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검색결과 548건 처리시간 0.03초

보건의료데이터 활용을 위한 국내 법률검토 및 의료분쟁에 대한 조정 제도 고찰 (The Study on the Review of Domestic Laws for Utilizing Health and Medical Data and of Mediation for Medical Disputes)

  • 변승혁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31권2호
    • /
    • pp.119-135
    • /
    • 2021
  • South Korea has the most advanced technolo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ecause of its high-speed Internet commercialization. However, the industry is shrinking due to its various regulations in building and its utiliz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s big data. Currently, South Korea's personal data utilization business is in its early stage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difficult for startups to use data. There are various causes here. Above all, legal regulation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are emphasized. This study confirms that transactions of personal medical records through My Data can be made. Moreover, it confirms that there is a need for a mediating role between stakeholders. This study lacks statistical acces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stakeholder roles. However, personal medical records will be traded safely in the future, and new subjects will enter the market. Furthermore, the domestic bio-industry will develop. Through this study, various problems were derived in establishing Medical MyData in Korea. Moreover, it looks forward to continuing various studies in the health care sector in the future.

의료기관 개인건강정보의 이차적 이용 (The Protecton of Privacy on Secondary Use of Personal Health Imformation)

  • 김장한
    • 의료법학
    • /
    • 제11권1호
    • /
    • pp.117-143
    • /
    • 2010
  •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ies, the information obtained during the medical procedures was working as a source of valuable assets. Especially, the secondary use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gives the ordeal to privacy protection problems. In korea, the usage of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is basically regulated by the several laws in view of general and administrative Act like Medicine Act, Public institution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formation-Network Act etc. There is no specific health information protection Act. Health information exchange program for the blood donor referral related with teratogenic drugs and contagious disease and medical treatment reporting system for income tax convenience are the two examples of recently occurred secondary use of health information in Korea. Basically the secondary use of protected health information is depend on the risk-benefit analysis. But to accomplish the minimal invasion to privacy, we need to consider collection limitation principle first. If the expected results were attained with alternative method which is less privacy invasive, we could consider the present method is unconstitutional due to the violation of proportionality rule.

  • PDF

중소형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안실태 및 개선방안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Medical Institutions)

  • 신민지;이창무;조성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23-132
    • /
    • 2019
  • 급격한 IT 기술의 발달 및 환경의 변화로 새로운 보안 위협이 나타나고 있다. 공격자들은 상대적으로 사이버 범죄 공격의 예방과 방어에 미흡한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환자의 민감한 개인정보 유출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16년부터 상급종합병원을 대상으로 ISMS 인증을 의무화하여 의료보안을 강화하고 있지만, 광범위한 보안체계 및 인증은 중소형 의료기관이 수행하기에 한계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형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관리적, 물리적, 사이버 영역으로 구분하여 의료기관의 개인정보 보안실태 파악 및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중소형 의료기관의 개선방안으로 의료보안 전문인력 투입, 의료보안 교육 및 보안 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 재난·재해에 대비할 수 있는 보호 대책 마련, 중소형 기관에 적합하지 않은 의료정보관리 규정 폐지 및 축소, 정부 차원에서 경제적 지원 및 관리·감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의무기록 보안표준화에 대한 고찰 (The Consideration about an Electronic Medical Record Security Standardization)

  • 박두희;송재영;이남용
    • 정보관리연구
    • /
    • 제36권1호
    • /
    • pp.125-154
    • /
    • 2005
  • 인터넷의 발달로 개인정보의 수집 및 이용이 일상화됨에 따라 개인정보의 침해가 급속도로 확대 되고 있다. 의료분야에 대한 개인정보보호에 대해서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등에 체계적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법적용 대상이 정보통신 서비스 제공자 위주로 규정되어 의료분야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의료기관이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에 보안을 적용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개인의료정보 보호방안에 대해 정의하고, 적용근거를 위한 법 제도의 검토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자의무기록에 대한 전자서명의 구체적인 적용방안을 예시하여 의료분야에 있어서 보안적용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개인의료정보보안인식이 편의성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Personal Health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on Convenience)

  • 박정홍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600-6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이용 경험이 있는 일반인과 의료종사자 사이의 개인의료정보의 중요성, 개인의료 정보 관련 법규, 의료정보시스템에 관한 인식차이와 이를 토대로 병원이용 편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 이후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일반인 150부, 의료종사자 150부 총 300부의 설문을 회수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집단 간의 차이분석에서 일반인과 의료종사자 간의 인식의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그리고 성별, 연령별, 거주지별 집단 간에도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병원이용편의성에 있어서도 의료종사자들은 개인의료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이 강화되면 병원 이용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인식이 일반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가설 검정 결과에서는 개인의료정보의 노출 및 의료정보시스템에 관한 인식이 높을수록 의료기관 활용에 있어서 의사결정 편의성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개인의료정보보안 관련 법규에 관하여는 인식이 높아질수록 병원 이용의 의사결정 편의성과 거래 편의성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료정보보안에 대한 인식의 강화는 의료서비스를 제공받고 선택함에 있어서의 의사결정과 거래편의성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실증분석 했다는 것이다.

