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nanthroline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18초

인공 DNase의 리간드 화합물로써 2,9-(N,N-Dimethylethylenediaminomethyl)-1,10-phenanthroline 분자내 수소결합들의 역할 (The Roles of Hydrogen Bonds in 2,9-(N,N-Dimethylethylenediaminomethyl)-1,10-phenanthroline Molecule as a New Ligand Compound of Artificial DNase)

  • 성낙도;박경용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4호
    • /
    • pp.326-330
    • /
    • 2005
  • 인공 DNase의 새로운 리간드 분자로 설계된 2,9-(N,N-dimethylethylenediamino)-1,10-phenanthroline(A) 및 2,9-(N,N-Dimethylethylenediaminomethyl)-1,10-phenanthroline(B)의 Cu(II) 착 화합물에 의한 2',3'-cAMP의 촉매 가수분해 반응에서 리간드 분자의 아미노기들과 2',3'-cAMP의 인산기 사이에 형성되는 분자내 4개의 수소결합들로 인하여 (A) 및 (B)의 Cu(II) 착 화합물은 2,9-dimethyl-o-phenanthroline의 Cu(II) 착 화합물에 의한 2',3'-cAMP의 촉매 가수분해 반응 속도를 7만배 이상 빠르게 촉진 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Copper-Phenanthroline 복합체에 의해 유도되는 DNA 손상에 대한 양파와 마늘의 억제효과 (The Effects of Onion and Garlic on Copper-Phenanthroline Complex Induced DNA Degradation)

  • 박평심;이명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67-371
    • /
    • 1992
  • 양파와 마늘이 산화적 DNA 손상에 미치는 영향을 시험관내에서 $Cu^{2+}$와 phenanthroline에 의해 유리된 TBA반응물을 측정하여 관찰한 결과 양파가 마늘보다 더 강한 TBA반응물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양파의 효과는 시료를 가열하여도 변화가 적엇다. 항산화효소인 SOD활성은 마늘에서, catalase와 glutathione peroxidase 활성도는 양파에서 더 높았고, -SH 기는 마늘에서 더 많았다. $Cu^{2+}$와 phenanthroline에 의한 산화적 DNA 손상에 대해 SOD와 catalase는 영향이 적고, glutathione은 영향이 비교적 큰것으로 나타나 양파의 마늘보다 더 큰 DNA손상 억제효과는 항산화 효소나, -SH 기에 의한것이 아니며, 특히 양파에 열을 가해도 DNA손상 억제 효과의 감소가 적은점으로 보아 비교적 고온에서 안정된 물질이 $Cu^{2+}$와 phenanthroline에 의한 DNA손상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8배위 터븀 (III) 착화합물의 합성과 Photoluminescence 특성 (Photoluminescence properties of eight coordinated terbium(III) complexes)

  • 윤명희;김연희;최원종;장주환;최성호
    • 분석과학
    • /
    • 제24권6호
    • /
    • pp.451-459
    • /
    • 2011
  • 3종의 8배위 터븀 착화합물 [tris (2-pyrazinecarboxylato) (phenanthroline) terbium (III), tris (5-methyl-2-pyrazinecarboxylato) (phenanthroline) terbium(III) 및 tris (2-picolinato) (phenanthroline) terbium (III)]을 합성하고, 이 화합물을 FT-IR, UV 및 XPS 사용하여 특성평가 하였다. 또한, PL 스펙트라를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은 강한 녹색 형광을 방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시간 분해 분광분석기를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의 형광 반감기가 0.87 ms 및 1.0 ms임을 알았고, 열분석을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의 열안정성은 $333-379^{\circ}C$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CV를 통하여 합성된 터븀 착화합물의 경우 HOMO-LUMO 에너지 차이가 4.26~4.41 eV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UV-visible 스펙트라에서 얻은 값과 유사한 값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조된 터븀 착화합물은 초록색을 발광하는 디바이스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Bistability of $Co^{III}$(N-N)(3,6-DBSQ)(3,6-DBCat):Subtle Diimine Ligand Effect (N-N=4,7-Dimethyl-1,10-phenanthroline, 5-Chloro-1,10-phenanthroline;DBSQ=Di-tert-butylsemiquinonato;DBCat=Di-tert-butylcatecholato)

