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llostachys pubescens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7초

맹종죽 줄기 추출물을 투여한 본태성 고혈압 쥐(SHR)의 ACE 저해 활성 및 혈압 강하 효과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of Phyllostachys pubescens Culm Extracts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김정숙;김미정;박민희;류복미;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7-34
    • /
    • 2008
  • 사람의 본태성 고혈압 연구 모델인 SHR에 PCE 에탄올 추출물을 농도별로 음용수로 섞어서 8주간 공급한 결과, SBP 및 DBP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특히, PCE에 의한 SBP 저하효과는 2주째부터 현저하였으며 PCE 농도에 의존적이었고 DBP는 4주째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후의 실험시간 동안 낮게 유지되었다. 신장 조직에서 측정한 ACE 저해활성은 고농도의 PCE군들(PCE100 및 PCE500)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장의 총항산화능은 PCE500에서 매우 높았으며 모든 PCE군들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직의 단백질 산화는 PCE 투여에 의해 절반 정도로 억제되며 간 손상의 지표로 사용한 GOT 및 GPT는 PCE 투여군과 대조군 사이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로 미루어볼 때, 줄기부의 활용도가 높은 맹종죽 줄기 추출물은 본태성 고혈압 예방의 목적으로 상용할 수 있는 천연식물 자원으로서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짐작되며, ACE 활성저해는 조직 산화의 억제 및 총항산화력의 증가와 더불어 PCE에 의한 혈압 저하의 기전으로 설명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끝으로, 선행 연구 및 본 연구에서 드러난 맹종죽 줄기 추출물의 in vitro 및 in vivo ACE 저해활성으로 볼 때, 맹종죽 줄기에서 ACE 활성저해의 원인 물질을 분리 동정해 내는 것이 향후 연구의 귀결점이 되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살초활성물질 함유 국내 자생식물의 탐색 (IV) (Herb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IV))

  • 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25-22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의 자생식물 중 살초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식물종을 선발하는데 있다. 국내의 자생식물 36과 55종 시료로부터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24-well plate에서 유채(Brassica napus L.)를 대상으로 살초활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55 시료 중 유채에 대하여 높은 살초활성($GR_{50}$ 값 < 1,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말오줌때(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GR_{50}$값, 867 ${\mu}g\;g^{-1}$), 부용(Hibiscus mutabilis L; $GR_{50}$값, 988 ${\mu}g\;g^{-1}$), 사위질빵(Clematis apiifolia A. P. DC.; $GR_{50}$값, 811 ${\mu}g\;g^{-1}$), 유카(Yucca recurvifolia; $GR_{50}$값, 857 ${\mu}g\;g^{-1}$), 죽순대(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GR_{50}$값, 778 ${\mu}g\;g^{-1}$)의 순으로 전체 식물종의 9.0%에 해당하는 5종이었다. 중정도의 살초활성(1,000 ${\mu}g\;g^{-1}$ < $GR_{50}$값 < 2,000 ${\mu}g\;g^{-1}$)을 나타낸 식물은 28종이었으며, 살초활성을 나타내지 않은 식물은 23종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살초활성이 검정된 국내의 자생식물로부터 얻어지는 살초활성물질은 새로운 제초제 개발을 위한 선도화합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장기간 숙성에 따른 죽초 및 목초액의 이화학적 변화 (Physicochemical Changes of Vinegars Obtained from Bamboo and Wood during Long Term Aging)

  • 구창섭;문성필;박상범;권수덕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74-79
    • /
    • 2002
  • 졸참나무, 맹종죽 및 소나무로부터 제조한 미정제 죽초 및 목초액을 약 1년 간 저장하고, 이들의 이화학적 변화를 주기적으로 분석하였다. pH, 유기산·용해타르 함량 및 비중은 전 숙성기간 중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색차의 경우 7~10개월 사이에서 현저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 이들 죽초 및 목초액의 색깔은 연한 노랑 띤 오렌지색에서 자주색과 오렌지색으로 크게 변화하였다. 죽초 및 목초액 중 유기산 및 중성 성분(dihydro-2(3H)-furanone, furfural, furfuryl alcohol, 2-hydroxy-1-methy-1-cyclopenten-3-one, 1-hydroxy-2-propanone, methanol)들의 함량은 3개월 간격으로 주기적인 증감을 나타내었다. 특히 유기산류와 중성 성분들의 관계는 0.92 정도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페놀류의 함량은 비록 유사한 주기적인 증감이 관찰되었으나, 그 함량의 경우 숙성 전 기간에 걸쳐 감소하였다.

