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the class

검색결과 632건 처리시간 0.022초

사회계층 변인에 따른 의복의 상표와 품질지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fluence of Brand Name on Quality by Social Status Variables)

  • 이금실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85-10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and name on perception of quality by social status variables [socio-economic status(s.e.s.), social mobility, and status inconsistencyl. Perception of quality of 2 clothing items wa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brand name. The subjects were 606 homemakers, 30-40 years of age, living in Seoul. The influence of brand name on perception of quality was measured by 2 stimuli each out of 4 samples. The data was analyzed by ANOVA, Discriminant Analysis and t-test. Results showed that 1) the effect of influence of brand name on perception of quality was most evident in the upper S.E.S. class. 2) status inconsistency had no bearing on effect of influence of brand name of quality. 3) the upwardly mobile group evaluated the quality of clothing in terms of brand name.

  • PDF

EDUCATIONAL EFFECTS OF RADIATION WORK-STUDY ACTIVITIES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Han, Eun Ok;Kim, Jae Rok;Choi, Yoon Seok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447-460
    • /
    • 2014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ublic communication to promote the use of radiation as follows: first, suitable information for the recipient's perception patterns should be provided, as there is a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 and acceptance between the experts and the public. Thus, information on the necessity of nuclear power should be provided to the public, while information based on technical risks is provided by the experts. Second, since the levels of perception, knowledge, and attitudes increased highly for sectors which use radiation after the class, classes should be provided continuously to increase students' perception, knowledge, and attitude, which are all preemptive variables which induce positive behavioral changes. Third, since the seven sectors which use radiation are highly correlated, arguments for the necessity of other sectors should be based on the necessity of the medical sector.

중학교 가정과 ‘인간발달과 가족관계’영역에서 Gordon의 창의적 문제해결법의 적용 (The Application of Gordon’s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Synectics)to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 among Male Students in A junior High School)

  • 최기옥;채정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7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apply and conduct a class with Gordon’s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Synectics) to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among male students in a jr. high school. Subject matters which were appropriate for applying Gordon’s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were selected from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relations’area, with problem circumstances set to reflect to the highest degree the interest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An 8 hour teaching instructional guide was constructed with $\boxdr$strategy 1$\boxul$of Gordon’s Creative Problem Solving method in order to solve creatively the established problem. This was practically implied to 70 students(each class had 34 and 36 students respectively) in K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The period of this application was for 3 months during March through May of 1999. The perception of this method was examined by the teachers and students through open-ended questions. The record of perception showed that 56 students out of 70(with no response from 5 students) through that the class done by the creativity problem solving method was good. The majority of reasons mentioned for the positive answers were ’being able to receive different thoughts which were unusual of daily life’.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were able to foster a joint experience which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f relationships and sens of community. moreover students who did not do well n the class or were diffident were encouraged to participate which in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even an internal effect.

  • PDF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한국과학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Applying of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 박신규;박영관;김중욱;정원우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383-395
    • /
    • 2010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한국과학사 자료의 활용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것이다. 한국과학사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의 교육적 가치와 활용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기초단계로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분석을 하였으며 5단계의 리커트 형식의 설문지를 개발하여 202명의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의 과학교과서에는 한국과학사 자료가 없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한국과학사를 활용한 교육적 가치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4학년 담임교사의 경우는 다른 학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학사 자료를 교육과정에서 본 차시내용으로 다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 PDF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 문양희;강동식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9권2호
    • /
    • pp.151-164
    • /
    • 2015
  •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포그래픽 인지 여부,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초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교사의 대부분은 인포그래픽을 접해본 적이 없고, 수업 중에 활용한 적이 없다고 하였다. 활용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주로 사회, 과학 교과에서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수업의 전개 단계에서 사용되었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 부분에서는 현재 초등학교 수업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양의 많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가장 많이 활용될 수 있는 과목은 사회, 과학 교과이며, 초등학교 3-4학년부터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학습 자료를 제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은 본 차시 수업 단계이며,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 PDF

