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Unificatio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융합형 과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및 수업 운영 실태조사 (An Examination on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 of Converged Science Introduced by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 as well as its Actual Implementation)

  • 엄희숙;문성배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03-21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rged Science, and what teachers and students think of it in order to understand how it is taking root in schools. The results identify ways in which the new curriculum can establish itself in schools. One hundred and two scienc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mandatory workshop for the 2009 Amended Course of Science, were given the first survey regarding their general perception of the converged science curriculum. A year after the first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one hundred and seventy one science teachers were given the second survey in order to determine their general perception and actual results in the classrooms. A similar survey was given to one hundred and forty nine tenth grade students. In addition, one hundred and forty eight tenth grad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new science curriculum, took part in another survey revealing their general thoughts the course. The results show that the teachers' responses are rarely positive. The teachers claimed that the contents were too extensive while the level of fundamental concepts were too rigorous for tenth graders. They also asserted that the contents contained too much of a particular subjec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level of rigor. With regard to the level of unification of converged science textbooks, the teachers expressed that they are still slightly inadequate. The subject of science in the seventh curricula was criticized due to its lack of convergence: over 9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nega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ey said that the new converged science was difficult to learn, but was interesting. In Busan, most high schools adopted the new curriculum in the first year when it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most cases (over 80%), several teachers divided and taught the contents either according to their majors or regardless of their majors.

라슬로 모호이-나쥬의 "일반 기초요소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llgemeine Elementenlehre" of $L\'{a}szl\'{o}$ Moholy-Nagy)

  • 이란표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56-64
    • /
    • 2007
  • This study is purposed to explicate the idea of 'the general desig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onstruction of space of $L\'{a}szl\'{o}$ Moholy-Nagy who has stood against the traditional value system and made an attempt to create a new space-form language. On the basis of unification of perception and reality Moholy-Nagy intended to regenerate the essential aspects of life through an art by bestowing art with an aesthetic foundation and also expanding the art world into the living area. 'The Allgemeine Elementenlehre(the general theory of elements)' of Moholy-Nagy that is distanced from the visual perception as the dominant sense which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on and imitation, and emphasized on the complicated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senses including the tactile sense, offers a pedagogical basis for the space design that is indispensable for the plastic thinking and practice. At the same time it indicates an access route to the primary nature through the spatial construction of the prime elements of nature and man To explicate his idea toward the general theory of design of space, it will be tried first of all to clarify the core points of the empirio-criticism and the constructivism as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Moholy-Nagy. And then on the basis of these theoretical backgrounds will be analyzed the system and the contents of 'the allgemeine Elementenlehre' as the general space design theory and also the general space design pedagogy.

A Study on the Researcher's Perception Survey for Facilitating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 Noh, Younghee;Shin, Youngj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75-101
    • /
    • 2019
  • In this study, we want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conducted on researchers who have actually conducted or are doing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and to identify difficulties in promoting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and propose ways to promote future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As a result, autonomy of research subjects needs to be guaranteed for the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establishment of international joint research guidelines and contract legal infrastructure, simplification and unification of administrative work system and supplementation of performance-related regulations will be necessary.

한의학 및 한의학교육에 대한 한의대생들의 인식 조사 (A Research for Recognitions of Korean Medical Student toward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Education)

  • 주성준;엄동명;송지청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8
    • /
    • 2016
  • Objectives :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heir occupation satisfaction. Therefore, Korean medical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toward their education is important for their medical ability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TK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KM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educa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TKM level. Methods :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study is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students' satisfaction and their perception toward issues about TKM. 168 cases were collected, and I analyzed 164 cases. Results : 43.9% of students think that the ratio of western medical courses to TKM courses in TKM school's curriculum is 'Proper'. 54.3% of students do not satisfy their curriculum. But, 51.2% of students would recommend high school students for entrance to TKM school. 77.9% of students think 'TKM doctor should use modern medical device'. 92.7% and 61.9% of students think 'Needed' toward 'Cooperation of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and 'Medical unification' each. There are correlations ; (1)'recognition toward ratio of curriculum', (2)'satisfaction of curriculum', (3)'degree of recommendation to enter the TKM School', (4)'relation between TKM and Traditional Chinese Medicine(TCM) o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CAM)'. Conclusions : Student's satisfaction of education is not quite high than satisfaction of TKM study itself. Most of respondents agreed usage of medical devices. The more they thought that they had curriculum for western medicine, the lesser they thought that medical unification was ont need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assess satisfactions of students for their education with more accuracy results.

