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rception of Libraries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초

디지털도서관의 저작권보호 환경 평가 연구 (An Evaluation Study on the Copyright Protection Environment for Digital Libraries)

  • 이종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11-326
    • /
    • 2002
  •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의 복제.전송과 관련된 저작권보호 환경을 조사하여 분석 평가하고, 제반문제점을 식별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데이터수집은 저작권법에 의하여 디지털복제 전송이 허용된 50개 도서관을 대상으로, 시스템 도입 및 복제 \ulcorner전송 현황을 조사하고, 저작권법에서 의무화한 6개 기술조치를 이행한 5개 도서관 이용자를 표집하여 디지털자료의 이용 및 저작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기초통계량을 고찰하고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산업대학 도서관을 제외한 거의 모든 도서관이 디지털도서관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으나. 디지털복제(68.0%) .전송시스템(84.0%) 도입비율은 높은 반면, 저작권보호시스템(26.0%) 도입비율은 낮다. 조사대상 도서관의 84.0%가 전문을 디지털화하고 있으나, 대부분 5천건 미만의 자료를 디지털화하였으며. 저작권을 확보하여 터지털화하는 도서관은 33.3%로 낮게 나타났다. 저작권보호를 위한 법적 규제가 제대로 이행되지 못하고 이행 수준도 낮으며, 이용자의 전자책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률은 낮은 편이며 저작권에 대한 인식 또한 낮다.

서울소재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 및 인식 분석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and Perception on Public Libraries in Complex Facilities in Seoul)

  • 최문정;서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7-101
    • /
    • 2016
  • 최근 새로운 형태의 공공도서관 즉, 타시설과 한 건물 혹은 한 대지에 같이 건립되는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이 부각되었다. 새로운 형태의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의 우호적인 지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이용자들의 평가와 요구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 도서관의 운영전략 및 건립방안이 세워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소재 28개관의 복합시설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도서관 이용만족도와 복합화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복합시설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은 복합시설 도서관을 이용하면서 인적자원, 정보자원, 서비스, 환경, 지역사회의 유대에 대해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으며, 복합화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합시설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에게 더 만족할 수 있는 환경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도서관에 대한 편리한 접근성, 충분한 도서관의 규모 확보, 외부소음 방지 방안, 복합이용의 시너지 효과를 보일 수 있는 타시설과 연계, 복합시설 내 타시설과의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등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중장년층의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 이용이 도서관 인식과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Middle-Aged People's Use of Cultural Programs in Public Library on their Library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 정미옥;김기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181-211
    • /
    • 2022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중장년층 이용자를 대상으로 문화프로그램 특성과 문화프로그램 경험이 문화프로그램 인식과 도서관 인식을 통해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지역 5개와 서울지역 9개의 공공도서관의 중장년층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유효표본 246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프로그램 특성 및 경험이 문화프로그램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도서관 인식의 지역 관점은 생활 만족의 개인적 욕구 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공공도서관의 영향이 일상적인 삶의 영역으로 확산되는 인식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국가 및 지역 수준에서 공공도서관 관련 정책 및 공공도서관 문화프로그램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공공도서관 사서 전문직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or Librarians in Korean Public Libraries)

  • 오해연;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37-260
    • /
    • 2015
  •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전문직성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 간의 인식 차이 및 실태를 브랜딩 및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및 공공도서관 사서 전문직 특성, 전문직으로서의 공공도서관 사서 각각의 브랜드에 대해 공공도서관 사서와 도서관 이용대상자 간의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은 활발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의 개선을 위해 도서관 이용대상자를 대상으로 한 공공도서관 및 사서의 직업윤리, 사회적 사명감, 개인적 신념 특성 보유와 관련된 외부 브랜딩과 사서를 대상으로 한 전문직으로 서의 사서 및 업무 몰입도, 전문성 특성 보유와 관련된 내부 브랜딩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통해 본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의 활성화 방안 (Ways to Revitalize Bibliotherapy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Based on User Perception and Need)

