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ellinus baumii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9초

Phellinus linteus, Phellinus baumii 및 Phellinus gilvus의 형태, 일반성분, 원소분석 및 무기성분 함량의 비교 (Comparison on the Morphology, General Composition, Elemental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Phellinus linteus, Phellinus baumii and Phellinus gilvus)

  • 배재성;장광호;이만휘;정규식;조우식;최성국;김영환;박승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23-428
    • /
    • 2003
  • 진흙버섯 품종별 P. linteus, P. baumii 그리고 P. gilvus에 대한 형태학적 차이, 일반성분 및 무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P. gilvus와 P. linteus는 비슷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원소 함량의 구성비에서는 세 종류의 버섯이 모두 유사함을 보여주었다. 일반성분을 분석 비교시 수분의 함량은 P. baumii가 가장 높았으며 P. gilvus의 수분 함량은 10% 이내로 낮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식이섬유는 약 30% 이상을 함유하고 있으나 vitamin C 및 단백질의 함량은 높지 않았다. 원소분석에서 Ca의 경우 세 종류의 진흙버섯에서 P. baumi가 가장 높은 Ca 함량을 보여주었으나 통계적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원소조성 및 일반성분 비교에서는 P. linteus, P. baumii 그리고 P. gilvus의 큰 차이점이 나타나지 않았다.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병재배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Phellinus baumii Grown in Bottle)

  • 류영현;조우식;이진만;김종국
    • 한국균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01-104
    • /
    • 2004
  •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은 현재 원목재배가 주종을 이루는 있는데 자실체 생육기간이 길고 원목수급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톱밥의 경우 목재부산물로 다량 발생하고 있어 이를 활용한 톱밥병재배을 실시하였다. 장수상황버섯(Phellinus baumii)의 톱밥병재배를 실시한 결과 참나무톱밥 + 미강(4 : 1)배지가 배양속도와 균사밀도는 가장 높았지만 자실체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반면에 참나무톱밥 100% 배지는 균사밀도와 배양속도는 낮았지만 병배지에서 자실체를 형성할 수 있었고 850 ml병에 비해서 1,100 ml 병 처리가 수량성과 생체효율이 약간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고품질 다수확 원목 상황버섯 재배 경영사례 조사 (Study Case on the Log Cultivation of Phellinus baumii for It's High Quality and Large Quantity)

  • 서규선;장현유;김순근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153-167
    • /
    • 2008
  • High temperature and natural sun light are considered as the core conditions for high quality and large quantity of Phellinus baumii production. However still now on there has been a mistake of excessively cutting off the natural light by spreading the closing nets on the mushroom cultivating house. For an example there are many houses where the closing nets under the roofs be extended to cover the sides of the houses, which way prevents the mushrooms in the houses from receiving sufficient natural sun light and getting the temperature sufficiently to grow so that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produced mushrooms are lowered even though the mushrooms can grow in those conditions. In order to avoid this mistake, the closing nets must be placed on the roofs of the houses only without dropping them to cover the sides. Further more when the closing nets are placed triply at the beginning stage of Phellinus baumii's growth in the house, the nets restr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e going up and intercept the natural bright light flowing into the house so that the growing tardiness occur to the Phellinus baumii. Therefore the roof only must have been covered by the closing net for 65% cutting off the light until May, and then covered by double folded the net for June, triple folded the net for July and August, double folded the net for September, and the single net for October. When the ventilation in the house has been maintained until the house tightly balloon out through controling lifting force of internal air, the Phellinus baumii can grow well while the bed logs themselves aren't dried out. Marketing is also very much important as well as increasing quality and quantity of Phellinus baumii production.

수 종 상황버섯의 조다당 분획물 조성 (Composition of Crude Polysaccharides in Some Phezllinus Species)

  • 박미정;안미정;김진웅;제금련;이흠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31-135
    • /
    • 2007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거나 수입되어 유통되는 4종 Phellinus속 버섯(구멍쟁이버섯과)의 조다당 분획물의 조성을 비교함으로써 각 종간의 차이에 의한 성분조성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상황버섯의 활성 분획 중의 한 유효성분인 조다당 분획물을 에탄올 냉침법으로 제조한 결과, 조다당 분획물의 취득률은 P. linteus 15.0%, P. baumii 5.1%, P. pini 6.3%, P. igniarius 5.7%로 Phellinus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그 다당체를 조성하고 있는 단당의 함유량도 버섯의 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즉, P. linteus의 경우, 건조중량 1 g 당 함유된 당의 총량은 148.713 mg/g이 었으나, P. baumii는 29.022 mg/g, P. pini는 29.222 mg/g으로 P. lintues의 약 1/5정도의 당 함유량을 나타냈으며, P. igniarius는 P lintues의 1/100정도인 1.546 mg/g의 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모든 Phellinus 속 버섯에서 glucose의 함량이 월등하게 많았으며, 함유되어 있는 각 단당들의 절대량은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P. linteus는 mannose와 ribose가 P. baumii와 P. pini보다 적은 양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그 외의 모든 단당을 월등하게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P. baumii와 P pini는 arabinose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든 단당의 함량이 유사하였다. P. igniarius는 거의 모든 당의 절대량이 다른 Phellinus 속 버섯에 비하여 매우 적었다.

