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sical Education Classes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7초

Influence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Attitude towards These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 Lee, Dae Jung;Kim, Dae 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5권2호
    • /
    • pp.59-74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learning attitude towards these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selected 90 students as an experimental group (3 classes) and 97 students as a control group (3 classes), among 240 students of the first-year students attending a middle school located at Jeonju City of South Korea, applying convenience sampling, one of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or the experimental group, 36 sessions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held for 14 week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teacher-centered classes.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ll sub factor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namely; desire for learning, learning objective establishment, basic self-management abilities, selection of learning strategy and self-reflection. Moreover, the experimental group manifes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all sub factors of attitude towards the physical education subjects, namely; positive emotions, negative emotions, health & physical strength, interpersonal relations, physical activities & movements, and active participation & positive performance. From the findings, it can be considered that physical education classes based on Flipped Learning contributed to improv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nd attitude towards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s result can serve as a significant basic material for designing and performing classes in raising the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and effectively applying Flipped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VID-19에 따른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 차이 분석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online class operation betwee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ccording to COVID-19)

  • 유은혜;조건상;양동석;권용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59-366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초·중·고교 체육교사 간 온라인 수업 운영의 차이와 온라인 교육의 개선점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체육교과연구회에 소속 된 166 명의 체육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교차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개학을 시작으로 성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고용 유형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의 방법과 동기에 차이가 있었고 개선에는 차이가 없었다. 셋째, 교직 경력에 따라 온라인 체육 수업 동기에 큰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체육 수업을 위한 교육 및 교사의 적응 및 개선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코로나 시기의 여학생 건강영역 체육수업 실천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Practice of Health Domain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for Female Students during COVID-19)

  • 한동수;김윤상;이주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489-50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에서도 활용이 가능한 여학생 건강영역 체육수업 실천과정의 경험과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체육 교사들에게 여학생 체육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사례연구를 사용했다. 자료구성 및 분석은 설문지를 통한 집단 면담, 심층 면담, 현장 자료를 활용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코로나-19 이후 수업과 학교체육의 변화는 현실의 자화상, 코로나-19와 학교체육으로 구분했다. 둘째, 새로운 도전에서는 새로운 온라인 체육수업의 실천과정, 자신을 위한 움직임의 변화로 범주화했다. 논의는 위기에서 기회로 가는 길을 코로나-19 시기에서 공감적 배려와 소통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후속 연구로는 체육수업 참여 여학생의 다양한 경험에 관한 연구, 여학생 수업을 운영하는 교사 학습공동체의 협력 연구, 여학생 체육수업에 동기부여를 할 수 있는 플랫폼과 ICT 활용 방법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야 할 것이다.

MODI를 활용한 피지컬 컴퓨팅 수업 운영 및 만족도 (Operation and Satisfaction of Physical Computing Classes Using MODI)

  • 서은실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1호
    • /
    • pp.37-44
    • /
    • 2023
  • Recently, the Internet of Things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mportant key technology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SW education using physical computing is suggested as a good alternative to supplement the problems raised by beginners in programming education. Among the many teaching tools that can be used for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MODI is a modular manufacturing tool that anyone can easily assemble like Lego. MODI is a teaching tool that can improve learners' achievement by linking a self-linked block-type code editor called MODI Studio to lay the foundation for programming i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time and immediately check the results in person. In this paper, a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method using MODI was designed to be applied to basic programming courses for programming beginners and applied to after-school class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interest and satisfaction were much higher in physical computing classes using MODI than in text-based programming classes. It can be seen that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that allows beginners to see and feel the results in person is more effective than grammar-oriented text programming, and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basic programming skills by increasing students' participation.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ports Club Particip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최재석;이정흔;김현미;전덕형;김선공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13-923
    • /
    • 2013
  • 본 연구는 스포츠클럽 활동 참여가 학교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청소년들의 스포츠클럽 활동과 학교 체육수업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D광역시에 소재한 3개의 남 여 중학생을 단순무작위표집법(simple random sampling)을 활용하여 최종 438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스포츠클럽 수업 만족도와 학교 체육수업 만족도에서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둘째, 스포츠클럽 활동은 학교 체육수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뉴노멀시대 초등체육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Research Trends and Issues in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in the New Normal Era)

  • 구봉진;남윤호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1호
    • /
    • pp.137-148
    • /
    • 2024
  • 본 연구는 뉴노멀 시대 초등체육교육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과제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pradley (2016)가 제시한 분류체계분석(Taxonomic Analysis)방법을 적용하여, 최종적으로 국내학술논문 43편을 범주화하여 분석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로 인한 교육환경 변화로 인해 원격·온라인 체육수업 진행방식은 대부분 콘텐츠 활용 중심수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는 수업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 모두 온라인 체육수업에 원활한 소통의 부족함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코로나19 시기에 원격·온라인 체육수업과 온·오프라인 병행 체육수업의 어려움과 이를 극복하고, 개선하기 위한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초등체육 교육의 방법론적 전환 및 시대 상황에 맞게 체육교사의 진화와 미래전문가 양성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코로나 19로 인해 초등 체육수업에서 주목받고 있는 블렌디드 러닝, 플립 러닝, 뉴 테크놀리지 기술을 활용한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뉴노멀 시대 초등체육교육의 방향과 향후과제를 제안하였다.