임상병리학과 학제단일화에 대한 설문조사 분석 (Analysis of Survey of Interdisciplinary Unification of Biomedical Laboratory Science)

  • 김홍성;강지혁;양만길;박창은;신경아;권필승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289-296
    • /
    • 2018
  • 임상병리학과 학제 단일화에 대한 의견을 교수와 병원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형식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2018년 1월 18일부터 25일까지 웹 버전의 설문지가 255명의 대학교수들과 4,000명의 병원근무자들에게 배포되었다. 회수율은 교수들은 79명(30.9%), 병원실무자들은 1,368명(34.2%)이 응답하였다. 임상병리학의 학제 이원화에 대한 인식조사에서는 교수와 병원근무자 모두 4년제로 학제 통합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4년제 통합 전제조건은 임상병리 인증평가원 설립과 교육과정의 표준화가 높게 조사되었고, 4년제 통합의 필요조건은 학생정원조정과 교육과정의 표준화가 높게 조사되었다. 4년제 통합방식은 인증평가를 통과한 대학만이 4년제를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교수와 병원근무자 모두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4년제 통합시 대학정원 적정인원은 40명 미만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결론적으로 교수들과 병원실무자들은 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부응하는 전문성을 가진 임상병리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임상병리학과 학제의 4년제 통합이 필수적이고, 이를 위해 임상병리인증평가원 설립, 교육과정의 표준화, 학생정원조정 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통일과정에서의 한류의 의미와 가치 (The Meanings and Values of Korean Wave(Hallyu)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 조용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21-139
    • /
    • 2020
  • 지금까지의 통일에 대한 접근은 정치·경제·군사·외교를 통한 국가통일과 민족중심의 통일로 나누어 국가 정책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통일에 대한 진전은 보이지 못한다고 하겠다. 여기에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통일에 대한 성찰을 통해 문화적 접근을 통한 통일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특히 통일을 위한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담아내고 있는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로서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그 영역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북한도 예외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일을 위한 한류의 가치와 의미를 통해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라 본다. 먼저 한류에 대한 남북한의 공유와 향유는 통일에 대한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저에는 한류가 가지고 있는 동력으로서 민족적 정서가 남북한 사람들에게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해준다. 다음으로 민족적 정서가 반영된 한류의 문화는 치유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의 한류 공감은 서로에 대한 민족적 자긍심을 높이고, 남북한의 분단된 상처를 치유하는 역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한 공감은 통일에 대한 역량을 높인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한류는 남북한이 서로 공유하고 향유하면서 통일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류의 경험을 통한 통일에 대한 역량을 높이는 계기가 되어 인류의 보편적인 행복을 지향하는 삶으로의 전환을 꿈꾸게 한다. 결국 통일은 사람을 위한 통일이어야 한다. 사람을 위한 통일은 누구나가 행복 할 수 있다는 인류 보편적인 정서를 내포하는 문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것을 가능성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 한류인 것이다.

탈북민의 남한 정착과정에서 행복의 의미와 통일교육의 과제 (Meaning of Happiness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 김종두;조광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19-430
    • /
    • 2019
  • 이 연구는 남한에서 탈북민으로 살아가는 대학생과 성인여성들에 대한 면담을 통하여 실질적인 사회 생활에서의 적응과정을 알아보고, 우리 모두의 삶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측면에서 어떻게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면담기간은 4개월이었다. 면담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에서 갈등보다는 협력강화,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향설정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6.25동란과 같은 동족상잔의 전쟁으로 인해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황에서 쉽지 않은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65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국가가 과거에만 머물 수는 없다. 둘째, 탈북민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인식도 성인들에게서 일부 존재한다는 점이다. 셋째, 남한 사람들의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는 통일비용에 대한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와 경제성장의 기반이 약회된다는 주장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학교교육에서 지식중심의 교육과 함께 문화예술과 같은 실생활에서 살아가는 내용도 동일 비중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를 통해 탈북자들도 남한 국민들과 동일한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김대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여론의 이중성: 원칙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괴리 (A Study on the 'Principle-Policy Puzzle' in the Public Opinion of the 'Engagement Policy')

