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inciple-Policy Puzzle' in the Public Opinion of the 'Engagement Policy'

김대중 정부의 통일정책에 대한 여론의 이중성: 원칙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괴리

  • 이준웅 (서울대학 언론정보학과)
  • Published : 2004.08.15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within which whereas the majority of Korean people agree on the principle of the unification policy, the opinions about the concrete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the principle do not converge. To account for this phenomenon, a.k.a. 'the principle-policy puzzle in public opinion', this study constructs and tests a covariance structural model with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ideology, authoritarian personality, social distance, and the evaluation of the presiden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the interpretive frames regarding the unification policy and political knowledge along with the main effects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re tested to explain the degree to which people show the gap between the agreements on the unification principle and policy alternatives. A sample of 600 Seoul people are recruited to provide the data for the 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e was found that the proposed model receives empirical supports from the data. In particular, political knowledge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play key roles in accounting for the complex process of public opinion in the 'principle-policy puzzle'. Th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representations of the Engagement policy in the mass media and the public perception of them.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갈등적 사안이라고 할 수 있는 정부의 통일 정책에서 특징적으로 관찰되는 여론의 분화 현상을 '원칙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괴리' 현상으로 보고 이를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통일 정책과 관련한 여론조사 절과를 보면, 원칙적인 수준에서 통일에 찬성하는 응답자가 압도적 다수를 보이지만, 연구문제실제로 통일 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 사안에 대해서는 상반된 견해가 갈등을 빚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원칙과 정책에 대한 의견의 괴리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이 연구는 정치 지식, 정치 이념, 권위주의적 성격, 북한 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김대중 대통령에 대한 평가 등과 같은 개념을 이용해서 공변량 구조 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했다. 또한 의견의 괴리를 가장 많이 보이는 시인이 누군지 확인하기 위해 위의 변수들과 더불어 통일에 대한 해석적 프레임이 의견 괴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서울에 거주하는 600명의 성인남녀로 구성된 교본을 근거로 분석한 결과는 정치적 지식과 다른 변수들 특히 정치 이념과 권위주의적 성격, 그리고 해석적 프레임의 상호 작용을 통해 통일에 대한 여론의 '원칙과 정책의 괴리'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