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s Professionalism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4초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탐색 - 과학교사 포커스 그룹 논의를 중심으로 (Exploring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Convergence Education in Science Education : Based on Focus Group Interviews with Science Teachers)

  • 이선경;황세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974-990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과학교육에서 융복합 교육의 실제적인 의미와 수행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 교사들의 포커스 그룹 면담법을 이용하였으며, 과학교육의 관점으로부터 교육적 목적과 내용을 통합하는 방식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적인 지식을 도출하였다. 4명의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2차의 포커스 그룹 면담에서는 융복합 교육의 개념, 가능성, 수행, 체계적 지원 등에 대한 내용이 질문되고 논의되었다. 면담의 결과는 질적으로 분석되었으며, 융복합 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다섯 가지 주요 주제로 구분하여 주요 범주로 사용하였다. 이들은 1) 관련 개념과 근거, 2) 내용, 방법 및 평가, 3) 융복합 교육에 적합한 과학교과의 특성, 4) 융복합 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교사의 인식과 전문성과 5) 이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환경적 조건 등이었다. 이로부터 융복합교육을 수행하고 미래 사회를 위해 과학교육을 재정향하는 것과 관련된 개념적이고 실제적인 쟁점들을 논의하였다.

수어통역사 자격제도 운영에 대한 수어통역사, 청각장애인통역사, 농인의 인식 (Perception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Deaf Interpreters and Deaf on Operation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Qualification System)

  • 이준우;황준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543-556
    • /
    • 2021
  • 본 연구는 현장에서 수어통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어통역사와 청각장애인통역사 그리고 수어통역서비스를 이용하는 농인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현 수어통역사 자격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수어통역사 자격제도 운영의 개선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제분석 결과 각 그룹별로 세 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고 이를 다시 종합한 결과 '수어통역 역량과 전문성을 공인받을 수 있는 자격제도로의 변화'와 '한국수어와 농문화에 기초한 자격제도로의 개선'으로 정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어통역사 자격시험 관리 운영을 전담하는 상설 기관 신설', '수어통역의 전문성 및 수준과 경력이 반영된 자격제도로 개편', '모든 시험 문제와 시험의 과정을 수어 중심으로 진행', '농인이 주체가 되는 시스템', '수어통역사와 청각 장애인통역사를 위한 윤리강령 제정'을 제언하였다.

한국에 근무하는 영어 원어민 교사에 대한 국내 영어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The Perceptions of Korean English Teachers toward Native English Teachers)

  • 강문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615-623
    • /
    • 2013
  • 세계화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한 교육적 노력의 일환으로 공교육에서의 원어민 교사 수업의 활용이 높아지고 있다. 질 높은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이 원어민 수업으로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이 논문에서는 영어교육에서의 원어민영어교사 활용 종합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논문의 분석 연구에서 한국인 협력교사들의 원어민 교사에 대한 인식은 영어 원어민 교사의 투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인지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임파워먼트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 : 한국에서 임파워먼트 실천은 가능한가? (A Qualitative Study on the Meaning of Empowerment Perceived by Social Workers : Is the Empowerment Approach Applicable in Korea?)

  • 김인숙;우국희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9권
    • /
    • pp.34-61
    • /
    • 2002
  • Recently, the concept of empowerment has become popular within social work practice. Despite of this trends, we have little empirical knowledge about what empowerment practice is and how it is applicable to practice settings in Korea. This study explored how social workers perceived and experienced the concept of empowerment. We used qualitative method to solve this questions. Individual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7 social workers serving in diverse settings.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Participants had common perceptions of empowerment concept despite of the different settings. They perceived power as confidence, independence, self-control. The client/worker relationships were open, nonhierarchial egalitarian and characterized by mutuality and reciprocity. They emphasized the nature of empowerment as circular and diffusive process. Also, they orientated long term practice related to impatience of social workers. Finally, thos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allenged and reinterpreted the existing traditional "professionalism". We concluded that empowerment practice might demand infinite energies, social worker's creativity, trust of clients, and that empowerment practice would be a new approach in social work practice which influence on much more population because of its diffuseness.

