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the class

검색결과 636건 처리시간 0.028초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s of Teacher's Experiences with School Library Programs and Collaborative Classe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nd the Expertise of Teacher Librarians)

  • 김현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215-243
    • /
    • 2024
  • 학교도서관은 정보자원을 기반으로 다양한 교육활동을 통해 학교의 교육목적 달성을 지원하는 기관으로 자원과 이용자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교과교사의 인식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연구는 사서교사의 자기인식을 바탕으로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이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경기 지역의 국·공립 고등학교 8개교의 교과교사 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의 분석 방법을 포함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경험은 학교도서관의 정보적·교육적·문화적 역할 인식과 사서교사의 교육지원·도서관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프로그램과 협력수업 운영시에 학교도서관 역할과 사서교사 전문성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Librari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 안다인;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5-270
    • /
    • 2018
  • 학교도서관이 학교에서 핵심적인 교육요소로서 제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적절한 인식이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학교도서관에서 교사인식은 외부 환경 요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의 학교도서관 인식이 학교도서관 요인에 의해 형성되었음을 전제로 하고, 그 요소들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학교도서관과 교사인식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은 비교과교육적이고, 이는 학교도서관의 활동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학교도서관이 통제 가능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을 도서관의 관점에서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그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도서관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교사인식의 개선방안을 학교도서관 활동에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플립드 러닝 기반 컴퓨터 활용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Learning Effect Analysis for Flipped Learning based Computer Use Instruction)

  • 허서정;손동철;김창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55-162
    • /
    • 2017
  • 본 논문은 플립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컴퓨터 활용 수업의 효율적인 학습 방안을 제안한다. 기존 전통적 컴퓨터 활용 수업은 강의와 실습을 병행하여 충분한 실습 및 협력적 수업이 어려웠다. 그러나 플립드 러닝 방식의 수업 방식을 적용한 수업에서는 KOCW(Korea Open Courseware)을 디딤 영상으로 활용하여 강의실에 들어오기전에 미리 학습하고, 강의실에서는 상호 토론을 기반으로 협력적 실습수업을 수행하였다. 수업을 진행 한 후 학습동기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성별, 학년별, 전공별로 학습동기와 학습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자의 학습동기에서 주의 집중 인식 정도, 수업 관련성에 대한 인식 정도, 학습만족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매우 만족'과 '만족'이 90% 이상으로 분석되었다.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예비수학교사들의 인식 연구 (Analysis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 허남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364-372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수학교사들의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소재한 H대학교의 수학교육과에 재학 중인 52명의 예비수학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수학교사들은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에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상호작용에 대해서도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수학과 디지털교과서의 흥미 요인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디지털교과서가 학생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예비수학교사들은 디지털교과서가 수업운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보통으로 인식하였다. 일부 예비수학교사들은 함수 영역과 기하 영역에서 디지털교과서가 필요함을 강조하였으며, 일부 예비수학교사들은 서책형 교과서가 더 적합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사범대학에서 디지털교과서를 활용에 대한 예비교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그 의의가 있다.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인식, 개발된 수업 콘텐츠의 특징 분석 (Analysis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Development of Content-Based Online Science Class Video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ed Class Content)

  • 신정윤;박상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595-609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 개발에 참여한 교사들의 경험과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교사들이 개발한 온라인 과학 수업 콘텐츠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직접 제작한 10명의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의 제작 과정과 어려움, 온라인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에 대해 설문 조사 및 심층 면담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들이 제작한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을 분석하여 온라인 과학수업의 특징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은 교사가 수업 연구, 각본 작성, 수업 동영상 촬영 및 편집의 전 과정을 구상하고 수업 및 실험과정을 직접 촬영하는 형태로 제작되었거나 전자저작물이나 디지털교과서 등에 음성을 녹음하는 형태로 제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제작 시간 부족, 촬영과 편집의 어려움, 오개념 전달에 대한 우려, 기존 자료에 대한 저작권 해결 문제, 외부 공개에 대한 부담 등을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과학 수업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한 경험이 있는 교사였지만 온라인 과학 수업의 장점에 관해 적극적으로 대답한 연구 참여자는 없었다. 다만 온라인 수업의 특징인 반복 학습의 가능, 수업 시간과 장소의 자유로움, 교사의 수업계획이나 통제의 용이, 시각적 매체 활용으로 수업에 대한 학생의 흥미 유발 등에서 면대면 수업보다 유리함이 있을 것으로 응답했다. 반면에 연구 참여자들은 온라인 과학 수업의 단점으로 학생들의 탐구기회가 줄어들고, 의사소통이나 상호작용이 부족해지는 것을 꼽았다. 특히 이러한 단점들은 온라인 과학 수업의 질 특히 탐구 수업을 어렵게 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했다. 온라인 과학 수업이 면대면 수업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는 부정적인 견해를 취하는 교사들도 있었지만 여러 교사가 콘텐츠 활용형 온라인 수업 방식을 보완하는 보조적 수업 활동이 제시된다면 온라인 과학 수업과 면대면 수업을 병행하는 방식은 가능할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온라인 과학 수업의 도입 단계나 정리 단계에서는 면대면 과학 수업의 과정과 유사하였지만, 탐구 단계와 개념 설명 단계에서는 면대면 과학 수업과 큰 차이를 보였다. 온라인 과학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흥미 유발을 위한 여러 방법이 사용되기도 하였지만, 학생의 실험 참여를 유도하지 않는 시범 실험이나 실험결과를 획일적으로 정리하였고 교과서 본문 내용과 개념을 교사가 정리하고 설명함으로써 교사 주도 개념 설명식 수업의 형태를 띠었다.