Ribosomal DNA의 ITS부위에 대한 RFLP 분석에 의한 Phellinus baumii PMO-P4의 유전학적 특성 (Genetic characterization of Phellinus baumii PMO-P4 by analyzing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of nuclear ribosomal DNA internal transcribed spacers (ITS))

  • 장윤희;김태락;김현수;여익현;이상윤;하효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3-47
    • /
    • 2006
  • 국내에서 재배하여 생산되고 있는 상황버섯의 일종인 PMO-P4균주에 대한 ITS 영역의 염기서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목질 진흙버섯으로 잘 알려져 있는 P. linteus와 함께 RFLP분석을 통하여 상호 비교한 결과 PMO-P4균주는 P. baumii로 판명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미 보고되어 있는 Phellinus속 균주들과의 종간 ITS 영역의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48.6%-72.2%였으며 본 연구에서 비교한 종들 가운데서는 P. linteus와 상동성이 가장 높았으며 P. gilvus와 상동성이 가장 낮았다.

  • PDF

β-glucan 함량과 관능검사를 통한 상황버섯 품질기준 모색 (Exploring the quality standard of Phellinus spp through β-glucan content and sensory evaluation)

  • 신용욱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47-52
    • /
    • 2017
  • Objective : Phellinus spp. mushroom is an object of interest because it has excellent anticancer effect. Owing to the similalarities in the morphology, Phellinus linteus and Phellinus baumii are often used as same Sang Hwang Mushroom in the Korean market.. The quality control for mushrooms is needed because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efficacy according to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area. Therefore, a reliable authentication method of these herbal medicine is necessary to compare and measure the amount of beta-glucan which is known to have a hypoglycemic effect, from the mushrooms collected in various regions Methods : 7 samples of medicinal mushrooms supplying phellinus spp. were collected in Korea, China and Cambodia. We investigated the hardness, colors, extract ratio,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ies, glucose transporter 4 (GLUT-4) expressions of water extracts from Phellinus spp and also MTT assay were examined for cell toxicity. Results : The results revealed that Phellinus spp.water Ext.inhibited ${\alpha}-glucosidase$ activity. glucose transporter 4 (GLUT-4), the key insulin signaling pathway transcription factor, was remarkably increased by the Phellinus baumii water extract Conclusions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ore yellowish the mushroom is, the lower the hardness, the more the content of ${\beta}-glucan$ is proportional. Because the more ${\beta}-glucan$, the greater the effect of hypoglycemia. compared to the hypoglycemic effect, Phellinus Baumii grown at hanging on selves for 7 month in the green house is the best.

Molecular Detection of Phellinus linteus and P. baumii by PCR Specific Primer

  • Nam, Byung-Hyouk;Kim, Gi-Young;Park, Hyung-Sik;Lee, Sang-Joon;Lee, Jae-Dong
    • Mycobiology
    • /
    • 제30권4호
    • /
    • pp.197-201
    • /
    • 2002
  • Specific primer sets based on ribosomal DNA(rDNA) internal transcribed specer(ITS) sequences were designed for rapid detection of Phellinus linteus and P. baumii.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with these primers produced unique bands for each Phellinus species. The annealing temperature range is from $40^{\circ}C\;to\;55^{\circ}C$. The length of PCR products(P. linteus and P. baumii) using designed combinative primer sets of PL1F, PL2R, PB1F, PB2R, ITS5F and ITS4R, were from 520 by to 730 bp. Fifteen strains of Phellinus species including P. linteus, P. baumii, P. weirianus, P. johnsonianus, P. rhabarberinus, P. pini, P. gilvus, P. igniarius, P. nigricans and P. laevigatu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ive strains, including two isolated strains of P. linteus(MPNU 7001 and MPNU 7002), and two isolated strains of P. baumii(MPNU 7004 and MPNU 7005) were shown to have about 520 bp (PL1F-PL2R), 700 bp (TTS5F-PL2R) and 600 bp (PB1F-ITS4R) -sized PCR single bands respectively. This molecular genetic technique provided a useful method for rapid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of P. linteus and P. baumii.