학교보건수업에 대한 양호교사의 태도 및 교수능력의 인식도에 관한 조사연구 -서울시 중학교 양호교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eaching Competence and Attitudes of School Nurses for Health Education)

  • 김재희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1-5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supporting facilitation of a formal health education performed by school nurses as health educators. To evaluate the teacher expertise of school nurses as health educators, this study analyzed the present status of health education and the recognition of self-confidence in teaching ability of school nurses. Self addressing questionnaire were mailed out to 340 secondary school nurses in Seoul and out of them 244 nurses (71.8%) responded to the survey. Analysis of the data was made using t-test and ANOVA in SAS progra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total health instruction performance rate was 84.6% (204). Regular health instruction was carried out by 66 nurses and the rest of the 155 subjects gave irregular instruction on health education. 2. Regular health education classes was offered as a par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hour by 89.4% of the respondents whereas only 10.6% of them had formal health education classes. The survey showed that irregular health education classes were mainly hel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hours (70.3%) and 14.8% had opportunities for additional classes on health education. 3. The average class for regular health education was 5 hours per week but for irregular health education classes were only one hour per semester (32.9%). 4. Among the 11 categories of health education, education on drug abuse and body structure and func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occupied 95.6%, 69.6% respectably while physical training, family health, social health occupied 10.8%, 12.7%. 5. Health education was given much more at public schools (88.2%) than at private schools. 6. 232 (95.0%) school nurse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formalizing health education classes and 227 (93.1%) wanted to change their status from school nurses to formal health teachers. 7. There is a tendency to change the status from school nurse to formal health teacher, and the necessity of having a formal curriculum on health education while less recognized by the older and longer-careered nurses was more recognized by those nurses with higher education. 8. The lack of administrative support (79.5%), work burden (77.9%), and lack of teaching competency (22.1%) were the greatest problems. 9. Education on drug abuse was stressed the most whereas physical training was most neglected. 10. There is a tendency that older and longer-careered school nurses thought less positively of their status, and then 98 (81.1%) school nurses acknowledged themselves as professional teachers. 11. 176 (72.5%) school nurse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continuing education : health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for formal health teachers. 12. 179 (73.8%) school nurses had a positive attitude and undergraduate preparation and the practice of professional health teachers. 13. The school nurses had self-confidence in their teaching competence, teaching strategies and knowledge in all 11 health education areas.

  • PDF

중학생의 체육교사에 대한 신뢰와 체육수업 몰입 경험이 체육교과 태도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rust i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Immersion Experience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on Attitude and Satisfaction During Physical Education Classes)

  • 박유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187-20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체육교사 신뢰와 체육수업 몰입 경험이 중학생의 체육교과에 대한 태도와 체육수업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체육교과에 요구되어지는 사회적 역할에 부응하고 학교체육 활성에 기여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하는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863명의 유효표본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Ver 25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 신뢰의 하위 요인은 체육교과 태도의 하위 요인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과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체육교사 신뢰의 하위 요인은 체육수업 만족에 하위 요인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셋째, 체육수업 몰입의 하위 요인은 체육교과 태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체육수업 몰입의 하위 요인은 체육수업 만족의 하위 요인에 부분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종합하면 중학교 학생들의 체육교과에 대한 긍정적 태도 형성과 체육수업 만족 향상에는 체육교사에 대한 학생의 신뢰와 체육수업에 대한 몰입 경험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관련하여 체육교사는 학생과의 신뢰를 형성하기 위한 노력 즉 다양한 상호작용을 통한 친근한 이미지 구축, 흥미롭고 체계적인 수업구성과 진행, 학생의 특성과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수업 적용 등의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 또한 학생의 체육수업 몰입 경험을 제고하기 위해서 성과 및 순위 위주의 교육 방식을 지양하고 신체활동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는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여야 한다. 더불어 학생의 능력을 고려한 운동학습 과제 부여, 수업 집중도를 높일 수 있는 수업내용 선정 등의 노력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체육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융합적 인식 연구 (The Study on the Convergenc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e Physical Education.)

  • 유영설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25-133
    • /
    • 2018
  • 본 연구는 체육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융합적 인식을 탐색하여 체육교육에 대한 반성적 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30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유형이 탐색되었다. 첫째, '전문성 강조형'으로 정의한 유형 1은 체육수업에서 보다 전문적인 종목별 운동기능과 기본 체육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교수방법 강조형'으로 정의한 유형 2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효율적인 교수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필수과목 요구형'으로 정의한 유형 3은 체육교육의 필수과목요구와 체육수업시수의 증대 등을 강조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강조형'으로 정의한 유형 4는 체육교육은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한 체력증대 및 사회성 함양 그리고 생활체육과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체육교육에 대한 반성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인 체육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중학교 사회과(지리) 환경교육의 내용 변화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Chang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tents in the Geography Subject at Middle School)

  • 배미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6권1호
    • /
    • pp.1-11
    • /
    • 2003
  • The discussion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little new concept which emerged remarkably in late 1960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eans the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make sure value understanding and conception to develop function and attitudes necessary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and evaluating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physical environment Centenng an important geographical paraingm for 'the interac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physical environment', to make the students understand the concept of environment and know environmental problems are the tasks to be pursu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s in the middle school geography classes. The reasonable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voluntary participation through the efficient environmental education in middle school geography classes, not only the systemiz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and other needed changes mentioned above, but also the development of policy and institution in national government accompanying with earnest attention and effort must be made in environmental education and other environment-related field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