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Meanings and Values of Korean Wave(Hallyu)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통일과정에서의 한류의 의미와 가치

  • Cho, Yong-Ki (College of Creative Future Talent, Daejin University)
  • 조용기 (대진대학교 창의미래인재대학)
  • Received : 2020.09.23
  • Accepted : 2020.10.27
  • Published : 2020.10.31

Abstract

A variety of the approaches to the unification of the South Korea and North Korea have been implemented based on both the view of the national-centered unification and that of the reunification of the South and North Korea as a unit of nation through political, economic, military and diplomatics. A culture itself plays a significant role for people to understand one another through communicating and sharing cultural values. At this point, Korean-Wave called'Hallyu' should have various meanings and values for the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t has been expanded to the world beyond Asia as an icon of the culture. In this situation, North Korea is not exceptional. In other words, North Korea should be influenced by the Korean wave. Sharing a cultural value about Korean-Wav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s would be a way to speed up the reunification by having a common sense about the national identifications. The culture of Hallyu reflecting on the national identification could be helpful to enhance national pride and play a part for curing for the scarlet letters that they have got since the Korea was divided by two parts. The North Korean government's distorted policy to have blamed for the South Korean governing would be challenged if the Korean-wave would be epidemic in the Korean peninsular. In addition, if the North Koreans would be perceptive to the real freedom and universal value for the humanity, it would be more feasible for two Koreas to be reunified than before. In fact, it must serve as a catalyst for the reunification, two Koreas experiencing the Korean wave as a cultural value. As a result, the reunification for the people should have a meaning of the universal value as like everyone in the world can pursue for their own happiness. Through the Hallyu, That is, the change of the people's perception to the reunification will facilitate the reunification of two Koreas more than we expected.

지금까지의 통일에 대한 접근은 정치·경제·군사·외교를 통한 국가통일과 민족중심의 통일로 나누어 국가 정책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의 통일에 대한 진전은 보이지 못한다고 하겠다. 여기에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통일에 대한 성찰을 통해 문화적 접근을 통한 통일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특히 통일을 위한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담아내고 있는 한류는 한국의 대중문화로서 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그 영역이 확장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북한도 예외일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통일을 위한 한류의 가치와 의미를 통해 그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라 본다. 먼저 한류에 대한 남북한의 공유와 향유는 통일에 대한 새로운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저에는 한류가 가지고 있는 동력으로서 민족적 정서가 남북한 사람들에게 문화적 공감대를 형성하게 해준다. 다음으로 민족적 정서가 반영된 한류의 문화는 치유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의 한류 공감은 서로에 대한 민족적 자긍심을 높이고, 남북한의 분단된 상처를 치유하는 역할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한 공감은 통일에 대한 역량을 높인다고 하겠다. 마지막으로 한류는 남북한이 서로 공유하고 향유하면서 통일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한류의 경험을 통한 통일에 대한 역량을 높이는 계기가 되어 인류의 보편적인 행복을 지향하는 삶으로의 전환을 꿈꾸게 한다. 결국 통일은 사람을 위한 통일이어야 한다. 사람을 위한 통일은 누구나가 행복 할 수 있다는 인류 보편적인 정서를 내포하는 문화를 의미한다. 이러한 것을 가능성을 담아내고 있는 것이 한류인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Galtung Johan & David Baronov(2004). Transcend and Transform: An Introduction to Conflict Work Paperback, NY: Paradigm Pub.
  2. 박정란(2008). 역대 정부의 통일.대북정책: 쟁점과 과제. 사회과학연구, 32(2), 전북대사회과학연구소, 87-88
  3. 김영수(2011). 북한의 딜레마와 미래, 법문사: 364.
  4. 최대석(1996). 남북한 교류협력의 새로운 방향 모색. 한국정치학회, 한국정치학회보, (29): 249-260.
  5. 주승현(2019). 탈북민을 통한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개선 방안.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소, 통일인문학: 71-80.
  6. 김용우. 박경귀(2000). 기능주의의 관점에서 본 남북경제공동체의 건설가능성.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보, 4: 23-52.
  7. 이정우(2018).통일정책의 전개와 남북한 현상공간의 변화. 한국 동북아논총, 23.
  8. 임석준.강동완.김현정(2014). 한류 연구의 동향과 과제. 북한학연구, 10.
  9. 이교덕.임순희.조정아.이기동.이영훈(2009). 새터민의 증언으로 본 북한의 변화. 통일연구원.
  10. 강동완(2014). 북한의 한류현상과 사회변화. 북한연구소: 31-36.
  11. 박정란.강동완(2012).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 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 21.
  12. 강동완, 박정란(2014). 북한주민의 통일의식 조사 연구.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 23.
  13. 홍수원 역(2004). 소프트 파워. 세종연구원.
  14. 전영선(2006).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통일문화콘텐츠 개발 필요성과 방향. 한민족문화연구, 18: 23-47.
