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mobility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9초

합성곱 신경망 기반 물체 인식과 탑승 감지 센서를 이용한 개인형 이동수단 주행 안전 보조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Personal Mobility Safety Driving Assistance System Using CNN-Based Object Detection and Boarding Detection Sensor)

  • 손권중;배성훈;이현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11-218
    • /
    • 2021
  • 최근에 전동킥보드와 같은 개인형 이동수단의 보급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교통사고 발생 건수도 크게 늘고있다. 개인형 모빌리티가 자세 안정성이 낮고 탑승자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도 사고나 낙상 사고의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전동킥보드 사고 방지를 위해 본 논문은 주행 보조 장치로써 자동긴급제동시스템과 안전시동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인공지능 기반 물체 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주변 위험 요소를 탐지하고 자동으로 제동을 걸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탑승이 확인되기 전까지 장치의 시동을 보류하는 안전시동시스템도 개발하였다. 상용차와 주행 조건이 매우 다른 개인형 이동 수단에 특화된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 융합 기술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Development of Smart driving monitoring device for Personal Mobility through Confusion Matrix verification

  • Han, Ju-Wan;Park, Seong-Hyun;Sim, Chae-Hyeon;Whang, Ju-W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61-69
    • /
    • 2022
  • 배달산업이 COVID-19 상황과 함께 요식업을 중심으로 크게 성장함에 따라 배달업 종사자가 크게 증가했다. 그와 함께 개인형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 PM)를 활용한 새로운 배달 형태가 등장했으며, 이륜차 혹은 PM 관련 사고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안전 배달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PM의 주행 분석 장치의 제작한다. 이를 위해 주행 분석 장치와 장치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처리하는 시스템을 구성했으며, 이 시스템을 통해 PM의 운전상황에서 운전 중 발생할 수 있는 특수한 상황(가/감속, 과속방지턱 통과)을 인식하고 기록하고자 한다. 그 결과 장치 내 측정 센서(IMU)에서 수집한 각속도, 가속도, 지자기 값을 통해 운행 여부 및 인도 주행 여부, 경사로 주행 여부를 판단해 낼 수 있었다. 이 기술은 기존의 영상기반 기록장치보다 약 1600배 이상의 주행 정보 저장 효율을 달성할 수 있었다.

고령자용 개인교통수단 개발 사양 정의를 위한 보행환경 조사 (Walking Environment Survey for Development of Specification on Personal Mobility (PM) Device for Elderly)

  • 김영민;김지수;문병섭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56-168
    • /
    • 2017
  • 개인교통수단(PM)은 개인의 이동편의를 향상시켜준다는 측면에서 보행능력이 떨어지는 고령자가 주요 활용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가 보도 등 보행환경에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개인교통수단을 설계하고자 한다. 보행환경에는 다양한 통행 장애요인이 존재하며, 개발하고자 하는 수단은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기기 성능이 확보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용 개인교통수단의 성능수준 결정을 위하여 보행환경 상 통행 장애요인 현황 및 수준을 조사한다. 관련 지침을 검토하여 조사 대상 항목 및 조사 방법론을 정의하고, 고령자 일상생활 기반 통행 시나리오를 통해 선정된 특정 도로구간에 대하여 조사를 수행한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단의 기기 성능을 지침 상 제시된 기준에 근거하여 확보하였을 때 발생 가능한 문제점을 확인하며, 장애인용 전동휠체어의 운전 성능 기준을 근거하여 개발 수단의 기기 성능에 대한 요구사항을 정의한다.

감염병 대응 개인보호복의 동작성 및 열적 쾌적성: 보호 수준 및 여성 착용자 체격의 영향 (Mobility and Thermal Comfort Assessmen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for Female Healthcare Workers: Impact of Protective Levels and Body Mass Index )

  • 김도희;전영민;이호준;강경리;이초은;이주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23-136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mobility and thermal comfort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among female healthcare workers, taking into account wearers' physique and PPE protection levels. A total of 16 participants (age: 26.3 ± 8.3 y, height: 161.5 ± 7.3 cm, body weight: 57.1 ± 11.0 kg, BMI: 21.9 ± 3.6), representing diverse body types, underwent four PPE conditions: L (Low_Plastic gown ensemble), M (Medium_Tyvek 400), H (High_Tyvek 800J with Powered Air Purifying Respirator [PAPR]), and E (Extremely high_Tychem 2000 with PAPR, Bib apron, and Chemical-resistant gloves). The mobility protocol consisted of 10 different tasks in addition to donning and doffing. The 10 tasks were repeated twice at an air temperature of 24.3 ± 0.1℃, 59±4%RH. Findings revealed a dis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PPE protection and wearer discomfort.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othing microclimate and total sweat rate were observed between the lowest (L) and highest (E) protection levels (p < 0.01), while distinctions among medium levels were inconclusive. Subjective evaluations favored conditions H and L over M and E (p < 0.05), indicating reduced heat, and humidity, increased comfort, and lower exertion. Instances of mobility discomfort, specially in the small body type group, underscored the need for a suitable PPE size system for Korean adult female medical workers. Furthermore, enhancements in gloves, shoe cover, and PAPR hood designs are essential for improving ease of movement and preventing hindrance.

