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6초

RAPD분자 마커를 이용한 왕대속 대나무의 유전적 다양성 및 계통 관계 (Genetic Diversity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 of Genus Phyllostachys by RAPD Markers)

  • 이송진;허만규;신현철;허홍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19-824
    • /
    • 2010
  • 왕대속 대나무들은 대부분 동남아시아에 분포한다. 전세계적으로 왕대속에 속하는 4종은 의학적, 생태학적으로 중요시 되어 왔다. 이번 연구에서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는 왕대속 4종을 RAPD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 관계 분석하였다. RAPD분석결과 왕대속에 속하는 4종의 대나무는 명확하게 분류가 되었고 8.9~33.3%로 다형현상이 나타났다. 특히 왕대는 다른 종들 보다 유전적 다양성이 0.018로 가장 낮게 나왔다. 그리고 집단 내 유전적 다양성(Hs)은 0.315, 집단간 다양성(Gst)은 0.659 그리고 유전자 유동(Nm)은 0.0263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왕대속 집단은 지리적 및 환경적 요인을 받아 유전적 다양성이 낮게 나타났으며 본 연구는 대나무 유전적 다양성 연구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산 주요 죽종의 소다 및 소다-안트라퀴논 펄핑 특성 비교 (Elucidating soda and soda-anthraquinone pulp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bamboo species)

  • 이규성;송우용;신수정
    • 펄프종이기술
    • /
    • 제48권3호
    • /
    • pp.44-50
    • /
    • 2016
  • As a raw material for pulp and paper industry, Moso bamboo, Timber bamboo and Henon bamboo pulps were prepared by soda or soda-anthraquinone(Soda-AQ) pulping process. Soda-AQ pulp yields was higher in Henon bamboo (43.2%) than in Moso bamboo or Timber bamboo (32.7-39.2%), but quite lower than hardwood species. In Kappa number comparison, Henon bamboo pulp showed lower (16.6) with 50 min cooking to $170^{\circ}C$ than that of Moso bamboo (22.8) and Timber bamboo (18.9) with 90 min cooking to $170^{\circ}C$. Fiber length of Timber bamboo soda pulp had higher (1.46 mm) than that of Moso bamboo or Henon bamboo (1.18-1.36 mm). All three bamboo pulps showed longer average fiber length than commercial hardwood pulp. With higher pulp yield and lower Kappa number, Henon bamboo is better raw material for pulp than Moso bamboo and Timber bamboo.

솜대 조림지와 확산지의 바이오매스, 임상, 토양의 양분 특성 (Nutrient Characteristics of Biomass, Forest Floor, and Soil between Plantation and Expansion Sites of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 곽유식;백경원;최병길;하지석;배은지;김춘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1호
    • /
    • pp.35-42
    • /
    • 2021
  • 본 연구는 대나무 확산에 있어서 토양 성질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매년 시비가 실시된 솜대 조림지와 미시비 확산지를 대상으로 바이오매스 부위별 양분 농도와 임상 및 토양 30 cm 깊이의 양분 특성을 비교하였다. 솜대 조림지의 잎, 가지, 줄기 내 질소와 인 농도는 확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P < 0.05) 높았으나, 임상의 양분 농도는 조림지와 확산지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토양 0~30 cm 깊이의 평균 유기탄소는 조림지가 30.80 mg g-1으로 확산지 15.64 mg g-1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평균 전질소 농도의 경우 조림지 2.47 mg g-1, 확산지 1.24 mg g-1, 인은 조림지 10.27 mg kg-1, 확산지 5.61 mg kg-1, 포타슘은 조림지 0.27 cmolc kg-1, 확산지 0.16 cmolc kg-1로 조림지가 확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토양 양분 상태는 솜대의 인접 산림지역으로 확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월생 분죽을 이용한 대나무 파티클보드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boards Made from Three-months-old Domestics Bamboo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 이화형;한기선;김관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11-17
    • /
    • 2002
  • 본 연구는 요소수지(고형분함량 60%)를 사용, 분죽 3개월생 국산 대나무를 이용하여 대나무 파티클 3층 보드를 제조하고 3년생과 그 보드의 물리 기계적 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분죽의 수령이 파티클 보드의 비중과 기건 함수율에 미치는 차이는 없었고, 제품의 두께 팽윤율은 함지율 11%부터 KS기준을 만족시켰으며 3개월생 보드가 3년생 보드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3개월생 파티클 보드의 휨강도가 함지율 3수준(9%, 11%, 13%)에서 모두 3년생보다 훨씬 높게 나타났고, 박기강도도 3개월생 보드가 3년생 보드보다 월등히 높았다. 3개월생, 3년생 보드 모두 KS기준강도보다 월등하였다. 보드의 포름알데히드 방산량값은 모두 E2 등급을 만족시켰다.

