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8초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예비 수학교사의 태도 변화 (Changing in Perception of Pre-Mathematics Teachers about Project-Based Learning.)

  • 김용석;김소형;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231-254
    • /
    • 2019
  • 교육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면서 학습자의 능동적 지식 구성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와 함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초 중 고등학생들에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예비 교사들에게 그대로 적용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중 고등학교시절 학습자 중심 수업에 대한 경험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1년 동안 진행하여 그들의 태도 변화를 알아보았다. 예비 수학교사들은 중 고등학교시절 그룹 토론과 모둠 활동보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 대한 경험이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그들의 태도에 대해 요인분석을 진행한 결과 '수업효과,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활용 및 참여', '성취감',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보급', '학생의 동기 부여'의 다섯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예비 수학교사들은 학생들의 동기를 부여할 수 있다는 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를 보였으나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보급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의 성취감에 대한 태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 변화를 보였으나 교사가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하는 것은 즐거운 일이라는 태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학생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활용하거나 수행하는 것은 쉬운 일이라는 태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태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교대생과 초등교사의 과학-기술-사회(STS)에 대한 인식도 조사 (The Examination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학 Perceptions about Science - Technology -Society(STS).)

  • 김맹희;권치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8권1호
    • /
    • pp.29-3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and compare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about Science-Technology-and Society (STS), particularly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technology, their interaction within society, and the epistemology of science. Large percentag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understood to perceive as follows : 1. they regarded the science as 〃Knowledge scheme aiming content'and technology as 'skill for solution of actual problems'. 2. they revealed themselves to perceive tat science/ technology influence our lives through new terms and ideas, that science/ technology is affected by governmental policies and that all the people concerned including scientist and technologist should participate in the course of decision making. 3. they perceived that scientist perform their studies by characteristic abilities and that the studies are affected by their religious viewpoint. Moreover, they were understood to perceive that scientific knowledge are constructed through social interaction. 4. they perceived that scientist discover and develop scientific laws by scientific methods such as verification and certification, and that those scientific laws could be changed later.

  • PDF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Free Play and the Roles of Teachers)

  • 엄은나;서동미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1-128
    • /
    • 2015
  • 본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자유선택활동 시간의 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현재 유아교육과 3학년에 재학 중이며 보육실습에 참여한 학생 69명이 실습 중에 작성한 반성적 저널 및 은유하기와 이미지 그림, 면담 기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한 자유선택활동의 의미는 '가슴 설레는 축제', '울타리 있는 놀이터', '배움을 찾아가는 여행'으로 요약될 수 있으며, 자유선택활동 시간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함께 하는 교사', '끌어주는 교사', '바로잡아주는 교사', '북돋아주는 교사'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유아교사들이 자유선택활동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균형 잡힌 시각과 인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직전교육과정을 통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중등수학 예비교사 교육에서 협동마이크로티칭의 활용 가능성 탐색 (The utilization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 이봉주;윤용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3호
    • /
    • pp.399-4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ggest using cooperative microteaching i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education based on their perceptions of it after actual application case. The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hat cooperative learning came into the highlight as a good method to cultivate teachers' competencies fo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s well as students' creativity and character in the mathematics classroom. 20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ir cooperative microteaching and 16 of them responded to the survey. The collected data showed that the merits of cooperative microteaching are to ease the burden of preparing for class, to discuss how to teach mathematics, to debate what lesson is better, to receive valuable feedback form their peer, and so on. Also, it provided them with the chance for self-improvement in that they kept to make up for the week points in their teaching behavior. Meanwhile, they wanted longer time to experience their teaching and their own lesson.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 수업지도안 분석을 중심으로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structional Design: Based on Lesson Plan Analysis)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421-428
    • /
    • 2021
  • 본 연구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 간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을 연구 참여자인 C교육대학교 4학년 재학 중인 예비초등교사 84명에게 분석토록 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분석내용의 빈도 차이가 가장 많은 영역은 '학습안내 제시' 영역인 것으로 나타났다. 카이스퀘어 검증 결과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영역 별 빈도 차이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 교수요소 별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면과 비대면 간 분석의 빈도 차이가 두드러지게 큰 교수요소는 '매체 및 테크놀로지 활용'과 '학습자와의 상호작용' 요소인 것으로 밝혀졌다. 대면과 비대면 수업지도안 간 '학습안내 제시' 영역 내의 교수요소별 빈도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초등교사의 대면과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는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주는 것으로 향후 예비교사의 교사전문성 제고를 위해 특히 비대면 수업의 교수설계에 대한 인식에 초점을 맞춘 교사양성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예비 사서교사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 조사 - 심층 면담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 (Perception on the Education Practicum of Pre-service School Librarian Teachers: Focusing on the Analysis of In-depth Interview Data)

