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aning of Happiness and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Settlement Proces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탈북민의 남한 정착과정에서 행복의 의미와 통일교육의 과제

  • 김종두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
  • 조광주 (서원대학교 비전학부)
  • Received : 2019.09.23
  • Accepted : 2019.10.28
  • Published : 2019.10.31

Abstract

The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actual process of adapting to social life through interviews with college students and adult women living as defectors in the South, and to find out how it would be desirable to move forward in terms of education in order for all of our lives to be happy. The method of research consisted of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interview period was four month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given.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irection for strengthening cooperation rather than conflict in education, and restoring homogeneity of the same people. It is also true that real challenges are not easy at a time when the fratricidal war like the 6.25 conflict has deepened the conflict. However, at this point, 65 years later, the nation cannot stay only in the past. Second, the perception that they disapprove of economic aid to North Korean defectors also exists in part among adults. Third, negative thoughts about reunification among South Koreans also appear relatively high.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argument that the growth of social welfare and economic growth is offset by the increase in unification costs. Fourth, the content of living in real life such as culture and art, along with knowledge-oriented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 should be treated with the same weight. This should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North Korean defectors can enjoy the same happiness as South Koreans.

이 연구는 남한에서 탈북민으로 살아가는 대학생과 성인여성들에 대한 면담을 통하여 실질적인 사회 생활에서의 적응과정을 알아보고, 우리 모두의 삶이 행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측면에서 어떻게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반구조화된 면담으로 이루어졌다. 면담기간은 4개월이었다. 면담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교육에서 갈등보다는 협력강화, 같은 민족이라는 동질성 회복을 위한 방향설정을 확고히 할 필요가 있다. 6.25동란과 같은 동족상잔의 전쟁으로 인해 갈등의 골이 깊어진 상황에서 쉽지 않은 현실적 어려움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65년이 지난 현시점에서 국가가 과거에만 머물 수는 없다. 둘째, 탈북민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못마땅하게 생각하는 인식도 성인들에게서 일부 존재한다는 점이다. 셋째, 남한 사람들의 통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다. 이는 통일비용에 대한 증가로 인해 사회복지와 경제성장의 기반이 약회된다는 주장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학교교육에서 지식중심의 교육과 함께 문화예술과 같은 실생활에서 살아가는 내용도 동일 비중으로 다루어야 한다. 이를 통해 탈북자들도 남한 국민들과 동일한 행복을 누릴 수 있는 환경이 이루어져야 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