중산층 이상 가족이 인식하는 치매노인 그룹흠의 장점과 국내 도입의 문제점 (Merits of this Group Homes far the Elderly with Dementia Recognized by Middle and Upper Class Families, and Potential Obstacles to its Introduction in Korea)

  • 김대년;권오정;최정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9권6호
    • /
    • pp.113-128
    • /
    • 2001
  • middle and upper class families, and examine obstacles to their introduction in Korea. Since a few large-scale faciliti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ve been provided for only low-income families free of charge, the necessity of group homes for middle and upper class families willing to pay for such services has become an issue recently in order to lessen the burden on families, as well as to promote the well-being of the dementia victims themselve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577 respondents from middle and upper class familie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The merits of the group homes were 1)decreasing loneliness of the elderly, 2)providing active and stimulating environments allowing for participation everyday life activities, and 3)lessening the emotional and physical burden on the caring families. Potential obstacles to its introduction in Korea were 1)the difficulty of finding sites to build the group home because of the negative percep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a NIMBY(Not In My Back Yard) reaction to the construction of it and 2)the economic burden on the caring family. Surprisingly, the guilt factor associated with sending the parents into group homes was not considered as a big obstacle. Referring to results of this study, it is asserted that group homes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ould be embraced throughout the country if Koreans could have the chance to understand what group homes are.

  • PDF

사회경제적 수준별 초기 청소년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y Socioeconomic Level during Early Adolescence)

  • 전수영;송영숙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81-91
    • /
    • 2017
  • Purpose: This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socioeconomic level during early adolescence. Methods: Participants were 617 middle school students in $1^{st}$ and $2^{nd}$ grade. All measures were self-administer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program and factors affect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Duncan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the level of Family Affluence Scale (FAS), 19.1% of the participants were in the high class, 66.5% in the middle class, and 14.4% in the low class. We hav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high, middle, and low classes regard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ealth perception, resourcefulness, family function, and social capital.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ere found to be resourcefulness, family function, and social capital in the high and the middle class. Conclusion: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 Minist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to help adolescents develop internal coping resources as well as to develop school-curriculums considering social values and norms related to social capital in order to improving their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중산층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 on the anger expression of middle-class adolescent :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장혜림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5-122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anger expression of adolescent. Particularly, to ensure that the anger of emotion is common na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middle class adolescent of stable economic status.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7 students, first grade from 3 high schools in Seoul.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d hierarchial regression,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parenting attitude the perception of monitoring and affection was less important for boys than girls, but more important in over expectation and neglect. Second, in anger expression the level of anger-control appeared higher than anger-in and anger-out,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in subfactors. Third, the effect of gender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anger expression of adolescent. Conclusions: The results indicated the need to recognize gender difference in controlling anger of adolescent and to improve dysfunctional parenting attitude in middle class. Furthermore, th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in enhancing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developing emo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preventing juvenile delinquency.

The influence of internet-use Anatomy class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 Flipped learning method applying-

  • Kim, Jung-ae;Kim, Su-min;Yang, Dong-hwi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0권2호
    • /
    • pp.60-6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net-use Anatomy class, as one of the Flipped learning method,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class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 to April 10, 2018.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180 people in the first year of a University located in C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the Flipped learning method application. Frequency analysis,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28.3% of men and 71.1% of women and before applying the program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Flipped learning perception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nfidence(sub-component of critical thinking) only (p<.005). Comparing the scores of critical think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it was found that Truth seeking (p<.001), Open-mindness (p<.005), Confidence (p<.001), Systematicity (p<.005), Analyticity (p<.001), and Inquisitiveness (p<.001) scores had increased significantly except Maturity (p>.005). And the regression analysis of Flipped learning method applying influenc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at Flipped learning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주관적 계층인식 변화와 의료비지출과의 관련성 (Relevance of Change on the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and Medical Expenditure)

  • 최령;황병덕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1-42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gap in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hierarchy and medical expenditure and the factors influencing medical expenditure. Methods: An analysis based on the the data extracted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 Health Panel for 2012-2013 (n=9,359) is conducted. Further in this study, data analysis included a chi-square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22.0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industrial workers. Results: Model I showed decreases in medical expenditure by 1.247, 1.391, and 1.441 times in social classes one, two, and Model II showed an increase in medical expenditure by age, spouse, number of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insurance type, income class, economic activities, subjective health status, chronic illness and change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social class.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state and community require psychological, social, and cultural support, in addition to individual efforts, to reduce medical expendi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