  • PDF

공업계열 전문 교과 교사의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Perception and Present Situation and Towar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 최재우;이은우;김동엽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83-189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SD). The instrument consisted of totally 12 it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98 Industrial High Schools Technical Subjects teachers. The period of survey is from June 23 to July 15 of 2010. The questionnaire included items asking whether they heard about terms such as sustainability 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urce of information on S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r the urgent task 2 for SD in Korea. Result of survey is following. First, Teacher thought that urgent task for SD is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 Second, Most of the teacher consider the concept SD as 'pursuing the balance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nd some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e concept of SD in the paradigm of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Third, half of teachers have not heard terminology of SD .and 80% of them have not conducted ESD. Fourth, a few of teachers replied that obstacle of ESD is shortage of teacher's professionalism.

  • PDF

의과대학에서의 보건의료 전문직 간 교육에 대한 현황과 인식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n Medical Schools)

  • 김소연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1호
    • /
    • pp.10-17
    • /
    • 2017
  • Since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identified interprofessional education (IPE) as an important component in primary health care in the 1980s, medical and health sciences educators have continued to debate factors for implementing effective IPE in the classroom. Although IPE research is widespread internationally, few studies have been done in South Korea. This study explored the current status of IPE and examined factors that influence IPE in South Korea. A total of 30 (70%) out of 41 medical education experts in medical schools participated. Forty-seven percent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allocated less than 5% of their time implementing IPE in the curriculum of their schools throughout the 4 years of medical school. Although all experts (100%) agreed that IPE is essential for medical students, they expressed practical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IPE 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Factors that influence IPE are scheduling and curriculum (e.g., rigid curriculum vs. providing learning environment) and attitudes (e.g., lack of reciprocal respect vs. willingness to change). In addition, participants reported that communication skills and collaborative practice employing clinical practice or role-playing would be appropriate education methods and content for IPE in the fu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IPE in South Korea.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IPE in medical, nursing, and pharmacy schools are discussed.

Education satisfaction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y among new general dentists in Korea

  • Ji, Young-A;Kwon, Ho-Beom;Kim, Ryan JinYoung;Baek, Seungho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9호
    • /
    • pp.504-513
    • /
    • 2019
  • Dental education is gradually transitioning to competency-based education system, which aims to help dentists achieve certain core competencies by means of various systems, such as curriculum accreditation.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with dental school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importance and self-assessment of competencies among general dentists, in an attempt to propose a desirable direction for dental education.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new general dentists who graduated from a dental school within the past 10 year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o understand differences in dentists' perceptions. Overall satisfaction with education was low in terms of the curriculum's relevance to actual practice and its capacity for cultivating required competencies. Furthermore, many of the respondents strongly perceived the need to improve dental education. Additional investigations into the satisfaction with education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seven key competency domains, dentists perceived Health Promotion to be important and also assessed themselves as having high competence. However, regarding the perceived importance of the remaining domains, self-assessment of competence was low for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 Interpersonal Skills, Knowledge Base, Information Handling & Critical Thinking, Clinical Information Gathering, Diagnosis & Treatment Planning, and Establishment & Maintenance of Oral Heal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 competency-based education model should be developed and incorporated into dental education to set performance standards and to promote systematic self-assessment in order to foste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dental students.

  • PDF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 (Perceptions and Teaching Practices of Elementary Teachers on the Integrated Inquiry Unit)