  • Ok-Sang Jung;Young-A Lee;Younkyoo Kim;Youn Soo Soh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5권8호
    • /
    • pp.641-643
    • /
    • 1994
  • Studies of Co(N-N)(3,6-DBSQ)(3,6-DBCat)(N-N=4,7-dimethyl-1 ,10-phenanthroline, 5-chloro-1,10-phenanthroline; DBSQ=di-tert-butylsemiquinonato; DBCat=di-tert-butylcatecholato)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bistability by intramolecular cobalt-quinone electron transfer in solid state. The title complexes dominantly exist as $Co^{III}$(N-N)(3,6-DBSQ)(3,6-DBCat) at room temperature and display a significant bistability on temperature variation. Subtle change in optical spectra and magnetic properties is observed when diimine ligands are changed.

은(I)화합물:비스(디프로필디싸이오포스페이토)비스(1,10-펜안트로린)이온(I);Ag2[Phen]2[S2P(OPr)2]2 (Dimeric Silver(I) Complex: Bis(dipropyldithiophosphato) bis(1,10-phenanthroline) Disilver(I); Dimeric Silver(I) Complex: Bis(dipropyldithiophosphato) bis(1,10-phenanthroline) Disilver(I);Ag2[Phen]2[S2P(OPr)2]2)

  • Fang Fang Jian;Hai Lian Xiao;Huan Xiang Wang;Kui Jiao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6-30
    • /
    • 2003
  • 이핵 화합물, $Ag_2$[Phen]_2[S_2P(OPr)_2]_2$(Phen=1,10-phenanthroline; Pr=propyl)은 비스(디프로필디싸이오포스페이토) 은(|)화합물과 1,10 펜안트로린 리간드 반응에 의하여 합성되었고, 그 화합물 구조는 X-ray에 의하여 규명되었다. 두 디프로필디싸이오포스페이토 리간드는 두 개의 은 원자를 연결하여 팔각형 $Ag_2S_4P_2$ 고리를 형성하였고, 1,10-펜안트로린 리간드는 은 이온과 결합하여 사면체구조를 이루었다. Ag-S 결합거리는 2.471(1)와 2.567(1) ${\AA}$이었고, Ag-N 결합 거리는 2.3666(3)와 2.471(3) ${\AA}$이었다.

Micellar Catalysis on 1,10-Phenanthroline Promoted Chromic Acid Oxidation of Ethane-1,2-diol in Aqueous Media at Room Temperature

  • Ghosh, Sumanta K.;Saha, Rumpa;Ghosh, Aniruddha;Basu, Ankita;Mukherjee, Kakali;Saha, Indrajit;Saha, Bidyut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720-724
    • /
    • 2012
  • Under pseudo-first order conditions, the monomeric species of Cr(VI) was found to be kinetically active in the absence of phenanthroline (phen) whereas in the phen-promoted path, the Cr(VI)-phen complex undergoes a nucleophilic attack by etane-1,2-diol to form a ternary complex which subsequently experience a redox decomposition leading to hydroxy ethanal and Cr(III)-phen complex. The effect of the cationic surfactant (CPC), anionic surfactant (SDS) and neutral surfactant (TX-100) on the unpromoted and phen-promoted path have been studied. Micellar effects have been explained by considering the preferential partitioning of reactants between the micellar and aqueous phase. Combination of TX-100 and phenanthroline will be the ideal for chromic acid oxidation of ethane-1,2-diol in aqueous media.

Synthesis of 5,6-Dihydro[1,10]phenanthroline Derivatives and Their Properties as Hole-Blocking Layer Materials for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Lee, Hyo-Won;An, Jung-Gi;Yoon, Hee-Kyoon;Jang, Hyo-Sook;Kim, Nam-Gwang;Do, Young-Kyu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6권10호
    • /
    • pp.1569-1574
    • /
    • 2005
  • To develop new hole-blocking materials for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PhOLEDs), 5,6-dihydro-2,9-diisopropyl-4,7-diphenyl[1,10]phenanthroline (1) and 5,6-dihydro-2,9-diisopropyl-4-(4-methoxyphenyl)-7-phenyl[1,10]phenanthroline (2) were synthesized. While the absorption spectrum of 1 is very similar to that of 2, the photoluminescence spectrum of 1 has the feature of the narrower and blue-shifted blueviolet emission at the peak of 356 nm compared to that of 2. The HOMO and LUMO energy levels of 1 and 2 were estimated from the measurement of cyclic voltammetry, and 1 has the appropriate levels for a holeblocking layer (HBL). The use of 1 as a HBL in a green PhOLED led to good efficiency of 23.6 cd/A at 4.4 mA/$cm^2$.