대나무 탄소계정을 위한 목재기본밀도 개발 (Development of a Basic Wood Density for Carbon Accounting in Bamboo Forests)

  • 배은지;정재엽;이선정;노혜정;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188-194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나무림에 대한 탄소계정을 위하여 탄소배출계수 중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졌다. 대나무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계수 도출을 위한 표준목은 솜대, 왕대, 맹종죽 등 3수종별로 각각 101본씩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목재기본밀도 도출은 KS F 2098 방법을 따랐다. 측정결과, 솜대의 목재기본밀도는 0.83 g/cm3, 왕대는 0.81 g/cm3, 맹종죽은 0.72 g/cm3로 각각 나타났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대나무 분포 면적이 많지 않고, 맹종죽의 경우 일정 지역에 국한되어 생육하고 있다. 따라서 대나무에 적용할 수 있는 목재기본밀도는 하나로 통합하여 0.79 g/cm3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목재기본밀도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한 결과, 1.61%로 낮은 불확도 값을 가져, 본 분석에서의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에 개발한 목재기본밀도와 기존의 바이오매스확장계수, 뿌리함량비 등을 이용하여 대나무 표준목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계산하고, 이를 확장시켜 ha단위까지 계산해 보았다. 이번 연구로 대나무의 재적을 이용하여 목재기본밀도 등 탄소배출계수 적용으로 탄소저장 및 흡수량 계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결과가 우리나라 탄소중립 정책 및 산림관리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의 성분조성 (The Components of the Sap from Birches, Bamboos and Darae)

  • 성낙주;정미자;이수정;신정혜;조종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27-733
    • /
    • 1995
  • 수액은 약리작용이 있다하여 민간요법으로 오랜기간 이용되어 왔으나 이에 관한 과학적인 연구는 의외로 적다. 더우기 요즈음은 환경오염이 심각해짐에 따라 자연 무공해 식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수액의 효율적인 이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자작나무류, 대나무류 및 다래나무 수액을 이용하여 천연 건강음료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져 무기물, 유리당, 아미노산, 핵산관련 물질 등을 분석하였다. 수액 중 무기물은 총 5종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함량은 칼슘, 칼륨이 월등히 많았고 다음으로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의 순이었다. 특히 대나무류 수액에서 무기물이 풍부하여 칼슘이 242.0~422.1mg/L, 칼륨이 793.8~2504.1mg/L 및 마그네슘이 72.6~165.9mg/L로 높게 정량되었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가 검출되었고, malr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자작나무 수액(#2)에서 glucose(42.1g/L), fructose(36.9g/L)가 가장 높게 검출되었다. 핵산관련 물질은 CMP, UMP가 정량되었고 GMP, IMP, AMP, hypoxanthine은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아미노산은 18종 검출되었는데 총 아미노산은 2.4~30.4mg% 범위였으며, 주요 아미노산은 자작나무 수액(#1, #2)에서 taurine, glycine, lysine, alanine과 threonine이었으며, 거제수나무 수액(#3)과 물박달나무 수액(#4)에서는 glutamic acid와 lysine, 대나무 수액(#5, #6, #7)은 lysine, valine, alanine, serine, tyrosine과 glutamic acid였고, 다래나무 수액(#8)은 leucine과 alanin이었다.

  • PDF

열대열 말라리아에 대한 상피목 및 죽과의 항 말라리아의 효과 (In vitro Antimalarial Effect of Bamboo Family Aganist P. falciparum)

  • 박현;김명수;전병훈;이존화;;;김혜숙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777-779
    • /
    • 2003
  • Among extracts prepared from Alstonia scholaris, Phyllostachys pubescens and Bambusa veitchii, methanol fraction of Alstonia scholaris was found to have antiplasmodial effect by inhibiting growth of the chloroquine-resistant Plasmodium falciparum strain FCR-3 with less than 14 μg/ml of EC50 values. Methanol fraction 2 of Alstonia scholaris revealed the strongest anti plasmodial effect with 40 μg/ml of EC50 value. Especially, this fraction showed higher than 3-folds selective toxicity on a Plasmodium as the EC value was 116 μg/ml on the host FM3A cell. This is the first report on which an extract compound from Alstonia scholaris showed antimalarial effect.

SPME법에 의한 죽초 및 목초액 중의 휘발성 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Bamboo and Wood Crude Vinegars by the Solid-Phase Microextracion(SPME) Method)

  • 문성필;구창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80-86
    • /
    • 2002
  •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맹종죽 (Phyllostachys pubescens) 및 소나무 (Pinus densiflora)로부터 제조한 미정제 초액의 휘발성 성분을 고상(固相) 미량추출(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초액 중의 휘발성화합물 분석을 위하여 극성 (CBP 20) 및 무극성 (CBP 1) 칼람을 사용하였으며, 이로부터 총 264개의 피크를 검출하였다. 이들 성분들 중 주요 화합물은 2-butanone, acetic acid, guaiacol, phenol, 4-ethyl guaiacol, cresol류, 4-ethyl phenol, 그리고 syringol이었다. 무극성 칼람을 사용함에 의하여 7개의 성분, 즉, 1-hydroxy-2-butanone, ethisolide, furfuryl acetate, 1-(2-furanyl)-1-propane, 1,2-dimethoxybenzene, 1,2-dimethoxybenzyl alcohol, phenyl acetate를 새로이 동정할 수 있었다. 이 성분들 중 페놀류가 주성분이었으며, 휘발성 성분의 49~65%를 차지하였다. 죽초액의 경우 페놀류의 비율은 다른 두 목초액보다 낮았다. 그러나 중성화합물류 및 유기산류는 소나무 및 졸참나무로부터 제조한 목초액보다 그 비율이 더 높았다. 따라서 이들 죽초액과 목초액 간의 훈취의 차이는 목초액의 서로 다른 휘발성분의 함유량의 차이에 기인한다고 생각된다.

