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ol Degradation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1초

Synthesis of 6-Formyl-pyridine-2-carboxylate Derivatives and their Telomerase Inhibitory Activities

  • Jew, Sang-Sup;Park, Boon-Saeng;Lim, Doo-Yeon;Kim, Myoung-Goo;Chung, In-Kwon;Kim, Joo-Hee;Hong, Chung-Il;Kim, Joon-Kyum;Park, Hong-Jun;Lee, Jun-Hee;Park, Hong-Jun;Lee, Jun-Hee;Park, Hyeung-Geun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181.4-182
    • /
    • 2003
  • Telomeres are DNA-protein complexes at the ends of chromosomes, which play an essential protective role against DNA degradation and aberrant recombination during cell divisions. Several telomerase inhibitors have been reported as candidates for new antitumor drugs. Among them, 2-thiobenzylpyridines, developed by Geron. Co Ltd. as a telomerase inhibitor, were chosen as lead compounds. Twenty-one pyridine-2- carboxylate derivatives were prepared by the coupling of 6-formyl-2-carboxylic acid with the corresponding phenol, thiophenol, and aniline, substituted with various functional groups. (omitted)

  • PDF

Monitoring the Bacterial Community Dynamics in a Petroleum Refinery Wastewater Membrane Bioreactor Fed with a High Phenolic Load

  • Silva, Cynthia C.;Viero, Aline F.;Dias, Ana Carolina F.;Andreote, Fernando D.;Jesus, Ederson C.;De Paula, Sergio O.;Torres, Ana Paula R.;Santiago, Vania M.J.;Oliveira, Valeria M.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21-29
    • /
    • 2010
  • The phenolic compounds are a major contaminant class often found in industrial wastewaters and the biological treatment is an alternative tool commonly employed for their removal. In this sense, monitoring microbial community dynamics is crucial for a successful wastewater treatment. This work aimed to monitor the structure and activity of the bacterial community during the operation of a laboratory-scale continuous submerged membrane bioreactor (SMBR), using PCR and RT-PCR follow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16S rRNA libraries. Multivariate analyses carried out using DGGE profil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total and metabolically active dominant community members during the 4-week treatment period, explained mainly by phenol and ammonium input. Gene libraries were assembled using 16S rDNA and 16S rRNA PCR products from the fourth week of treatment. Sequencing and phylogenetic analyses of clones from the 16S rDNA library revealed a high diversity of taxa for the total bacterial community, with predominance of Thauera genus (ca. 50%). On the other hand, a lower diversity was found for metabolically active bacteria, which were mostly represented by members of Betaproteobacteria (Thauera and Comamonas), suggesting that these groups have a relevant role in the phenol degradation during the final phase of the SMBR operation.

경안천 유역 오염토양에서 분리한 방선균의 염화 페놀계 화합물 분해 (Degradation of Chlorinated Phenolic Compounds by Soil Actinomycetes Isolated from the Contami-nated Soil Nearby the Kyung-An River)

  • 김성민;김창영;김응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7-29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경안천 유역에 있는 주유소 오염토양으로부터 대표적인 아조계 염료 congo-red분해능이 우수한 토양 방선균, SMA-2를 분리 선별하고, SMA-2의 배양조건을 최적화하여 2,4-dichlorophenol의 산화에 관여하는 actinomycetes lignin peroxidase(ALiP)의 활성도에 대한 특성을 규명하였다. 기존에 보고된 방선균 유래 ALiP와는 달리, SMA-2유래 ALiP효소는 pH6에서 최고의 활성을 보였으며, 2,4-DCP와 $H_2$$O_2$에 대한 Km값이 각각 0.21mM과 8.5mM로 측정되었다. 또한 최적화된 배지에서 성장한 SMA-2의 배양액은 2,4-dichlorophenol 뿐만 아니라 2-chlorophenol, 2,4,6-trichlorophenol, 2,6-dichlorophenol, phenol, 4-chloropheno떼 대해서도 산화능을 보임으로써, 토양 방선균을 이용한 염화 페놀계 화합물이 포함된 오염 토양의 생복원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Sphingomonas sp. 224 균주에 의한 살균제 tolclofos-methyl의 분해 (Biodegradation of Fungicide Tolclofos-methyl by Sphingomonas sp. 224)

  • 곽윤영;신갑식;이상만;김장억;이인구;신재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88-395
    • /
    • 2010
  • 미생물을 이용한 인삼 재배지 내 잔류 tolclofos-methyl의 효과적 분해를 목적으로,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보이는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선발된 미생물은 16S rDNA 염기서열분석을 통하여 Sphingomonas 속으로 동정되었다. 선발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는 1/10 농도의 LB 배지에 함유된 20 mg/L 농도의 tolclofos-methyl을 배양 72시간 이내에 95% 이상 분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미생물이 tolclofos-methyl을 분해하여 얻어지는 산물로 2,6-dichloro-4-methyl phenol이 확인됨에 따라 미생물이 생산하는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분해 경로를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Tolclofos-methyl 분해 미생물 Sphingomonas sp. 224를 인삼경작지 토양에 처리하여 이들 토양에 잔류되어 있는 tolclofos-methyl에 대한 분해능을 확인 한 결과, 20 mg/Kg 농도의 토양 잔류 tolclofos-methyl에 대하여 14일 이내에 약 50%의 분해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단일 미생물을 이용한 배지 및 토양 내 tolclofosmethyl의 생분해 효과를 처음으로 확인한 연구 결과이다.