개인 의료정보 보호를 위한 블록체인 적용 방안: 프라이빗 블록 스킴을 중심으로 (A Blockchain Application for Personal health information: Focusing on Private Block Scheme)

  • 권혁준;김협;최재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4호
    • /
    • pp.119-131
    • /
    • 2018
  • In this paper, I research the issue of information security for medical information system of each parties. The outflow of the Personal medical information can lead to problems of medical systems and disadvantage to an individual. In this paper, we research the information security based on a blockchain. In addition, I have analyzed blockchain. I suggest a medical information system framework that can help to keep the privacy of patients by using a blockchain network. Also, In this paper try to explain using private blockchain for medical system. Blockchain can keep the integrity and transparency of the medical records. This research, shows how can build the private blockchain for medical records and how to get the integrity of Data from Private Blockchain and Distuributed Ledger Technology.

의료정보 표준에 기반 한 m-Health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m-Health Application based on Medical Informatics Standards)

  • 박현상;김화선;정현정;조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40-653
    • /
    • 2014
  • Recently medical consumers pursue high leveled quality of life through active promotion, prevention, management activity of health as the importance of health during home life is emerged to meet the aging society and chronic diseases. In addition, people are directed to the m-Health for managing yourself their health by using smartphone and various personal health devices, if necessary transmits health data to the physician himself. In the previous studies, m-Health Application were developed and applied in the real clinical environment by adopting the medical information standards was rarely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Health application platform was developed. Developed application was communicate with IEEE 11073 standard protocol using the Bluetooth Health Device Profile in personal health device via smart phone to process blood pressure information, and it converted to HL7 V2.6 ORU_R01 message for send to remote medical server. In addition, we tested the interoperability and safety of the developed application for 23 inpatient and 17 outpatient at D University Hospital. As a result, the blood pressure information has been transmitted without error.

IoT 환경의 의료 정보보호와 표준 기술 (Medical Information Security and Standard Technology On IoT Environment)

  • 우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11호
    • /
    • pp.2683-2688
    • /
    • 2015
  • 사물인터넷은 다양한 기술을 융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중 의료서비스 분야와의 융 복합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런 사물인터넷의 등장 및 성장과 함께 의료서비스가 진화할수록 개인의료정보의 유출로 인한 보안문제는 더 심각해질 것이다. 특히 유헬스 의료기기 등은 개인의 건강정보를 주로 다루기 때문에 의료 정보 만큼의 높은 수준의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헬스케어 산업에 사물인터넷의 도입은 의료정보보안이 전제 조건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물인터넷의 보안동향과 의료분야의 개인정보 유출사례, 개인의료정보의 생명주기에 따른 의료정보보호 방안과 표준기술을 분석한다.

PACS에서 의료영상정보의 익명처리와 관련된 법의 연구 (A Study on Laws Related to Anonymization of Medical Image Information in PACS)

  • 권대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27-637
    • /
    • 2022
  • 연구의 목적은 PACS에서 의료영상정보를 운영과 관리를 준수하고 환자의 개인정보를 익명처리하기 위한 필요성과 관리와 관련된 「의료법」, 「개인정보 보호법」과 「생명윤리법」에서 의료영상정보의 개인정보 관련법의 쟁점에 대한 내용을 연구하여 법의 일원화와 정합성을 위한 필요성에 대해서 문제를 제기하고 논의하고 제안하고자 한다. 의료영상정보와 관련된 정보 활용하기 위해서는 법적으로 명확한 적용을 위해 「의료법」 혹은 「생명윤리법」으로 일원화하고 법체계를 법의 정합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개인정보 보호법」 및 「생명윤리법」에서 일치하지 않은 쟁점들로 인하여 충돌할 가능성이 있어 의료영상정보의 활용 및 이용을 위한 기본적인 공통분모를 찾아내어 법의 조화를 이루는 법의 체계적인 정합성이 요구된다. 추가적으로 의료영상정보 및 개인정보의 민감할 사항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보호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임상에서 의료인 및 관리자들이 현실적으로 법을 적용하고 용이하게 실천이 가능한「의료정보보호법」을 제정할 필요성을 고려하여 추진하는 것도 필요하다.

의료소비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정보탐색 행태분석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Health Care Consumers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채유미;조우현;이선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4권4호
    • /
    • pp.389-398
    • /
    • 2001
  •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of health care consumer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f 1,507 persons who were selected through a multi-stage stratified area cluster sampling of the Republic of Korea, excluding the province of Jeiu-do. Personal were conducted through a door-to-door survey between 27 July and 10 August 1999. Results : 80.5% of respondents used more than one source of information and those $40\sim59$ years of age, female, a housewife or student and those who claimed a religion demonstrated more active information searching behavior. A personal informer was used significantly more in those $20\sim39$ years old, female, and those who claimed a religion. Clerical workers, those with post-secondary education and a monthly income greater than 2,000,000 won ($1500) were more actively used a public informer.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older persons used an experimental informer when they chose a health care institution. Conclusion : Regardles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 and experimental informers were the most useful source of information. Because appropriate information was not easy to obtain, the health care consumer was dependent upon word-of-mouth communication(personal informer) when using health care servic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