Health Promotion Program with Changes in Employees Health Risk Status." JOM, 36(9); 1005-9, 1994.
  14. Bly JL, Jones RC, Richardson JE, "Impact of Worksite Health Promotion on Health Care Costs and Utilization; Evaluation of Johmson & Johnson's Live for Life Program." JAMA, 256(23); 3235-40, 1986. https://doi.org/10.1001/jama.256.23.3235
  15. Erfurt JC, Foote A, Heirich MA, "The Cost-Effectiveness Control. Weight Loss, and Smoking Cessation." JOM, 33(9); 962-70, 1991.
  16. 문상식, 이시백, "주관적 건강인식과 건강검진 결과의 비교분석을 이용한 건강행위 연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3); 11-36, 2001.
  17. 김영숙, "노인의 건강관심도 및 건강태도와 주관적 건강상태 및 건강실천행위와의 관련성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8. 최소라, "간호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미치는 영향요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9. Pender, N. J., Walker, S. N., Schrist, K. R, Frankstormborg,M. "Predicting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work place." Nursing Research, 39(6); 326-331, 1990.

Cited by

  1. The Setting Approaches in Health Promotion Projects vol.12, pp.2, 2011, https://doi.org/10.5762/KAIS.2011.12.2.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