딥러닝 객체 인식과 증강현실 기술을 적용한 개인 이동장치 HMD용 어플리케이션 설계 (Design of HMD Application for Personal Mobility Equipment using Deep Learning Object Recognition and Augmented Realism Techniques)

  • 김강규;이종명;유서연;천승현;백정윤;하옥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39-40
    • /
    • 2022
  • 최근 전동 킥보드, 전동휠, 전기 자전거 등 개인형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의 보급이 늘면서 관련 인명 교통사고가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형 이동수단의 사용위험 및 사고 감소를 목적으로, 딥러닝 객체탐지 기술을 적용하여 다양한 위험요소를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HMD(Helmet mounted display)에 표시하는 '딥러닝 객체 인식과 증강현실을 적용한 개인 이동장치를 위한 HMD(Helmet Mounted Display)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한다. 제시하는 방법은 실시간으로 수집된 전방의 실시간 영상 정보를 객체 탐지 알고리즘을 통해 위험요소 및 안전한 주행을 보조하는 객체를 감지하고 증강현실을 적용해 사용자에게 적절한 운전 보조장치 및 기능을 제공한다.

  • PDF

중앙119구조본부 소방대원용 화학 보호복과 방열복의 동작적합성 평가 및 디자인 개선 (Enhancing Design and Evaluating Mobility of Firefighting Chemical and Flame Protective Clothing for the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 ;김도희;이주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20-533
    • /
    • 2023
  •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 test protocol for evaluating the mobility of firefighting chemical and flam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for the National 119 Rescue Headquarters in Korea and suggested ergonomic design factors to improve their mobility and performance. Six types of PPE were employed, including three types for flame protective PPE (5 ~ 6 kg excluding the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and three types for chemical and flame protective PPE (8 ~ 11 kg). These PPEs are used by the 119 Rescue firefighters. Three male firefighters (34.3 ± 1.2 y in age, 175 ± 8 cm in height, 81 ± 13 kg in body weight) participated in the mobility test and interview. A mobility test protocol consisting of 16 components (nine postures and seven motions including a dexterity test) along with a visibility test were developed based on pre-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lothing microclimate humidity on the neck and chest exceeded 85%RH on average for all the six PPE conditions, with the chest area reaching as high as 98%RH. This high humidity caused fogging inside the visor and impaired visibility. The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PPE design in terms of mobility varied depending on whether it was the separated types or all-in-one types, particularly regarding the hood and gloves desig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improve the design of Level A_PPE for firefighters. The mobility test protocol and visibility test developed in this study can also be applied to other types of Level A impermeable PPE.

모빌리티 빅데이터 가상결합 분석방법론 연구 (Development of Virtual Fusion Methodology for Analysis Via Mobility Bigdata)

  • 조범철;권기훈;안덕배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5-90
    • /
    • 2022
  •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경제사회 환경 변화와 빅데이터 기술의 발달로 교통분석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3법 개정에 따라 이종 데이터 간 가명정보 결합이 가능해져 다각적인 분석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 강화로 모빌리티 빅데이터의 결합분석에는 데이터 협력, 비용대비 효과 등에 한계가 있어 새로운 분석방법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모빌리티 빅데이터 가상결합 방법론"은 법제상의 제약 해소 및 다각적인 교통분석을 위한 것으로, 모바일 통신 기지국 데이터, 교통카드 데이터 등 다양한 모빌리티 관련 빅데이터를 간접적으로 결합하여 상세 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론이다. 가상결합은 모바일 데이터를 바탕으로 특정 인원의 시간대별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MCGM(Mobility Comprehensive Genetic Map)을 생성하여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교통카드데이터 등 교통관련 빅데이터와 결합시켜 분석하는 방법론으로 본 연구에서는 청주, 수도권 대상으로 가상결합 분석을 수행하여 활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Wireless u-PC : 무선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이용한 개인 컴퓨팅 환경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서비스 (Wireless u-PC: Personal workspace on an Wireless Network Storage)