  15. 정가영(2012). 한류의 소프트파워가 북한 주민들의 탈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권순철(2007). 뉴스메이커. 39(744): 24-26.
  17. 전희락, 박종렬(2013).북한에서의 한류 확산 과정에 대한 연구. 평화학 연구, 14.
  18. 정연택(2003). 통일 이후의 변화와 정책과제 : 독일통일과 동독지역의 사회정책의 변화. 충남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한국통일 연구, 8.
  19. Schmidt. H., Handeln fuer Deutschland, 허선역(1994). 이웃에서 동반자로. 매일경제신문사: 17-25.
  20. 김용우. 박경귀(2000). 기능주의의 관점에서 본 남북경제공동체의 건설가능성. 한국정책과학학회, 한국정책과학학회보, 4: 23-52.
  21.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22. 공보부(1965). 광복이십년. 공보부: 243.
  23. 이정우(2018), 통일정책의 전개와 남북한 협상공간의 변화,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23(2).
  24.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25.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26. 심병철(2003). 조국통일문제 100문 100답. 평양출판사: 35-37.
  27. 통일노력60년 발간위원회(편)(2005). 하늘길 땅길 바닷길 열어 통일로. 다해: 97.
  28. 이정우(2011). 한국 통일정책의 전개과정: 현실주의적 해석의 관점에서. 북한연구학회, 北韓硏究學會報 15: 241-253.
  29.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30.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31.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32. 송용운.이정우(2008). 북한 외교정책의 전개와 그 특징에 관한 검토, 세계평화통일학회, 평화학연구 9.
  33. 이정우(2018). 통일정책의 전개와 남북한 협상공간의 변화.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23: 11-12.
  34.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35. 이정우(2011). 한국 통일정책의 전개과정: 현실주의적 해석의 관점에서. 북한연구학회, 北韓硏究學會報 15: 241-253.
  36. 신영석(2008). 역대정권의 통일정책변천사. 평화문제연구소.
  37. 이정우(2018). 통일정책의 전개와 남북한 협상공간의 변화.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23: 12-13.
  38. 김용우, 박경귀(2000). 기능주의의 관점에서 본 남북경제공동체의 건설가능성. 한국정책과학학회지, 4: 23-30.
  39. 2020년 문재인 대통령 광복절 경축사. https://www.ytn.co.kr/_ln/0101_202008151056422433
  40. 김성재(2004). 6.15남북공동 선언과 한반도 평화. 한신대학교 신학사상 연구소, 신학사상 125: 29-32.
  41. Berry, J. W.(1992). Cross-cultural psycbology : Researcb and application. New York :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8.
  42. Taylor, S. E.(1989). Social comparison activity under threat: Downward evaluating and upward contacts. Psychologyical Review, 96: 569-575. https://doi.org/10.1037/0033-295X.96.4.569
  43. 이기상(2011). 문화콘텐츠 학의 이념과 방향 -소통과 공감의 학.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23: 9-40.
  44. 원승룡(2007).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서광사: 24.
  45. N. 엘리아스, 문미애 역(1996). 문명화과정I. 한길사: 172.
  46. 원승룡(2007).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서광사: 25.
  47. 원승룡(2007).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서광사: 44-45.
  48. 원승룡(2007).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서광사: 47.
  49. 원승룡(2007).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서광사: 49-50.
  50. 정갑영(1993).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이념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문화정책논총, 5: 60.
  51. 정갑영(1993). 우리나라 문화정책의 이념에 관한 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문화정책논총, 5: 61-65.
  52. 원승룡(2007). 문화이론과 문화철학. 서광사: 45-49.
  53. 김완균, J. G(2007). 헤르더의 민족(nation) 개념 이해. 독어교육, 39: 183-207; 헤르더, J. G., 강성호 옮김(2002). 인류 역사 철학에 대한 이념. 책세상.
  54. 아놀드, 매튜, 윤기관 옮김(2006), 교양과 무질서. 한길사.
  55. 월리엄스 레이먼드, 설준규, 송승철 옮김(1984). 문화사회학. 까치글방.
  56. 월리엄스 레이먼드, 성은애 옮김(2008). 기나긴 혁명(The Long Revolution). 문학동네.
  57. Tylor, Edward B.(1871). Primitive Culture: Researches into the Development of Mythology, Philosophy. Religion, Language, Act and Custom, Vol. 1 London, John Murray Publishers.
  58. Horton, Paul B & Chester L. Hunt(1968). Sociology, New York, McGraw-Hill: 49-53.
  59. Marvin, E. Olson(1968). The Process of Social Organiz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54-57.
  60. UNESCO(1983). Participation in Cultural Activities: Three Case Studies: 11-12.
  61. Kellerman, L.(1968). The Cultural Dimension of Development. UNESCO: 9.
  62. 새뮤얼 헌팅턴, 이희재 옮김(1997). 문명의 충돌. 김영사: 243.
