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son-Job Fi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6초

사회복지조직구성원들의 근무환경에서 개인-직무부합이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erson-Job Fit on Organizational Devianc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Members' Work Settings -Focus on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오창택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4권3호
    • /
    • pp.101-12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직무부합이 조직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이러한 과정에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정서몰입과 근속몰입)의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사회복지조직에 재직하고 있는 일반직원 53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직무부합은 직무만족, 정서몰입, 근속몰입에 정적 영향을 직접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만족도 정서몰입과 근속몰입에 정적 영향을 직접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직무만족과 정서몰입은 조직일탈행동에 부적영향을 직접 주며, 이들 중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만족이 상대적으로 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개인-직무부합이 정서몰입과 근속몰입에 미치는 과정에서 직무만족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였고, 직무만족이 조직일탈행동에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몰입은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개인-직무부합은 직무만족과 정서몰입을 통해 조직일탈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서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시사점과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PDF

보건소 간호사의 개인-직무적합성과 조직지원인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조절효과 - (The Effect of Person-Job Fit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Job Satisfaction on the Public Health Center Nurses :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 박시현;권동연;남혜경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88-199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person-job fit as the basis for a better job environment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examining the causal relationships with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of 45 public health center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Method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th analysis, mediating effect, and moderating effect were verified for use by SPSS & AMOS 22 ver. to target to nurse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First, the person-job f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Seco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in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ull-time public servants and temporary public servants.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son-job fit, job satisfaction as a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mediated effect for nurses working at public health centers. The nurses in government service containing permanent and temporal employees was the adjustment effec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ability of public health center nurses to perform tasks related to person-job fit and the ability of the individual to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was high. In addi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was good.

직무적합이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의 의미와 직무몰입의 이중매개 효과 (The Dual Mediation of Work Meaningfulness and Job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job Fit and Career Satisfaction)

  • 정승철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145-157
    • /
    • 2023
  • 본 연구는 최근 직장인들과 인사담당자들의 관심을 받고 있는 직무적합, 일의의미, 직무몰입, 경력만족이 서로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서 이들 변인들은 직무적합에서 시작하여 일의의미, 직무몰입을 거쳐 경력만족에 이르는 경로가 논리적으로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283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1과 Process Macro를 통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무적합, 일의의미, 직무몰입, 경력만족은 각각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직무적합과 경력만족 간의 관계에 대한 일의의미와 직무몰입의 이중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의의미와 직무몰입, 경력만족 등의 긍정적 심리변인의 수준을 높여 인적자원의 이탈을 막고, 조직의 지속적인 성과를 위해서 직장인이 자신의 직무가 자신의 특성과 적합하다고 지각할 수 있도록 직무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 등을 결론에 제시하였다.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Nurses' Well-Being: Does Digital Competence Matter?

  • Li, Yali;Jing, Qi;Feng, Taiwen;Yang, Xiaoling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85-396
    • /
    • 2023
  • Purpose: Drawing on person-environment fit theory and social cognitive theory, 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self-efficacy affects nurses' workplace well-being via person-job fit and the moderating role of digital competence. Methods: A two-wave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ct data. Data were collected from six hundred and ninety-five nurses at three Chinese hospitals between May 2022 and September 2022. We employ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to analyze the data. Results: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person-job fit (β = .55, p < .001), which positively affected nurses' workplace well-being (β= .32, p < .001). Person-job fit mediate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nurses' workplace well-being. Additionally, digital competence strengthened the positive impact of self-efficacy on person-job fit (β = .12, p < .001). Conclusion: Recruiting nurses with both self-efficacy and digital competence benefits hospitals. It is critical for nurses to improve their digital competence for achieving person-job fit and attaining workplace well-being in the post-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era.

ERG요인이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 직무적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ERG Factors on Organizational Attachment: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Job Fit)

  • 장준호;경성림;김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23-28
    • /
    • 2021
  • 본 연구는 ERG 구성요소들인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에 초점을 맞춰 그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ERG 구성요소들이 직무적합성을 매개로 조직애착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조직애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핵심 변수로 직무적합성의 매개역할을 명확히 규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내 공기업, 서비스업, 제조업, 유통업 등에 종사하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ERG 세 개 하위요인들은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는 모두 직무적합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직무적 합성은 조직애착 수준을 높여주는 요소로 볼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더 나아가 개인직무적합성은 ERG 세 개 하위요인과 조직애착간의 관계에 있어서 모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통해 생존욕구, 관계욕구, 성장욕구 중에서 직무적합성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들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패밀리레스토랑 종사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환경적합성 요인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mployees' person-environment fit on employees' stress in the family restaurant)