한국산 대나무의 항돌연변이 효과 및 대나무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 (Antimutagenic Effects of Korean Bamboo Trees and Inhibitory Effect of Hepatic Toxicity of Bamboo Extracts Coated Rice)

  • 이민자;김은영;정근옥;박건영;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279-1285
    • /
    • 2004
  • 대나무 열수 추출물의 독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Ames test를 통해 평가하고 이 중 맹종죽 열수 추출물을 쌀에 코팅한 맹종죽 코팅쌀의 간 독성 억제효과를 고콜레스테롤을 섭취한 NZW계 토끼를 이용한 동물실험을 통해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왕대, 솜대, 맹종죽, 오죽 추출물의 독성 및 돌연변이 억제 효과를 관찰한 결과 대나무 추출물을 0.25∼5.0 mg/plate 농도로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 처리하였을 때 독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은 S9 mix를 필요로 하거나 또는 필요로 하지 않는 돌연변이원에 대해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나무 추출물이 MNNG 투여에 의한 돌연변이 생성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왕대, 솜대 및 맹종죽 추출물을 2.0 mg/plate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96%의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강한 항돌연변이 효과를 보였다. 한편, 맹종죽 코팅쌀을 고콜레스테롤 섭취 토끼에게 16주간 급식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은 토끼의 체중감소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식이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소 증가하였고 식이효율은 HC군에 비해 HR+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토끼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도 간 무게의 경우 HC군에 비해 HC+MR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심장, 신장, 비장 및 폐 조직의 무게에 있어서는 두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혈장에서의 GOT 및 GPT 농도를 관찰한 결과 맹종죽 코팅쌀이 두 효소의 활성을 현저히 억제하여 간 보호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로써, 대나무 추출물은 독성이 없고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며 맹종죽 코팅쌀은 동물의 성장에 있어 해로운 영향을 미치지 않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A standardized bamboo leaf extract inhibits monocyte adhesion to endothelial cells by modulating vascular cell adhesion protein-1

  • Choi, Sunga;Park, Myoung Soo;Lee, Yu Ran;Lee, Young Chul;Kim, Tae Woo;Do, Seon-Gil;Kim, Dong Seon;Jeon, Byeong 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7권1호
    • /
    • pp.9-14
    • /
    • 2013
  • Bamboo leaves (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ex J. Houz (Poacea)) have a long history of food and medical applications in Asia, including Japan and Korea. They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medicine for centuries. We investigated the mechanism of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a bamboo leaf extract (BLE) on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induced monocyte adhesion in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Exposure of HUVECs to BLE did not inhibit cell viability or cause morphological changes at concentrations ranging from 1 ${\mu}g/ml$ to 1 mg/ml. Treatment with 0.1 mg/ml BLE caused 63% inhibition of monocyte adhesion in TNF-${\alpha}$-activated HUVECs, which was associated with 38.4% suppression of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expression. Furthermore, TNF-${\alpha}$-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was decreased to 47.9% in BLE treated TNF-${\alpha}$-activated HUVECs. BLE (0.05 mg/ml) also caused about 50% inhibition of interleukin-6 secretion from lipopolysaccharide-stimulated monocyte. The results indicate that BLE may be clinically useful as an anti-inflammatory or anti-oxidant for human cardiovascular disease including atherosclerosis.

수증기댐 처리가 통죽(筒竹)의 송풍오븐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por-dam Treatment on the Air Circulating oven Drying Characteristics of Bamboo Tubes)

  • 이남호;정희석;하야시 카즈오;;;황의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5권1호
    • /
    • pp.11-16
    • /
    • 2007
  • 본 연구는 통죽의 송풍오븐 건조중 수증기댐 처리가 건조속도 및 할렬과 외주할 예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재에서 함수율 약 7~8%까지 건조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건조스케줄이 과격할수록 적었으며, 건조소요시간은 건조초기의 건조속도에 의해서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중 횡단면적 수축율과 통피층의 두께수축율은 모두 비정상적일 정도로 매우 크게 나타났다. 무처리재의 경우 건조개시 직후 할렬과 외주할이 발생하였으며, 수증기댐 처리재에서는 약 67% 정도의 건조수율을 기대할 수 있었다. 수증기댐 처리재의 외주할은 건조조건 보다는 수증기댐 처리에 의한 횡단면을 통과하는 수분의 증발 차폐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