  • 성백재;황민경;김인정;이우중;박찬익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4권9호
    • /
    • pp.916-920
    • /
    • 2008
  • 개인 컴퓨팅 환경은 사용자에 특화된 응용프로그램 및 설정, 사용자 데이타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써, 노트북, UMPC 등의 휴대용 컴퓨팅 H/W는, 어떤 곳에서도 항상 개인에게 특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작업 가능하도록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가상화 기술 및 휴대용 스토리지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개인 컴퓨팅 환경 이동성 지원 기술이(c.f. VMWare Pocket ACE[1], Mojopac[2], u-PC[3] 등) 등장함으로써, 공용 PC 상에 자신의 컴퓨팅 환경을 로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의 이전 연구로써, u-PC[3]에서는 UPnP 및 iSCS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사용자 영역 네트워크(PAN)상에서 자동 검색 및 구성이 가능한 무선 스토리지 기술과, Windows 운영체제 상에서 구동 가능한 개인 컴퓨팅 환경 이동성지원 기술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u-PC 기술에서는, Windows 운영체제 상 Filter Driver 계층에서 IRP(I/O Request Packet) forwarding을 이용하여 개인 컴퓨팅 환경의 이동성 지원 기술을 구현함으로써, 제한적인 응용 프로그램만 구동 가능한 한계점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Windows 운영체제 상 System Call Hooking 기법을 이용하여 운영체제 가상화 기술을 구현하고, 개인 컴퓨팅 환경의 이동성을 지원함으로써, 기존 논문에서의 한계성을 극복하였으며, VMWare Pocket ACE, Mojopac 등의 단점인 개인 컴퓨팅 환경의 구동 초기화 오버 헤드를 극복하였다. 또한, Ultra Wide Band (UWB) 기반 고속 무선 네트워크 상 적용 가능한 무선스토리지 기술을 개발하고, 개선된 u-PC 플랫폼을 연동하여 다양한 형태의 개인 컴퓨팅 환경 사용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기술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개인 행위주체의 네트워크 형성 과정에 대한 공간적 고찰: 고령친화산업의 제도구축 네트워크를 사례로 (A Spatial Study on the Network Formation Process of Personal Actors: The Case of Institutional Building Networks in Industries for the Elderly)

  • 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34-34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령친화산업의 개인 행위주체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지식창출 과정(SECI/ba 모델)에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고령친화산업과 관련된 해외탐방단, 세미나, 심포지엄, 각종 협의회, 교육프로그램, 사이버공간의 포럼 등은 사회화, 외부화, 종합화, 내면화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장(場)을 제공하였다. 이러한 만남의 장(시작의 장, 상호작용의 장, 사이버 장, 실행실습의 장)을 통해서 개인 행위주체들은 동일 지역에 입지하지 않더라도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네트워크 형성 과정을 공간적 측면에서 고찰해 보면, 개인의 이동성을 이용한 일시적 지리적 근접성이 중요하고, 이를 통해 개인 행위주체들은 대면접촉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었다. 또한 인터넷 커뮤니티 등 가상공간에서의 만남이 네트워크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 PDF

Moving to a Holistic Model of Health: The Need to Join Person and Environment for Persons with Mobility Disabilities

  • 김경미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
    • pp.365-38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s of health among people with mobility disabilities in order to develop a new holistic model of health and to identif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 qualitative study based on face-to-face interviews with people with mobility disabilities was conducted. Nine consumers and nine social workers with mobility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Social constructionism, heuristic paradigm, empowerment paradigm, and strength perspectives were used to form conceptual foundations to guide the study. Study participants' holistic descriptions of the concept of health encompassed five domains: biological/physical, mental/emotional, finan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and spiritual. Participants described health as harmony among these five domains. Harmony indicates that all five domains contribute to the concept of health, and that each domain is related to the others. Participants also viewed disability and health as an interconnected whole, not separate concept. The conceptu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expands on the existing concepts of health by considering multiple factors at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levels, as well as interactions among the factors and between the levels. The personal level has five domains: biological/physical, mental/emotional, spiritual, financial, an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environmental level has also five domains: relationship with others, financial, social programs, social attitudes toward peoplewith disabilities, and physical environment. All factors under the personal and environmental levels also affect each other. The holistic concept of health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s not solely a part of the person, but rather is a func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rson and their environment. The study demonstrated that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strength and resiliency, and health is an attainable goal for them, particularly when environmental and cultural barriers are addressed. The focus of social work practice should be the removal of those barriers encountered by their consumer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the enhancement of internal factors that facilitate well-be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