Carbofuran, Bentazon 및 TCAB 잔류물의 토양중 용탈 (Leaching Behavior of the Residues of Carbofuran, Bentazon, and TCAB in Soil)

  • 이재구;오경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9-17
    • /
    • 1993
  • $^{14}C-Carbofuran$, $^{14}C-Bentazon$, 그리고 $^{14}C-3,3',4,4'-tetrachloroazobenzene$의 신생잔류물 및 3개월과 6개월 숙성잔류물의 용탈행적을 Soil column중에서 연구하였다. 농약의 토양중 분해, 이동성, 그리고 지하수의 오염가능성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에서는 온도 $15{\pm}2^{\circ}C$, Soil column에는 정수두법에 의한 관수, 그리고 1,332ml의 모조강우량을 90일간 용출시켜 실시하였다. $^{14}C-Carbofuran$$^{14}C-Bentazon$의 신생잔류물은 매우 큰 이동성을 보였으나, 숙성잔류물은 이동성이 현저히 감소하였다. 반면, $^{14}C-TCAB$의 신생 및 숙성잔류물은 이동성이 전혀 없었다. 3-Keto carbofuran phenol(2,3-dihydro-2,2-dimethyl-3-oxo-7-benzofuranol)은 $^{14}C-carbofuran$의 신생잔류물로 처리한 Soil column의 Leachate중에서 주분해산물로 검출되었지만, $^{14}C-bentazon$$^{14}C-TCAB$를 처리한 Soil column의 Leachate중에서는 분해산물을 검출할 수 없었다.

  • PDF

반응온도에 따른 팜 부산물(empty fruit bunch)의 열화학적 분해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hermochemical Degradation Features of Empty Fruit Bunch on The Function of Pyrolysis Temperature)

  • 이재훈;문재관;최인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50-35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팜 부산물인 empty fruit bunch (EFB)의 시료 특성을 분석하고 유동형 열분해기를 이용하여 $400{\sim}550^{\circ}C$ 범위에서 체류시간 1.3초간 급속열분해 공정을 진행하였다. 또한, 반응온도에 따른 열분해 주요 산물(바이오오일, 바이오차, 가스)의 수율과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구명하였다. EFB의 화학조성 및 원소분석을 통해 시료 내 칼륨 함량이 8400 ppm으로 많은 것을 확인하였다. 열중량분석에서 나타난 특성으로 볼 때 EFB 시료 내 칼륨의 촉매작용에 의해 셀룰로오스의 분해가 촉진된 것으로 추측된다. $50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는 바이오오일의 수율이 증가하고 가스의 수율이 감소하였으며 바이오차는 수율에 큰 변화가 없었던 반면, $500{\sim}550^{\circ}C$까지의 온도범위에서는 바이오오일과 바이오차의 수율이 감소하였고 가스의 수율이 증가하였다. 각 조건별로 생성된 바이오오일은 수분함량 20~30%, 발열량 15~17 MJ/kg 범위의 값을 나타냈으며, 점도 11 cSt (centistoke), 전산가(total acid number) 100 mg KOH/g oil 미만으로 나타났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 분석을 통해 EFB 바이오오일로부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9종)과 리그닌계 화합물(17종)을 확인하였다. 리그닌계 화합물 중 특히 phenol이 다량 검출되었으며 이는 전체 화합물 농도의 25%에 해당하는 양이다.

섬유 폐수 활성 슬러지에서 분리한 Comamonas testosteroni의 생물학적 페놀 분해 (Biodegradation of Phenol by Comamonas testosteroni DWB-1-8 Isolated from the Activated Sludge of Textile Wastewater)

  • 권해준;최두호;김미경;김동현;김영국;윤혁준;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56-161
    • /
    • 2020
  • 산업화 이후 다양한 화학물질의 생산과 이용은 우리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지만 그로 인한 대량의 폐기물 방출은 필연적이며 환경오염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환경오염에 의한 화학물질의 노출은 인간의 건강과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우리의 삶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오염된 환경을 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광범위한 석유화학제품의 사용으로 인해 독성 난분해성 방향족화합물이 토양, 지하수, 폐수 등에서 빈번하게 검출되고 있다. 특히 합성수지, 합성섬유, 염료, 살충제, 방부제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페놀은 주요 오염물질이며, 호흡곤란, 두통, 구토, 돌연변이, 발암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페놀분해균주인 DWB-1-8을 섬유폐수에서 분리, 동정하였으며 16S rRNA유전자 염기서열분석결과 Comamonas testosteroni로 동정 되었다. 본 실험 균주의 최적 생장 및 최적페놀분해 배양 조건은 0.7% K2HPO4, 0.6% NaH2PO4, 0.1% NH4NO3, 0.015% MgSO4·7H2O, 0.001% FeSO4·7H2O, 초기 pH 7 및 30℃ 였으며, 다른 독성 화합물인 벤젠, 톨루엔 혹은 크실렌(BTX)을 유일탄소원으로 이용하여 생장할 수 있었다.