  • 이준웅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26권
    • /
    • pp.291-326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갈등적 사안이라고 할 수 있는 정부의 통일 정책에서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여론의 분화 현상을 '원칙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괴리' 현상으로 보고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통일 정책과 관련한 여론조사 절과를 보면, 원칙적인 수준에서 통일에 찬성하는 응답자가 압도적 다수를 보이지만, 연구문제실제로 통일 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 사안에 대해서는 상반된 견해가 갈등을 빚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원칙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괴리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 연구는 정치 지식, 정치 이념, 권위주의적 성격, 북한 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평가 등과 같은 개념을 이용해서 공변량 구조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했다. 또한 의견의 괴리를 가장 많이 보이는 시인이 누군지 확인하기 위해 위의 변수들과 더불어 통일에 대한 해석적 프레임이 의견 괴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서울에 거주하는 600명의 성인남녀로 구성된 교본을 근거로 분석한 결과는 정치적 지식과 다른 변수들 특히 정치 이념과 권위주의적 성격, 그리고 해석적 프레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통일에 대한 여론의 '원칙과 정책의 괴리'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남·북 관계에 대한 1020세대들의 이야기 (The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10th to 20th Generation on the South and North Korea Relations)

  • 정경주;정문주;김현수;서미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47-560
    • /
    • 2020
  • 본 연구는 1020세대들의 남북관계에 대한 생각을 탐색하여 미래 남북관계를 위한 국내 교육 정책에 대한 개선점을 찾고 현재 통일교육 및 남북관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 표집은 10대와 20대를 구분하여 공개모집하였다. 이후 눈덩이 표집을 거쳐 각 10대 집단 6명, 20대 집단 8 명 총 14명을 선정하여 각 집단별로 3회에 걸쳐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남북관계에 대한 본 연구 참여자들은 3가지 관점인 '민족주의적 관점', '실용주의적 관점', '이념·체제 주의적 관점'을 보고하였다. 두 번째, 남·북 관계에 대한 정서 및 태도는 어떠한가에 대하여 부정과 긍정 둘 다 나타났다. 그러나 긍정 정서 및 태도는 주로 미디어의 영향으로 나타난 것이었으며, 부정정서와 태도는 반복적이고 강요적 교육에 의해서 영향을 받았다. 본 연구 참여자들은 1회기 수동적 면접과는 다르게 자신의 의견을 내놓으며 능동적으로 변화한 모습으로 남북한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를 진행했다. 이는 본 연구의 가치이자 향후 1020세대들에게 남북한 관계와 상호작용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함에 있어 필요한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의의를 제공한다.

미술구문론의 인지심리학적 접근가능성 (A Cognitive Psychological Approach to the Pictorial Syntactics)

  • 김복영;박병주
    • 조형예술학연구
    • /
    • 제3권
    • /
    • pp.225-247
    • /
    • 2001
  • The analysis of art work that is objective and theoretical needs the help of the cognitive psychology, for the pictorial semiotics requires psychology. The first step to the analysis of art work is about the visual elements and their relations. But the semiotics is lack of the method of the analysis of art work and the some authors don't have treated or been interested in psychological analysis. The main problem of visual semiotics is the density of pictorial representation. It makes the semantic of art work impossible at the very early process of analysis. But the density is not only a matter of visual representation, verbal language also has this problem. The point is that art work functions more art than denotation, but verbal language does more denotation than art. This difference makes difficult to apply the method of language or semiotics to visual art. The possibility of pictorial syntax or perceptual semantics should begin considering the unification of perception and semantics. In principles these two field can be unified. At atomism and holism these are parallel. Therefore perceptual semantics is possible The cognitive psychology can help to formulation of perceptual semantics. At first, the visual representation is incremental and it can be divided at three steps. In these steps each sensation, perception and cognition level has their own role. Perceptual representation of art work should be specified at these three levels. And each of these levels, the special properties of art work should be drawn and examined in the possibility of semiotics. The investigation of psychological levels and semiotic level should be circulated. It will help to formulate the method of analysis of art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