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 Received : 2015.06.02
  • Accepted : 2015.07.22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is study's purpose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For this, this study made a questionnaire about infographics cognition or not, the need for development of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science class applied infographics. And then,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3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had the results that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d not some experience infographics and had never applied infographics during the class. On the other h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some experience said that they had used infographics in society subject and science subject. And they said that infographics was use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class. In the need for development of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had the result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e quantities of infographics which could apply in learning materials of elementary school inadequate.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id that they need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hich could actually apply in class. Also,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id that the subject which could be most appli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as society subject and science subject. And they said that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as a good method which can be applied to third grade and four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In science class appli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aid that the best class stage to presenting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was full-scale lesson of each chapter in curriculum and they recognized that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must be used for understanding scientific concepts. Add to this,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learning materials with the application of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education applied infographics learning materials to carry out successfully.

본 연구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포그래픽 인지 여부,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 인포그래픽을 활용한 과학 수업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초등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초등 교사의 대부분은 인포그래픽을 접해본 적이 없고, 수업 중에 활용한 적이 없다고 하였다. 활용한 적이 있는 경우에는 주로 사회, 과학 교과에서 활용하였다고 응답하였으며, 수업의 전개 단계에서 사용되었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 부분에서는 현재 초등학교 수업 자료로 활용 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양의 많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가 가장 많이 활용될 수 있는 과목은 사회, 과학 교과이며, 초등학교 3-4학년부터 적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에서 학습 자료를 제시하기에 가장 적합한 부분은 본 차시 수업 단계이며, 과학적 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포그래픽 학습 자료를 활용한 교육 자료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2015). 과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2. 김민정, & 송지성. (2014). 디지털 에듀테인먼트로서의 인터랙티브 인포그래픽 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3), 101-112.
  3. 김수정, & 한재영. (2007). 고등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시각자료 분석. 과학교육논총, 20(1), 1-11.
  4. 김용진, 오경환, & 박민호. (2012). 그림그리기 학습 방법이 중학생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1(3), 390-402.
  5. 김형진, 신명경, 이규호, & 권경필. (2014). 초등과학 교과서에 실린 시각 자료의 종류, 역할 그리고 사회-기호학적 특징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8(3), 641-656.
  6. 김희경. (2007). 과학 교사의 전문성 계발 프로그램의 조건과 모형. 초등과학교육, 26(3), 295-308.
  7. 노상미, & 손정우. (2014). 물리 I 교과서의 "정보와 통신" 단원에 제시된 시각화 자료의 인포그래픽 특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59-366.
  8. 민은아. (2014). 과학 디지털교과서의 효과적인 인포그래픽 디자인을 위한 국내외 사례분석. 디지털디자인학연구, 14(1), 407-416.
  9. 박인옥. (2010). 중학교 [사회 1] 교과서 삽화의 기능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 49-62.
  10. 방희건, & 박재근. (2012).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생명 영역에 제시된 시각 자료의 분석. 생물교육, 40(3), 279-289.
  11. 유미현, & 박현주. (2011).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5(1), 1-12.
  12. 윤미숙. (2007). 원자 개념을 표상한 시각 자료의 기호학적 분석: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승화, & 김용권. (2012).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국 과학교과서와 미국 과학교과서의 삽화 비교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1), 68-74.
  14. 임묘진, & 김성일. (2006). 만화를 활용한 과학학습이 흥미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3), 549-569.
  15. 전성수, 정진규, & 박종호. (2014). 인포그래픽 관점을 이용한 과학 잡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601-611.
  16. 전수진, & 한선관. (2012). 최신 정보기술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S-Learning, SNS, Web3. 0 기술 중심으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1-10.
  17. 정소영. (2012). 소셜미디어 시대의 인포그래픽 경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8(2), 433-446.
  18. 정소영, & 이하나. (2014). 빅데이터 시대에 국내 온라인 신문의 인포그래픽 활용 현황 분석과 해결방안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15(1), 581-590.
  19. 정용찬. (2015). 스마트폰 보급 확산과 세대간 미디어 이용 특징 변화. KISDI STAT Report, 15(1), 1-8.
  20. 정정인, 한재영, 김용진, 백성혜, & 송영욱. (2007).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에 사용된 보조적 시각 자료의 분류 및 분석. 초등과학교육, 26(5), 525-534.
  21. 조진숙, & 김미량. (2014). 소셜 미디어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사의 태도와 관련 요인간의 영향력에 대한 실증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0(2), 303-325.
  22. Davis, M., & Quinn, D. (2013). Visualizing text: The new literacy of infographics. Reading Today, 31(3), 16-18.
  23. Han, J., & Roth, W. M. (2006). Chemical inscriptions in Korean textbooks: Semiotics of macro and microworld. Science Education, 90(2), 173-201. https://doi.org/10.1002/sce.20091
  24. Lamb, G. R., Polman, J. L., Newman, A., & Smith, C. G. (2014). Science news infographics: Teaching students to gather, interpret, and present information graphically. The Science Teacher, 81(3), 25-30.
  25. Latour, B. (1987). Science in action: How to follow scientists and engineers through society. Cambridge: Harvard UP.
  26. Smiciklas, M. (2013). 인포그래픽이란 무엇인가: 한 눈에 간파하는 시각적 정보 전달의 매력 [The power of infographics: using pictures to communicate and connect with your audience]. (권혜정 역). 서울: 에이콘출판. (원저는 2012년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