침지형 막분리 활성오니법에 있어서 생물대사성분의 거동 (Behavior of Soluble Microbial Products in a Submerged Membrane Separation Activated Sludge Process)

  • 차기철;이동열;심진기;이영무;유익근;안승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59-970
    • /
    • 2000
  • 본 연구는 실험실 규모의 침지형 막분리 활성오니법을 이용하여 생물 대사 성분이 막투과 유속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SMP와 분리막의 fouling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연속 실험과 회분 실험으로 나누어 운전하였다. 합성 폐수로는 단일 탄소원으로서 phenol을 사용하였다. 생물 반응조의 체류 시간과 MLSS농도는 각각 12hr과 9.000mgVSS/L로 유지하였다. 연속 장치에 있어서 회분 여과 실험을 통해 SMP농도가 증가할수록 막투과 유속은 감소하였고, cake와 gel층이 형성을 증가시켰다. Cake의 저항은 $2.9{\sim}4.0{\times}10^{10}$으로 측정되어 다른 여과 저항보다 막투과 유속의 감소에 중요한 영향을 나타냈다. 회분 페놀 분해 실험에서 SMP종들 중에 $SMP_{nd}$$SMP_{e}$가 난분해성 고분자 물질로서 막투과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또한, SMP농도는 막투과 유속의 감소에 대한 HRT의 증가로서 생물 반응조 내에 축적되었다.

  • PDF

광반응을 이용한 Triclosan 분해에서의 UV 광세기와 파장의 효과 (The Effect of UV Intensity and Wavelength on the Photolysis of Triclosan (TCS))

  • 손현석;최석봉;;조경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1006-101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항균제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triclosan (TCS)의 광분해시, 광분해 효율을 결정하는 OH 라디칼의 기여도를 조사하였다. TCS의 광분해 반응은 365 nm에서 모든 광세기 조건과 254 nm에서 낮은 광세기 조건들에서, 반응 초기 약 5분에서의 분해양상은 유사일차 속도반응 모델을 따르고 있었다. 또한 TCS의 광분해시 메탄올을 $H_2O$ 대신에 용매로 사용하였을 경우 OH 라디칼의 저해작용에 의하여 TCS 분해속도가 감소되었다. TCS의 광분해 속도는 파장이 감소하고, 광세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TCS의 광분해시 254 nm에서는 $5.77{\times}10^{-5}$ einstein $L^{-1}min^{-1}$이상의 광세기와, 365 nm에서는 $1.56{\times}10^{-4}$ einstein $L^{-1}min^{-1}$ 보다 낮은 광세기 조건에서 photon의 기여도가 증가함을 보였다. 또한 photon의 기여도가 큰 광세기 조건들에서의 TCS에 의해 이용된 quantum yield는 254 nm보다 365 nm에서 높은 효율을 보였다. TCS의 중간부산물로서는 dibenzodichloro-p-dioxin (DCDD)와 dibenzo-p-dioxin가 365 nm하의 $1.37{\times}10^{-4}$$1.56{\times}10^{-4}$ einstein $L^{-1}min^{-1}$의 광세기 조건에서 모두 검출되었다. Dichloro-phenol과 phenol 역시 광반응의 부산물로서 모든 실험에서 발견되었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TCS의 광분해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극초단파(마이크로파)와 첨가제를 이용한 오염토양 내 준휘발성 유기오염물질 제거 (Removal of Semi-volatile Soil Organic Contaminants with Microwave and Additives)

  • 정상조;최형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8권1호
    • /
    • pp.67-77
    • /
    • 2013
  • To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conventional thermal treatment, soil remediation with microwave has been studied. In this study, the remediation efficiency of contaminated soil with semi-volatile organic contaminants were evaluated with microwave oven and several additives such as water, formic acid, iron powder, sodium hydroxide (NaOH) solution, and activated carbon. For the experiment, loamy sand and sandy loam collected from Imjin river flood plain were intentionally contaminated with hexachlorobenzene and phenanthrene, respectively. The contaminated soils were treated with microwave facility and the mass removals of organic contaminants from soils were evaluated. Among additives that were added to increase the remediation efficiency, activated carbon and NaOH solution were more effective than water, iron powder, and formic acid. When 10 g of hexachlorobenzene (142.4 mg/kg-soil) or phenanthrene (2,138.8 mg/kg-soil) contaminated soil that mixed with 0.5 g iron powder, 0.5 g activated carbon and 1 ml 6.25 M NaOH solution were treated with microwave for 3 minutes, more than 95% of contaminants were removed. The degradation of hexachlorobenzene during microwave treatments with additives was confirmed by the detection of pentachlorobenzene and tetrachlorobenzene. Naphthalene and phenol were also detected as degradation products of phenanthrene during microwave treatment with additives. The results showed that adding a suitable amount of additives for microwave treatments fairly increased the efficiency of removing semi-volatile soil organic contamina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