  • 최지미;박다혜;박종욱;박종석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783-790
    • /
    • 2016
  •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5~6학년 과학 교과서에 새롭게 제시된 통합탐구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를 조사하여 통합탐구 단원 구성과 지도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탐구지도와 관련된 기존 설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통합탐구 단원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 설문을 실시해서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 지도의 중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합탐구능력 습득 및 발달, 과학 학습의 전이, 자유탐구 실행' 측면에서 교사들의 통합탐구 단원의 적용 효과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그 이유로 '통합탐구과정 학습을 위한 별도의 시간 확보, 후속 학습에서의 활용, 자유탐구 활동에서 통합탐구과정 적용의 용이함'을 들었다. 반면에 교사들은 '통합탐구과정의 분절적 학습, 통합탐구 단원과 다른 단원 간의 연계성 부족, 학생의 호기심 유발이 어려운 교과서 내용 구성'을 이유로 통합탐구 단원의 효과에 대해 부정적인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또한 통합탐구 단원의 지도 실태에 대한 조사를 통해 많은 교사들이 통합탐구과정 지도 시 교과서 내용을 그대로 따르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들이 통합탐구 단원 지도 시 어려움을 가장 크게 겪는 과정은 문제인식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가설설정, 변인통제, 자료변환 및 자료해석, 일반화, 결론도출 순이었다. 교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학생들의 호기심 경험 이해력 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교과서 구성의 한계 및 학습 시간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통합탐구 단원의 개선 및 통합탐구과정 지도 관련 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사회복지 공공조직의 효과성을 위한 교육적 대안에 관한 실증연구 (A Study on the educational alternatives for Public Social Work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social welfare organization)

  • 김영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415-425
    • /
    • 2017
  • 본 연구는 사회복지 공공조직의 직무 전문성 제고를 위해 효과성 요인을 진단하였고 더불어 사회복지담당공무원의 교육적대안과의 관계성을 찾아 발전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강원도 지방자치단체 사회복지부서에서 근무하는 담당공무원 6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조직효과성관련 선행연구를 토대로 직무스트레스, 조직만족, 조직 몰입, 사회적지지에 관한 특성별(성별, 전공여부, 직렬)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후, 교육적 대안(직무교육, 치유캠프, 심리상담)과의 인과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업무의 창의력과 기관의 자부심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여부에 따른 인식차이 확인을 통해 사회복지 전공자의 전문성이 업무수행능력에 필요함을 확인하였으며 전공자 임용의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직렬별 차이 결과는 전문성이나 전문지식면에서 사회복지직보다 행정직이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종속변수인 교육적 대안과 효과성 요인과의 인과적 관계 결과를 토대로 사회 복지 행정조직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의 필요성과 개인적 차원의 심리상담 과정 및 조직적 차원의 치유캠프운영 등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운영할 것을 제언하였다.

한국 작업치료사들의 근거기반 치료(Evidence-Based Practice; EBP) : 인식도, 근거자원 사용과 방해요인 조사 (Evidence-Based Practice(EBP) Among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 Use of Resources, Perceptions, and Barriers)

  • 김정란;김선희;양노열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41-53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한국 작업치료사들의 근거기반 치료(Evidence-Based Practice; EBP)에 대한 인식도, 임상적 의사결정에 사용하는 근거자원, EBP 실행을 방해하는 요인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09년 12월부터 3월까지 임상에 있는 작업치료사들에게 총 500부를 배부하였고, 그 중 회수된 160부(32%)를 기술통계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 설문의 응답자는 남성보다 여성이 많았고, 치료경력이 5년 미만인 치료사가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응답자의 대부분은 EBP와 관련된 교육 경험이 없고(76%), 현재 실시하지 않는 것(55%)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시 활용하는 근거자원도 주관적인 판단이었다. 그러나 인식도 조사에서 EBP를 통해 작업치료사의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고(96%), 임상적인 판단에 도움을 준다고(88%) 응답하였다. 치료사의 대부분은 EBP 적용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개선책으로 근거자원 탐색을 위한 시간적인 여유 확보(90%)와 교육과정 참여가 필요(92%)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임상 현장에서 EBP에 대한 적용 정도는 낮으나 인식도는 높은 것을 보여주어 향후 EBP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활성화의 필요성을 간접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 : 한국 작업치료가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극적인 교육과정 개설과 강사 개발이 필요하고, 전국 대학의 작업치료전공 학생들이 근거기반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또한 작업치료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EBP가 조속히 이루어져 하고, 그에 교육프로그램과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