  • 정효선;윤혜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09-715
    • /
    • 201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sider the influence of person-environment fit in the family restaurants on employees' stress. Based on total 274 samples obtained from empirical research from March 20 to April 10, 2013,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patrons in metropolitan area an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variables, 4 factors, i.e. person-organization fit(3 variables), person-job fit(3 variables), person-supervisor fit(3 variables), and employees' stress(5 variables) were extracted. The results showed that employees' person-organization f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male $4.43{\pm}1.45$; female $4.83{\pm}1.34$; p<0.05). In terms of employees' person-supervisor f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20' $3.08{\pm}0.99$, 30' $3.52{\pm}0.10$; 40' $3.71{\pm}1.07$; p<0.05). Also, the person-job fit(${\beta}$=-0.472; p<0.001), and person-supervisor fit(${\beta}$=-0.285; p<0.001) among the person-environment fi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employees' stres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erson-job fit on job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based psychological ownership)

  • 변희섭;이태식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275-284
    • /
    • 2023
  •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가 부족했던 개인-직무적합성과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직무기반 심리적 주인의식이 개인-직무적합성과 직무성과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결과를 국내에서 최초로 확인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와 더불어 능력적합이 직무성과에 미친다는 기대이론과 요구적합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사회교환이론을 뒷받침해주는데도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부서에게는 인적자원 선발시 직무에 적합한 인재를 선발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 시키고, 조직구성원들의 능력적합이 요구적합보다 더 큰 효과를 미치는 것을 감안하면 자기 능력에 맞는 직무에 배치하는 것이 정신적, 물질적 보상보다 더 높은 직무성과를 낼 수 있다는 점이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의 윤리적인 가치와 종사원의 개인조직적합성,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및 조직성과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패밀리레스토랑과 단체급식 종사원을 대상으로 (The Effects of the Business Ethical Value upon Person-organization Fi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 and Organization Performance;The Employees of Family Restaurant and Feeding Facility)

  • 정효선;윤혜현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5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mpirical cause-effect relationships among business ethical values and person-organization fi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within family restaurants and feeding facilities.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459 restaurant employees. The SPSS and Amos programs were then applied to the data to perform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SEM analyses. The primar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usiness ethical valu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person-organization fit. Second, person-organization fit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 Third,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turnover int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Finally, upon verifying the possibl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business ethical values within family restaurants and feeding facilities, it was determined that the ethical values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person-organization fit,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se findings have various implications. For example, an improved in-house ethical working environment leads to greaterperson-organization fit, and having employees that feel there is better in-house ethical reliability leads to greater consistency between personal and organizational values, resulting in higher job satisfaction and ultimately organizational performance.

학사학위전공심화과정 재학생들의 직무적합성, 상사적합성이 기술개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Junior College's Bachelor's Degree Course Students' Job-Fit and Supervisor-Fit on Intention to Skill Development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이철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05-1113
    • /
    • 2012
  • 본 연구는 학사학위전공심화과정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조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직무차원과 관계차원의 적합성이 기술개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규명하였으며 개인-직무적합성, 개인-상사적합성과 기술개발의도간의 관계에 있어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정결과 첫째, 개인-직무적합성, 개인-상사적합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직무만족은 기술개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직무적합성은 직무만족을 완전 매개하여 기술개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상사적합성도 직무만족을 완전 매개하여 기술개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들의 기술개발 활동에 이르는 과정을 환경적 요인으로부터 규명했다는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이자 이론적 시사점을 갖는다고 생각하며 기업의 인적자원관리 관점과 성인교육 관점에서 실무적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를 논의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개인-조직적합성과 개인-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The Person-organization Fit and the Person-job Fit of Public Officials in Charge of Social Welfare Impact on Job Enthusiasm: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tment)

  • 김종래;함현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2호
    • /
    • pp.117-12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적합성과 직무적합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함께 살펴보고자 하였다.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경우에는 격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심적 좌절감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이들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 것으로, 경기북부지역의 P시와 U시의 사회복지직 공무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중다귀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에는 개인-직무적합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도 부분매개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개인-조직적합성은 직무열의에 직접적인 영향은 나타나지 않으나 조직몰입을 통한 완전매개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은 개인 차원의 능력이나 목적, 요구 등이 직무와 부합하고 있고 직무열의를 보이고 있는 반면, 조직 차원의 조직적합성에서는 조직 가치나 구조 등에 있어서 일치정도가 나타나지 않아 조직 내에서의 일치성과 친화력이 부족한 것으로 평가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직무열의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조직 차원에서의 지원과 일체감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