  • 김경숙;송정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349-376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 울산, 경남 지역 공공도서관 이용자 64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독서치료에 대한 인식,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인식과 독서치료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서비스, 비용, 환경과 공간, 홍보, 사서와 이용자, 적시성 측면에서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 공간 특성에 따른 공간 유형 및 그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fluence of Spatial Types Based on Public Library Spatial Characteristics)

  • 육지혜;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1-137
    • /
    • 2016
  • 오늘날 공공도서관은 정보제공뿐만 아니라 문화생활 기능 제공 등 그 역할이 변화하고 있으며, 도서관 공간 역시 도서관의 서비스를 반영해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도서관 공간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도서관 공간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도서관의 물리적 특성을 기반으로 도서관 공간 유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관찰조사 및 설문조사를 수행했다. 관찰조사 결과, 도서관의 공간 유형은 '분리형', '부분통합형', '완전통합형' 세 가지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공간 유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통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공간 유형에 따라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과 이용 목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도서관의 공간 구성에 따라 도서관 공간을 유형화할 수 있으며, 공간 유형이 이용자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도서관 공간과 도서관 인식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을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대구시 공공도서관의 공간 및 시설이용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Space and Facility Use of Public Libraries in Daegu Metropolitan City)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73-95
    • /
    • 2010
  • 이 연구는 대구시민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공간 및 시설이용에 대한 일반적 인식 즉, 도서관의 개인적 비중과 중요성, 이용도, 접근성, 공간 및 시설이용의 만족도 등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대구시에 거주하는 주민 700명을 대상으로 인식도를 설문조사한 후에 성별, 연령대별, 거주지별로 이용상의 불만족 이유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도서관 이용도를 중심으로 관련변수들을 상관 및 회귀분석 하여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대학도서관 교수·학습지원 서비스에 대한 사서 인식분석 (Analysis of Librarians' Percep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ervices of Academic Libraries)

  • 최예진;나민경;이지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51-77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구성원의 교수·학습 활동을 위해 대학도서관에서 지원해야 하는 서비스의 방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교수학습센터와 대학도서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교수·학습 관련 활동 현황을 파악하고, 대학도서관 사서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교수·학습 지원활동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질적 데이터의 내용분석 결과,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서는 교수·학습지원, 서비스 제공방식, 관계 강화와 관련된 실무자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도서관 역할 인식 영역에서는 도서관 역할에 대한 타 부서 인식, 도서관 역할 정립, 도서관 투자 확대로 나누어 이에 대한 실무자들의 인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교수·학습지원 서비스의 방향성으로 '전공 및 학과 전담 서비스에 대한 홍보 강화', '교육자로서 사서의 역량 강화', '디지털 정보자원에 대한 리터러시 강화', '기초소양 함양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있어 도서관의 역할 강화', '휴먼라이브러리의 운영', '도서관 공간의 다양한 활용 모색' 등을 제시하였다.

강동구 도서관에 대한 지역 주민과 도서관 관계자의 인식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Survey of Local Residents and Library Officials about Gangdong-gu Libraries)

  • 임성관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53-82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 주민, 도서관 사서 및 운영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강동구 도서관의 중장기적 종합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강동구 도서관 이용자 및 비이용자 1,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고, 보다 심층적인 의견 수렴을 위해 지역 주민과 공공도서관 및 북카페도서관 사서, 작은도서관 운영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도 실시했다. 그 결과 강동구 도서관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생태계 구성을 위한 조정 및 특성화 재정비를 위한 도서관별 역할 정립, 정보사회에 요구되는 시공간 제한이 없는 서비스와 프로그램 도입 필요, 비이용자를 도서관으로 이끌 수 있는 적극적인 홍보, 다양한 관종을 아우를 수 있는 시스템 정비 및 지원 체계 마련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 및 서비스에 대한 인식 연구 - S여대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Library Collections and Services in College Libraries: - the Case of S-Women's College Library -)

  • 김신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31-251
    • /
    • 2014
  • 이 연구는 S여대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전문대학도서관의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 즉, 도서관의 이용빈도, 상대적 중요성, 이용목적, 불만족 요인, 자료와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등을 조사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700명을 대상으로 인식도를 설문조사한 후에 학년, 전공계열별로 이용상의 만족도 및 불만족 요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