  • 임정훈;강봉숙;박주현;한상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75-95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통해 현행 교육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실습 제도의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교육실습에 참여한 예비 사서교사 33명(사범대학 6명, 교직이수 16명, 교육대학원 11명)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 기법과 함께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혼합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사서교사는 교육실습을 통해 다양한 현장의 경험을 예비할 수 있고, 향후 학교 현장에서 마주칠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질적 탐구를 통해 학교현장실습 전반에 대한 인식과 학교현장실습 과정에 대한 인식, 교육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현행 교육실습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학교현장실습 기간의 확대, 시기의 분산, 상시실습 체계의 구축, 현장교사와 지속적인 논의, 체계적인 학교현장실습 프로그램의 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교육 실습 기간에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웹기반 반성저널의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Web-based Reflective Journals Written During Teaching Practicum)

  • 차정호;최원수;노태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3권1호
    • /
    • pp.133-141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작성한 웹기반 반성저널을 분석하였다. 예비 과학교사들에게 4주간의 실습 기간 동안 매주 최소한 2개 이상의 반성저널을 웹 게시판에 작성하도록 안내하였다. 최종적으로 23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작성한 307개의 웹기반 반성저널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제 영역과 반성적 사고 수준을 분석하였다. 반성저널은 대부분 수업 준비나 자신의 수업에 대한 성찰과 같이 과학 수업 활동과 관련된 것들이었으며, 실습 진행에 따라 점차 빈도가 증가하였다. 과학 수업 활동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179개의 반성저널의 반성적 사고의 수준을 분석한 결과, 반성적 사고가 포함된 반성저널은 53개(29.6%)였는데, 상위 수준의 반성적 사고(전문적 반성과 비판적 반성)는 매우 적었지만, 상당수의 예비교사들이 웹기반 반성저널 쓰기 활동이 자신의 수업을 되돌아보고, 교육실습 활동의 기록을 남기는 데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 PDF

AI 활용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AI 이해, AI 효능감 및 AI 활용에 대한 인식 개선에 미친 효과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AI Utilization Competency Enhancement Education Program on AI Understanding, AI Efficacy, and AI Utilization Perception Improvement among Pre-service Secondary Science Teachers)

  • 윤지현;허소림;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99-110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AI 활용 역량 강화를 위하여, 구글의 티쳐블머신을 활용하여 예비교사들이 'AI 기반 분자구조 맞춤형 학습 지원 도구'를 직접 생성해 보는 프로젝트 활동을 개발 및 적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충청북도 소재 H 대학교 화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예비교사 26명을 대상으로 비교과 활동 시간에 개발된 프로그램을 14차시 동안 적용하였고, 'AI의 작동 원리 이해', '과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효능감', '과학 수업에서 AI 활용 방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에게 머신러닝에 대한 AI 기술의 작동 원리를 기초적 수준에서 이해시키고, 그 사용법을 익히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과학 수업에서 AI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효능감을 높이는 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의 과학 개념 이해를 도울 수 있는 새로운 교수학습 전략이자 도구로서 AI 기술의 활용 방안 측면을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기초적 수준에서 예비교사들의 AI 활용 역량 강화 및 인식 개선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 ․ 중등 예비교사들의 과학과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Pre-Service Primary and Secondary Teachers on Cooperative Learning in Science)

  • 주영;강훈식;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32-444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국내 초․중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협동학습에 대한 인식과 교육요구 를 조사했다. 국내 3개 교육대학 과학교육과 4학년 102명과 3개 사범대학 화학교육과 4학년 64명을 대 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초-중등 예비교사들은 여러 과목에서 협동학습에 대한 이론 을 배우고 다양한 형태로 실습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 중에서 협동학습에 대한 수업시연이나 실제 수 업 진행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의 협동학습에 대한 이해는 높은 편이었으며, 과학과 협동학습의 장단점에 대한 인식과 협동학습을 실행하려는 의지, 협동학습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에 대한 인식도 비교적 긍정적이었다. 초-중등 예비교사들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과학 과 협동학습과 관련된 보다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과학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실행하려는 의지와 과학과 협동학습 관련 교육요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이 두 변인은 각각 과학과 협동학습의 장단점에 대한 인식, 과학수업에서 협동학습을 활용 할 때 나타나는 장단점에 대한 교육적 평가, 과학수업에서 협동학습을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외부요 인에 대한 교육적 평가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지구 시스템적 인식 (The Earth Systems Perceptions about Water Cycle of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 정진우;김윤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319-327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물의 순환에 대해 학습하는 학생들의 개념과 지구 시스템 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초등 예비 교사들의 인식을 밝히는 것이다. 초등 예비 교사 131명을 대상으로 개념 그리기 방법을 적용하여 물 순환의 구성 요소로 응답한 개념들을 지구 시스템의 하위계인 수권, 기권, 지권, 생물권의 범주로 코딩하고, 물의 순환 과정으로 응답한 요소들로부터 지구 시스템 하위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을 지구 시스템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예비 교사들은 물 순환의 구성 요소를 주로 기권과 수권에서 인식하고 지권의 작용과 생물권의 영향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물의 순환 과정에서 모든 예비 교사들이 강수를 인식하였고 대부분 증발과 응결에 대한 인식을 표출하였으며, 지표에서의 흐름을 다수의 예비 교사들이 응답한데 반하여 지하에서의 흐름에 대한 표출이 적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