Structure of Chloro bis(1,10-phenanthroline)Cobalt(II) Complex, [Co(phen)2(Cl)(H2O)]Cl·2H2O

  • Pu Su Zhao;Lu De Lu;Fang Fang Jian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4-338
    • /
    • 2003
  • $[Co(phen)_2(Cl)(H_2O)] Clㆍ2H_2O$(phen=1,10-phenanthroline)의 결정구조는 X-ray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그 결정은 a=9.662(2), b=11.445(1), c=13.037(2)${\AA}$ ${\alpha}$=64.02(1), ${\beta}$=86.364(9), ${\gamma}=78.58(2)^°$ 그리고 Z=2의 격자인자를 갖는 triclinic계와 space group이 P1의 구조로 결정화 되었다. 배위된 양이온은 두개의 Phen 리간드, 하나의 chloride이온과 하나의 $H_2O$ 리간드가 cis 배열로 킬레이크된 6배위 코발트 원자가 포함된다. 코발트에 배위된 chloride에 더해서, 결정구조를 이루는 하나의 chloride이온과 네개의 물분자가 있다. 고체상태에서, 제목의 화합물은 수소결합을 통하여 3차원 그물구조를 갖는다.

TLC Plate에서의 발광증폭 및 o-Phenanthroline에 의한 Energy Transfer를 이용한 $Dy^{3+}$ 이온의 미량 분석법 (A New Analytical Method for the $Dy^{3+}$ Ion Using the Luminescence Enhancement by the Treatment of o-Phenanthroline on the TLC Plate)

  • 정혁
    • 분석과학
    • /
    • 제11권5호
    • /
    • pp.386-393
    • /
    • 1998
  • 란탄이온의 특성 발광선 세기가 TLC plate상에서 증폭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Dy^{3+}$ 이온에 대한 고감도의 미량분석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수용액 상태에서의 $Dy^{3+}$ 이온의 발광선의 세기에 비하여 주어진 용액 시료를 TLC plate에 점적하면 이온의 방출선의 세기가 크게 증가하였다. 특히 점적된 이온에 o-Phenanthroline을 추가로 점적하면 방출선의 세기가 더욱 증가하는 증폭현상을 이용하여 $Dy^{3+}$ 이온의 검출한계를 용액 시료에 비하여 농도비로 약 10배 그리고 그 절대량으로는 $10^4$배 정도 개선하였으며 이때의 검정곡선은 검출한계 근처에서 $10^2$ order의 선형범위(dynamic range)와 상관계수가 0.99 이상인 직선성을 나타냈다. 한편 이러한 발광증폭의 이론적인 배경으로 착물내의 리간드와 란탄이온 사이의 energy-transfer mechanism을 설명하였다.

  • PDF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ic Determination of Trace Amounts of Thallium after Solid-Liquid Extraction and Preconcentration with Use of 1,10-Phenanthroline onto Benzophenone

  • Taher, Mohammad Ali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4권8호
    • /
    • pp.1177-1180
    • /
    • 2003
  • Thallium is quantitatively retained by 1,10-phenanthroline and tetraphenylborate onto benzophenone in the pH range 0-11 from a large volumes of aqueous solutions of various samples. After filtration, the solid mass consisting of thallium complex and benzophenone is dissolved with 5 mL of dimethylformamide and the metal was determined by flame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ic. About 0.4 ㎍ of thallium can be concentrated from 400 mL of aqueous sample, where its concentration is as low as 1.0 ng/mL. Eight replicate determinations of 8.0 ㎍/mL of thallium in final dimethylformamide solution gave a mean absorbance of 0.160 with a relative standard deviation of 1.7%. The sensitivity for 1% absorption was 0.22 ㎍/mL. The interference of a large number of anions and cations has been studied and the optimized conditions developed were utilized for the trace determination of thallium in various alloys and biological samp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