Phylotype에 의한 수종의 Phellinus속의 분류체계 확립 및 종간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 개발 (Taxonomical Classification and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Genus Some Phellinus using Phylotype)

  • 김성윤;이재윤;김기영;이기원;박재민;김문옥;이태호;이재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21-128
    • /
    • 2003
  • 국내 유통균주에 대한 Phellinus속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 종간구별을 위한 신속동정법을 개발하기 위해 계통학적 정보를 지니고 있는 ITS1, 5.8S rRNA및 ITS2부위의 염기서열을 밝히고 ITS1과 ITS2 부위의 다양한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상황버섯으로 시판되고 있는 국내유통균주는 총 9균주로서 P. pini가 4종, P. baumii가 3종, P. igniarius와 P. linteus가 각각 1종으로 확인되었으며 P. gilvus은 조사되지 알았다. 그 중 P. pini는 대부분 중국에서 수입된 제품이었고 P. igniarius를 포함한 P. baumii는 주로 북한산 제품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P. linteus와 P. baumii는 변이가 높은 ITS1 , ITS2 부위에서도 다른 종에 비하여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어 종 특이적인 유전자 탐침이 유효하지 않은 반면에 P. igniarius, P. pini, P. gilvus종에 대한 detection primer로 각각 IF1-IR3, PF1-PF3, GF2-FR4 primer는 유전자 탐침이 유효함을 확인하였다. 유연관계가 아주 가까운 P. linteus와 P. baumii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위해서는 변이가 심한 ITS 부위와 보존성이 높은 18S rDNA 부위의 염기서열을 함께 분석, 비교하여야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상황버섯, Phellinus linteus 계통과 Phellinus baumii의 항 혈소판 응집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Sanghwang mushrooms, Phellinus linteus strains and Phellinus baumii, on platelet aggregation)

  • 강희완;이만휘;여운형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24-128
    • /
    • 2017
  • 국내 상황버섯 재배 종인 Phellinus baumii (PB, Jangsu sanghwang), P. linteus (PLK, Korea Sangwhang), 그리고 P. linteus HN00k9 (PLH) 자실체의 methanol 추출물의 혈소판 응집 억제와 ATP release 감소효과를 조사하였다. PB, PLK, PLH methanol 추출물을 전 처리하고 혈소판 응집촉진물인 collagen (2.5 ug/ml), ADP (10 uM), thrombin (0.1 U/ml) 처리에 50ug/ml에서 200 ug/ml 농도에서 50%에서 95%의 혈소판응집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ATP release 감소효과는 200 ug/ml 농도에서 ADP(10 uM) 처리 혈소판에서 60%에서 50%로 나타났으며 이는 Phospholipase C의 inhibitor인 U73122 (4 uM)과 calcium chelator인 EDTA (1 mM)에 비하여 20%이상 높게 나타났다. 본 결과로부터 상황버섯 PB, PLK, PLH 메탄올 추출물은 심혈관계질병을 예방 하는 유용한 소재로 활용 가능 할 것으로 사료 된다.

기주식물에 따른 목질진흙버섯의 일반성분(무기물) 함량변화 I (Component(mineral) difference of Phellinus linteus on cultured to timber)

  • 이수원;한기원;장원철;이대진;정동식;이영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00-104
    • /
    • 2005
  • 두 종류의 목질진흙버섯인 P. linteus와 P. baumii를 뽕나무, 참나무, 느릅나무등 3가지의 기주식물에서 자실체를 발생시켜 무기물의 함량을 ICP 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균주 및 기주식물에 따라 무기물의 커다란 함량 차이를 확인하였다. 다량 함유 무기물중 K은 두 균주 모두 가장 많은 무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참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K의 함량이 두배 정도 높았고 Ca은 뽕나무의 함량이 특히 높았다. Fe은 특히 느릅나무에서 재배한 자실체의 Fe 함량이 월등히 적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량 함유 무기물은 Na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하여 두 균주 모두 참나무에서 재배된 자실체의 Na 함량이 10배나 크게 함유되었다. 또한 P. linteus의 무기물 함량 특징은 극미량 원소중 Zn가 원목에 따른 함량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Mn의 함량 또한 참나무 재배 자실체에서 3배 정도 높게 함유되었다. 그리고 무기물만의 함량으로 P. linteus와 P. baumii를 구별하는데 Zn의 함량을 측정할 수는 있으나 Zn 만으로는 판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을수 있으나 형태적으로 P. linteus와 P. baumii의 자실체의 모양이 차이가 뚜렷한 차이를 보여 무기물의 함량을 측정하며 P. linteus와 P. baumii가 어떤 원목에서 재배되었는가를 판정할수 있는 자료로 연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