3D 프린터 필라멘트 제작용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mboo/PLA Bio-composites for 3D Printer Filament)

  • 신윤정;윤현주;이은주;정우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1호
    • /
    • pp.107-11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친환경 소재인 바이오복합재료(bio-composite)를 이용한 3D 프린터 필라멘트를 제작하였다. 바이오복합재료의 제조를 위해 매트릭스로는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 lactic acid (PLA)를 그리고 충전제로는 대나무 분말(Bamboo flour)을 사용하였다. 대나무는 담양에서 생산되는 왕대, 솜대, 죽순대를 이용하였으며, 대나무 분말과 PLA의 혼합비율은 중량기준 10/90, 20/80, 30/70으로 설정하였다. 3개 죽종으로 제조한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의 기본물성 평가를 위해 인장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왕대 분말/PLA의 비율이 10/90일 때의 인장강도가 7.12 MPa로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3D 프린터 필라멘트 제작용 대나무/PLA 바이오복합재료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현미경 관찰 결과, 죽분의 함량을 더욱 낮춘 필라멘트를 제작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Evaluation of Antioxidant and Anticancer Activity of Steam Extract from The Bamboo Species

  • Kim, Ji-Su;Lee, Hyung Chul;Jo, Jong-Soo;Jung, Ji Young;Ha, Yeong Lea;Yang, Jae-Kyung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5호
    • /
    • pp.543-554
    • /
    • 2014
  • Natural plant extract has been the subject of intense research aiming in elucidat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their chemopreventive effects upon various forms of human cancers.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evaluate the natural antioxidants and anticancer agent potential of Phyllostachy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team extract from Phyllostachys was carried out using GC-MS. The steam extract of Phyllostachys was dominated by monoterpenes (62.96% - 71.36%) and sesquiterpenes (23.58% - 33.13%) as the main compoun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team extract was determined using a DPPH scavenging and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test systems. Furthermore, the amounts of total phenolics in steam extract were determined spectrometrically The steam extract of P. pubescens and P. bambusoides were presented the high activity (69.4% and 64.0%, respectively.). The steam extract from Pyllostachys species showed a hydrogen peroxide scavenging activity of approximately 50.4% - 54.6%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standard gallic acid. The anticancer activities of steam extract were determined using a MTT assay. Assessment of the cytotoxic effect of the steam extract on PC-3 cells showed that the P. bambusoides (20.85%) and P. pubescens (20.41%) were superior in induced cytotoxicity compared with the steam extract of P. nigra var. henonis (1.15%). Findings from this study indicated that steam extract of P. bambusoides and P. pubescens possessed potential as medicinal drug especially in prostate cancer treatment.

국내산 죽종의 화학성분 및 섬유소 이용에 관한 연구 (제1보) - 맹종죽, 솜대, 왕대의 죽령별 화학 조성 변화 -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Ingredients and Fibers from Korean Bamboo Species in Value-added Industry: Part 1. -Changes in Chemical Composition of Moso, Henon, and Timber Bamboo According to the Bamboo Ages-)

  • 강규영;윤승락;전권석;박문섭;박남창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3호
    • /
    • pp.43-51
    • /
    • 2011
  • Chemical composition and contents of carbohydrates, lignin, and extractives in Moso(Phyllostachys pubescens Mazel), Henon(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Stapf ex. Rendle), and Timber bamboo(Phyllostachys bambusoides Sieb. et Zucc.) known as economically valuable bamboo species in Korea were analyzed as a function of ages. All of tested bamboo species were composed of fucose, arabinose, rhamnose, galactose, glucose, xylose, and mannose. Glucose was the sugar which showed the highest content followed by xylose. The contents of others were below 3%. Sugar contents of bamboo shoots showed the lowest among the tested bamboo samples, and the constant rates were shown after 50 days of growth. Lignin content increased by the growth of one year, and the increasing rates tended to be constant after the growth of three years. Bamboo shoots have the highest contents of acid-soluble lignin, which turned into insoluble lignin after the growth of 50 days. Bamboo shoots showed the highest content of extractives and tend to be decreased by the growth of 50 days and then the content increased slowly in proportion to the period of bamboo growth.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specie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bamboo.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chemical composition between bamboo shoots and 50-day old bamboo.