대학 교육에서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 구현을 위한 교수자 인식 및 요구분석 (Analysis of Faculty Perceptions and Needs for the Implementation of AI based Adaptiv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 신종호;손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9-48
    • /
    • 2021
  • 인공지능을 활용한 적응형 학습은 최근 국내 대학들이 직면하고 있는 학생들의 기초학력 저하와 학습격차 증가 등의 문제해결을 위한 방편이 될 수 있다. 인공지능 기반 적응형 학습이 성공적으로 대학 수업에 도입되고 실천되기 위해서는 교수자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적응형 학습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대학 수업에서의 적응형 학습 구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A대학 교수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162명의 교수들이 응답에 참여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교수들은 학생 맞춤형 피드백 제공의 어려움, 학생들의 사전학습 부족 및 기초학력 저하를 수업 운영에서의 문제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 적응형 학습에 대한 교수들의 지식 수준은 낮았지만, 적응형 학습 적용 의향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형 학습 적용을 위한 지원방안으로는 활용이 쉽고 유용한 적응형 학습 시스템 제공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에서의 적응형 학습 적용의 가능성을 논의하고, 적응형 학습의 성공적 도입과 적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언하였다.

주얼리 디자인 전공자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조형 수업 방법 (Basic Modeling Class Method to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for Jewelry Design Majors)

  • 장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49-254
    • /
    • 2021
  • 본 논문은 주얼리 디자인 전공자에게 요구되는 기본소양인 기초조형의 공간지각 능력과 주얼리 디자인에 있어 가장 중요한 투시도법을 함께 활용하여 조형능력을 창의적으로 발휘 할 수 있는 수업 모형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기본도형과 입체도형, 투시도법에 대한 실기 수업을 진행한 후 창의적 활동을 위한 주제를 제시하고 결과물을 얻었다. 기존의 기초조형 수업에서 단순히 실기위주의 수업만 진행했다면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안에서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한 분석과 기초투시도법, 공간감을 함께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함으로 집중교육효과와 명확한 평가기준을 통해 학생과 교수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을 계기로 더 다양한 재료와 융합적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COVID-19 이후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대학 교수·학습 개선방안 도출 (A Study on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of University in Online Class Environment since COVID-19)

  • 박동찬;이길재;강소윤;김수진;안은비;장서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11-21
    • /
    • 2022
  • 2020년 COVID-19 확산으로 인해 대학은 개강 연기, 전면적 비대면 온라인 수업 체제를 도입 및 운영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수업 시행에 따른 학습경험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교수·학습의 질 제고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 2020년 대학 교수·학습과정에 관한 설문조사(NASEL) 결과 중 C대학의 자료를 활용하여, 온라인 수업 유형(실시간 수업, 녹화 수업)에 따른 학생의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가 발생하는지 등을 분석하고 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수업 유형에 따라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르게 나타났다. 녹화 수업보다 실시간 수업에서 학습경험이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으며, 온라인 수업의 인식 및 태도가 교수·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녹화 수업에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경험과 교수·학습 성과의 관계에서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앱기반 피드백에 대한 피교육자의 학습동기 및 공정성 인식 변화 (The Educatees' Perception Change of Learning Motivation and Fairness on Feedback using App)

  • 김상균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9-86
    • /
    • 2015
  • 교육 과정에서 동기부여와 몰입유지를 위해 적절한 피드백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현실의 교육 현장에서는 과다한 학생 수, 부족한 수업 시간 등의 문제로 인해 적절한 피드백이 제공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본 논문은 앱을 이용한 게임과 같은 피드백이 피교육자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 가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브레이브팝스에서 개발한 Class123이라는 피드백 앱을 사용하여 한 학기 간 수업을 운영한 후, 학생들이 앱을 통해 게임과 같은 피드백을 받도록 하였으며, 학습동기와 공정성인식에서 어떤 변화를 보이는가를 조사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를 보면, 앱을 이용한 피드백은 학생들의 학습 동기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특히, 부정적 피드백보다는 긍정적 피드백이 보다 더 중요한 동기 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