  63. 에드워드 사이드, 김성곤, 김정호 옮김(2011). 문화와 제국주의. 창: 41.
  64. 주강현(2001). 통일문화형성에서 민족 중심의 다원성 모색: 통일문화학과 민족문화의 제관계를 중심으로. 통일문화학회, 통일과 문화, 1: 11-34.
  65. 허진, 이치한(2002). 한류현상과 한.중 문화 교류. 한국지역발전학회, 자역발전연구, 2(2): 67-79.
  66. 조용기, 윤기봉(2016). 신한류와 다문화현상에 대한 대순사상의 문화적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6): 152-155.
  67. 조용기, 윤기봉(2016). 신한류와 다문화현상에 대한 대순사상의 문화적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0(6): 158-160.
  68. 조용기(2015). 반한류에 대한 대순사상의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25.
  69. 김정수(2014). 한류에 관한 여섯가지 질문 그리고 문화정책의 역할, 한국문화정책학회, 문화정책 10: 75-113.
  70. 조용기(2015), 반한류에 대한 대순사상의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25-28.
  71. Rosen, S.(1981). "The Economics of Superstars", American Economic Review 71: 845-858.
  72. 최광식(2013). 한류로드. 나남출판사.
  73. 조용기(2015), 반한류에 대한 대순사상의 접근,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9(4): 27.
  74. 박치완(2009). 글로컬문화콘텐츠, 어떻게 그리고 왜?.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75. 송갑준(2006). 한국사상의 특성과 한류.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37: 148-157.
  76. 김정수(2014). 한류에 관한 여섯가지 질문 그리고 문화정책의 역할, 한국문화정책학회, 문화정책 10: 75-113.
  77. 전희락, 박종렬(2013). 북한에서의 한류 확산 과정에 대한 연구. 평화학연구, 14: 270-273.
  78. 김흥태 외 3인(2017). 엔터테인먼트 용어 정의 및 분과별 적용 범위.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17-43.
  79. 전희락, 박종렬(2013). 북한에서의 한류 확산과정에 대한 연구. 평화학연구, 14: 276.
  80. 유상철 외(2002). 한류의 비밀: 소프트파워, 소프트 코리아의 현장을 찾아서. 생각의 나무: 24.
  81. 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2008). 한류 포에버. 국제문화교류재단.
  82. 임석준 외 2인(2014). 한류연구의 동향과 과제. 북한학연구, 제10(2): 45-48.
  83. 통일연구원(2011). 주간통일정세, 34: 2.
  84. 강동완, 박정란(2010).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경로와 영향: 지역간.대인간 연결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9.
  85. 강동완(2015).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5-28.
  86. 강동완(2015).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9.
  87. 강동완(2014). 북한으로의 외래문화 유입현황과 실태-제3국에서의 북한주민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통일 인문학: 65-75.
  88. 강동완(2015).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30.
  89. 강동완(2015).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5-28.
  90. 통일교육원(2013). 북한 지식사전, 서웅, 통일 교육원.
  91. 강동완(2014). 북한으로의 외래문화 유입현황과 실태-제3국에서의 북한주민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인문학 연구원, 통일 인문학.
  92. 강동완, 박정란(2010).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경로와 영향: 지역간.대인간 연결 구조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정책연구 19.
  93. 강동완(2015).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12.
  94. 이교덕 외 4인(2009). 새터민의 증언으로 본 북한의 변화. 통일연구원.
  95. 강동완(2015).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16.
  96. 강동완(2013). 북한 신세대문화, 어디까지 왔나. 북한연구소: 94-99.
  97. 강동완, 박정란(2012). 한류, 통일의 바람: 아랫동네 날라리풍. 명인문화사: 349.
  98. 강동완, 박정란(2012). 한류, 통일의 바람. 서울, 명인문화사: 308.
  99. 윤인진(2012). 북한이주민의 문화변용과 사회적응. 한국학연구, 41.
  100. 강동완.김현정(2015). 북한 군대 내 남한 영상물 시청 실태 및 북한 정권의 대응. 통일과 평화, 7.
  101. 박정란.강동완(2012).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 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정책연구, (21).
  102. 윤선희(2011). 북한 청소년의 한류 읽기: 미디어 수용에 나타난 문화 정체성과 사회 변화. 한국언론학보 55.
  103. 강동완(2015). 북한에서의 한류 현상: 그 의미와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76-80.
  104. 박정란.강동완(2012). 북한주민의 남한 미디어 수용과 왜곡된 남한 상(像). 통일정책연구, 21.
  105. 김정수(2014). 한류에 관한 여섯가지 질문 그리고 문화정책의 역할, 문화정책, 한국문화정책학회, 10: 75-113.
  106. 강동완, 박정란(2014). 북한주민의 통일의식조사 연구. 통일정책연구, 23.
  107. 정연택(2003). 통일 이후의 변화와 정책과제: 독일통일과 동독지역의 사회정책의 변화. 충남대학교 통일문제연구소, 한국통일 연구,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