대나무 추출액의 항산화 작용과 미백작용 (Anti-oxidant Activity and Whitening Activity of Bamboo Extracts)

  • 송호선;문효진;박병언;최방실;이동자;이지윤;김창종;심상수
    • 약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500-507
    • /
    • 2007
  •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as a whitening agent using bamboo extracts (Phyllostachys nigra var. henonis), we measured DPPH assay, NBT/XO assay,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assay, tyrosinase assay and MSH-induced melanin production in B-16 cells. Bamboo extracts had dose-dependently anti-oxidant activity in DPPH, NBT/XO and intracellular ROS assay. Bamboo extracts appear to inhibit xanthine oxidase directly. Bamboo extracts inhibited not only purified tyrosinase activity but also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 melanoma cells stimulated by $1{\mu}M\;{\alpha}$-MSH. Anti-oxidant activity and cytotoxicity of ethyl acetate fraction was more potent than those of water fraction, whereas whitening effect of water fraction was stronger than ethyl acetate fraction.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water fraction of bamboo extracts may be useful for the development as whitening agents reducing cytotoxicity.

단소용 대나무재의 열처리 및 건조 (Heat Treatment and Drying Methods of Small-Notched Bamboo for Vertical Flute)

  • 변희섭;오승원;공태석;김종만
    • 임산에너지
    • /
    • 제21권3호
    • /
    • pp.10-17
    • /
    • 2002
  • 본 연구는 단소용 대나무 악기재를 효과적으로 건조하기 위하여 열처리 및 몇 가지 스케줄에 의한 건조를 실시하였다. 평균 직경 2.2cm, 길이 60cm정도의 솜대를 이용하였다. 열처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처리 및 열처리재로 구분하였으며 적당한 건조 조건 조사를 위해서 20℃, 65%와 40℃, 40% 그리고 대기상태의 3가지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탄화와 재색의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 열처리의 최적 온도 조건은 180℃정도가 적당하였으며 열처리가 할렬의 수와 할렬 크기의 발생을 줄였으며 건조결함을 발생하지 않는 최적의 조건은 온도 20℃, 관계습도 65%이지만 건조를 할 때 기간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40℃, 40%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었다.

  • PDF

대나무 탄소계정을 위한 목재기본밀도 개발 (Development of a Basic Wood Density for Carbon Accounting in Bamboo Forests)

  • 배은지;정재엽;이선정;노혜정;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2호
    • /
    • pp.188-194
    • /
    • 2023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나무림에 대한 탄소계정을 위하여 탄소배출계수 중 하나인 목재기본밀도를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어 졌다. 대나무는 전라남도와 경상남도에 주로 분포해 있으며, 계수 도출을 위한 표준목은 솜대, 왕대, 맹종죽 등 3수종별로 각각 101본씩을 선정하여 활용하였다. 목재기본밀도 도출은 KS F 2098 방법을 따랐다. 측정결과, 솜대의 목재기본밀도는 0.83 g/cm3, 왕대는 0.81 g/cm3, 맹종죽은 0.72 g/cm3로 각각 나타났다. 그렇지만, 우리나라는 대나무 분포 면적이 많지 않고, 맹종죽의 경우 일정 지역에 국한되어 생육하고 있다. 따라서 대나무에 적용할 수 있는 목재기본밀도는 하나로 통합하여 0.79 g/cm3로 확정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목재기본밀도에 대한 불확도를 평가한 결과, 1.61%로 낮은 불확도 값을 가져, 본 분석에서의 측정값에 대한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번에 개발한 목재기본밀도와 기존의 바이오매스확장계수, 뿌리함량비 등을 이용하여 대나무 표준목에 대한 탄소저장량을 계산하고, 이를 확장시켜 ha단위까지 계산해 보았다. 이번 연구로 대나무의 재적을 이용하여 목재기본밀도 등 탄소배출계수 적용으로 탄소저장 및 흡수량 계산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결과가 우리나라 탄소중립 정책 및 산림관리 방향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